교회의 성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교회에 관해 구약에 주로 사용된 용어는 `부르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파생
된 것이며, 신약의 용어는 `불러내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나온 것이다. 이
두 명칭은 모두가 교회를 `하나님에 의해 부름받은 회중`으로 표현한다.

본문내용

보다 은혜로운 것으로 성경(사 54:13; 렘 31:34; 히
8:11)에 나타나 있으므로, 새 언약은 유아를 좀처럼 배제하지 않는다. 이는
마 19:14; 행 2:39; 고전 7:14 등의 구절들의 견해와도 역시 다르다. 뿐만
아니라, 전 가족이 세례를 받았는데 이는 유아를 제외했다는 것이 아니다(행
16:15, 16:33; 고전 1:16).
②유아 세례의 근거와 작용
개혁파 노선의 어떤 학자는 유아가 가정적 중생에 근거해서 세례를 받는다
고 주장하며, 또 어떤 사람은 유아는 중생의 약속을 포함하는 하나님의 총
포괄적, 언약적 약속에 근거해서 세례를 받는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 후자의
견해가 보다 받아들일만한 가치가 있다. 언약적 약속은 유아 세례의 확실한
객관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유아 세례가 어떻게 영적 생명을 강하
게 하기 위한 은혜의 방편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일
어나는데, 그 대답은 유아들이 세례받을 때 중생되었다고 하면 세례는 그
시행시에 중생의 생명을 강하게 하는 것이며, 세례의 의미가 보다 명백히 이
해된 후에는 믿음이 더 견고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례의 작용이
세례의 시행 순간에만 필연적으로 제한된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자료원 : 합동신학교 서배현제공
발행일 : 940718
분 류 : 조직신학
검색(번호) 도움말(H) 직접이동(GO) 초기메뉴(T) 상위메뉴(M) 기타(Z) 종료(X,BYE)
다음페이지(리턴키) 앞페이지(B) 목록열람(L) 연속읽기(NR) 목록순서변경(SORT)
FAX출력(FAX) [7m사진보기(SEE) [0m
선택>

키워드

교회,   성질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9.28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