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을 강조하게 된다. 이런 배경을 지닌 선교사들은 조선에 와서도 “서구문명을 유일한 희망으로, 비서구문명을 야만의 상징으로”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비서구를 `자신들에게 뒤떨어진 타자'라 여긴 서구인들은, 비서구인을 자신의 문명으로 동화시키는 것만이 목표가 된다. “이 뛰어난 백성(미국인)이 확장되고 번영하는 일은 하느님 백성의 숙명입니다. 이것이 하느님 섭리이고 신앙이며 진화의 논리입니다.”
이 책은 개별 기록과 기록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선교'의 임무를 띠고 온 이 서구인들의 정치적 구실에 대한 논의가 없는 등 아쉬운 점이 있다. 하지만 19세기 조선을 향했던 서구의 시각이, 바로 지금 우리가 동남아 노동자를 향해, 북한을 향해, 조선족 동포를 보는 시선과 같은 것임을 일깨워주는 장점이 있다.
이 책은 개별 기록과 기록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선교'의 임무를 띠고 온 이 서구인들의 정치적 구실에 대한 논의가 없는 등 아쉬운 점이 있다. 하지만 19세기 조선을 향했던 서구의 시각이, 바로 지금 우리가 동남아 노동자를 향해, 북한을 향해, 조선족 동포를 보는 시선과 같은 것임을 일깨워주는 장점이 있다.
추천자료
SF 영화 19세기 SF소설과 20세기 SF영화 세계 SF 영화사
독일의 낭만주의,18세기말19세기 전반
19세기 말~20세기 초 한반도 국제질서의 구도 및 조선의 외교에 대한 평가
19세기 조선인들은 왜 천주교(天主敎)를 믿었을까
19세기 문에사조와 20세기 문예사조의 비교
19세기 기독교와 생물학
19세기미술작품감상(화가및제목)
19세기 후반의 미국제국주의 - 미-서 전쟁등의 예로 바라본 미국 제국주의
19세기 이즘의 탄생에서 추상미술까지
서양의 아동문학을 18세기이전과 19세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그 시대의 주...
19세기 말 조선에 대한 역사인식의 분류 [정확함]
서양의 아동 문학을 18세기이전과 19세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그 시대의 ...
[서양교육역사] 서양교육의 역사적 기초(서양교육 발전과정) - 그리스-로마의 교육, 중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