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PDF작성-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심리적 가정 환경 = 4
2. 비행성향 = 7
3. 자살 생각 = 10
4. 선행연구들 = 13
가. 심리적 가정환경과 비행의 선행연구 = 13
나.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살충동간의 선행연구 = 15
5. 연구가설 = 17
가. 가정의 심리적인 환경과 비행 성향간의 관계 = 18
나. 가정의 심리적인 환경과 자살생각간의 관계 = 19
다. 비행성향과 자살생각간의 관계 =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2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2
2. 검사도구 및 내용 = 23
가. 가정환경진단검사 = 23
나. 청소년 비행 척도 = 24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 2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6
1. 가정환경과 비행성향간의 관계 : 가설 1의 검증 = 26
2. 가정환경과 자살충동간의 관계 : 가설 2의 검증 = 27
3. 비행성향과 자살충동간의 관계 : 가설 3의 검증 = 28
Ⅴ. 논의 및 제언 = 29
1. 논의 = 29
2. 제언 = 32
3. 연구의 제한점 = 33
참고문헌 = 34
국문초록 = 39
설문지 = 41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심리적 가정 환경 = 4
2. 비행성향 = 7
3. 자살 생각 = 10
4. 선행연구들 = 13
가. 심리적 가정환경과 비행의 선행연구 = 13
나.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살충동간의 선행연구 = 15
5. 연구가설 = 17
가. 가정의 심리적인 환경과 비행 성향간의 관계 = 18
나. 가정의 심리적인 환경과 자살생각간의 관계 = 19
다. 비행성향과 자살생각간의 관계 =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2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2
2. 검사도구 및 내용 = 23
가. 가정환경진단검사 = 23
나. 청소년 비행 척도 = 24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 2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6
1. 가정환경과 비행성향간의 관계 : 가설 1의 검증 = 26
2. 가정환경과 자살충동간의 관계 : 가설 2의 검증 = 27
3. 비행성향과 자살충동간의 관계 : 가설 3의 검증 = 28
Ⅴ. 논의 및 제언 = 29
1. 논의 = 29
2. 제언 = 32
3. 연구의 제한점 = 33
참고문헌 = 34
국문초록 = 39
설문지 = 41
본문내용
PDF 파일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있는 사회는 경제의 고도성장에 의하여 한층 풍요롭고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청소년들은 과거 세
대가 경험하지 못한 긴장과 갈등을 겪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전통적인 생활
양식이 무너지고 핵가족화로 인해 가정의 기능마저 상실되었으며 무분별한 서
구문화의 도입으로 가치관과 의식구조가 혼돈되고, 물질만능주의에 젖어 정신
적인 해이뿐만 아니라 대학의 입시위주의 교육정책과 그에 따른 개인의 평가
가 심한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지니고 있는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비행과 자살
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자살의 연령분포를 보면 15-24세의 청소년층에서 총 자살은 건수의 30%를
차지하고 있고(심영희, 1986) 그들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두 번째로 높으며,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44.6%명으로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자살
율이 높은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 (박기창 등, 1985). 청소년 비행도 대검찰청
범죄분석에 의하면, 93년도에 110,604명이던 것이 96년도에는 137,503명, 97
년도에는 150,199명으로 35.8%가 증가하였다. 이는 전체 범죄가 동기간인 93
년도에 1,738,952명이었던 것이 96년도에는 1,804,405명, 97년도에는 1,986,254
명으로 14.2%증가한 것에 비하면 양적으로 엄청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이다(법무부, 1998). 실제적으로 청소년들의 인구는 전체 인구 비례로 보면 꾸
준히 청소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행는 점점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비행의 횟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있는 사회는 경제의 고도성장에 의하여 한층 풍요롭고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청소년들은 과거 세
대가 경험하지 못한 긴장과 갈등을 겪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전통적인 생활
양식이 무너지고 핵가족화로 인해 가정의 기능마저 상실되었으며 무분별한 서
구문화의 도입으로 가치관과 의식구조가 혼돈되고, 물질만능주의에 젖어 정신
적인 해이뿐만 아니라 대학의 입시위주의 교육정책과 그에 따른 개인의 평가
가 심한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지니고 있는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비행과 자살
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자살의 연령분포를 보면 15-24세의 청소년층에서 총 자살은 건수의 30%를
차지하고 있고(심영희, 1986) 그들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두 번째로 높으며,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44.6%명으로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자살
율이 높은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 (박기창 등, 1985). 청소년 비행도 대검찰청
범죄분석에 의하면, 93년도에 110,604명이던 것이 96년도에는 137,503명, 97
년도에는 150,199명으로 35.8%가 증가하였다. 이는 전체 범죄가 동기간인 93
년도에 1,738,952명이었던 것이 96년도에는 1,804,405명, 97년도에는 1,986,254
명으로 14.2%증가한 것에 비하면 양적으로 엄청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이다(법무부, 1998). 실제적으로 청소년들의 인구는 전체 인구 비례로 보면 꾸
준히 청소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행는 점점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비행의 횟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추천자료
청소년 심리학 기말고사 요점정리
청소년 자살심리에 대한 연구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불균형으로 나타날 수 있는 청소년 문제를 제시하고 문제의 원...
[청소년 심리 공통] 1. 청소년들의 자살이 성인기에 발생하는 자살과의 차이, 자살예방을 위...
청소년기에 일으킬 수 있는 정신장애의 원인을 심리학적 및 사회적 요인으로 설명
청소년의 정서 발달 및 심리사회적 발달
[청소년문제와 보호] 청소년의 심리발달 특성에 따른 이해 - 급격한 신체변화, 더욱 빨라진 ...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청소년의 색채심리 및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반항성 청소년의 색채심리치료 - 반항성 청소년의 심리증...
한국(우리나라) 청소년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한국 청소년의 사회 문화적 성격, 청소년기의 심...
(청소년기 심리적 특성) 피아제, 프로이드, 에릭슨이 정의한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성을 기...
인간과심리-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