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크와 입체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브라크의 생애
2.브라크의 작품들
3.파피에콜레 창시
4.피카소와의 교류
5.큐비즘

본문내용

로 해체되어 다시 화면 위에서 재구성되고 있다. 분석, 해체, 재구성의 과정에서 색채는 녹색, 황색, 검은 색, 회색 등의 명도 낮은 것으로 요약되어 나타난다. 피카소와 브라크가 구현하고자 한 것이 형태의 분석적인 묘사라는 의도를 나타내기 위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912년에서 14년까지의 작업을 종합적 큐비즘이라고 분류하고 있다. 분해되었던 각 요소가 종합되어 형체를 되찾기 때문인데, 피카소와 브라크는 자신들의 대상해체 작업이 극에 달하여 대상의 윤곽이 완전히 분해되어 버리자 빠삐에 꼴레와 콜라주를 통해 형태를 재현시킨다. 차가웠던 색채가 다시 밝아지고, 기법이 확대되어 어느 정도 대상이 회복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파피에 콜레(종이를 풀로 붙인다는 뜻)과 꼴라쥬 마티에르(실제물을 한데
모은다는 뜻)를 통해 문자, 단어, 숫자, 실물들이 화면 위에 회화와 함께 등장하게 된다. 입체주의는 많은 비평가와 미술사가, 문학가들이 연구한 사조였다. 이 운동이 미술의 지적인
사유의 개념을 그림을 그리는 작풍에 성공적으로 실행시킨 사실 때문이었다. 입체주의를 논하는 대부분의 저자들은 큐비즘의 새로운 대상 재현의 시도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들의 참신한 사실주의에 20세기 미술의 모더니즘 정신을 부합 시켰다. 비평가 로저 프라이는 큐비즘의 의도가 근본적으로 사실주의적이라고 말하며, 결국 입체주의는 대상 재현이라는 서양 미술의 오랜 전통의 또 다른 방식으로서 새로운 사실주의적 기법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입체파가 세잔을 그들의 선구자로 보고 있지만, 둘 사이의 차이점이 있다고 한다.
세잔의 작업이 축적된 시각의 부산물인 반면, 입체주의 작업은 직관적 발명의 결과라고 한다. 후안 그리와 브라크는 피카소와는 달리 일생을 통해 입체주의를 추구했는데, 그들의 작업과 논리 정연한 글에서 우리는 입체주의의 본질을 엿볼 수 있다. 브라크는 그의 글에서 모방과 창조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밝힌다. 브라크의 목적은 일상적 사실을 재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회화적 사실을 구성하는 것이며, 창조하고자 하는 것을 모방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큐비즘을 추상으로 보아야 할 것인가? 아닌가? 분명 자신들의 작업과 말로서 입체주의가 순수 추상을 목적으로 한 움직임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작업은 일반적으로 추상의 시초 내지는 중대한 업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흔히 말하는 추상의 의지보다는 대상 재현의 새로운 방식의 의지가 있었다. 그리고 결과가 추상성을 내재하고 있었다.. 파블로 피카소(1881-1973)가 1910년에 그린 [칸바일러 초상]은 분석적 입체주의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초상화의 모델은 당시 피카소와 가까웠던 화상(畵商)이다. 칸바일러는 일찌감치 입체파의 예술성을 간파하고 피카소와 브라크를 위시하는 많은 입체파 화가들을 후원하고 그들의 작품을 구입했다.
**참고-서양 현대미술의 기원-시공사, 브리태니카 백과사전, user.chollian.net/~kimjjoo
www.artlifeshop.com 등
6. 느낀점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1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