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권력비판의 학으로써 정치학
2. 사회경영의 학으로써 정치학
2. 사회경영의 학으로써 정치학
본문내용
적 자발성을 전제로 하여 비로소 성립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의 정치사회에 있어서는 개인의 자발성에 기인하는 「자치」를 이상으로 하면서도, 강제력에 의해서 「통합」을 이룩하려는 통치를 현실로 하고 있다. 이것은 선악 양성을 아울러 가지고 있는 인간의 사회생활에 있어서는 좀처럼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그런데 인간생활에서는 개인의 자발성을 너무 강조하계 되면, 잘못하면 통합이 잘 이룩되지 못할 우려가 없지 않으며, 통합을 너무 강조하게 되면 이번에는 개인의 자발성이 손상되기 쉽다. 바로 이러한 사정으로 말미암아 투쟁과 통합, 개인성과 통합성, 권위와 개인, 권력과 자유...와이 조화야 말로 정치학의 가장 기분적인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정치학의 다양함이란 정치학의 생명과도 같은 것이다. 건전한 사회만이 다양한 정치 이론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말 많으면 공산당'이라는 식의 무지와 폭력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제대로 된 정치학과 정치 문화가 꽃필 수 없다.
흔히 오해하기 쉬운 것처럼 정치학과를 나온다고 해서 바로 정치가가 되는 것도 아니고, 또 정치학이 정치가가 되도록 훈련을 시켜 주는 학문인 것도 아니다. 물론 정치학을 권력을 장악하는 기술에 관해 가르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은 정치란 권모술수가 아니면 기껏해야 '정권 장악을 위한 교묘한 기술'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군주는 덕이 있는 사람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늑대와 여우의 성질을 갖는 것이 좋으며, 단지 중요한 것은 덕 있는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라고 말한 이탈리아의 정치 사상가 마키아벨리가 대표적인 예이다. 정치를 이렇게 권력 장악의 수단으로 이해하고 있는 정치 집단이 권좌에 오르면 고통을 당하는 것은 백성들뿐이다. 그래서 가정맹어호, 즉 포악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고 했다.
정치 권력에는 본디 타락하기 쉬운 속성이 있다. 그래서 영국 역사학자 존 액튼 경은 "권력은 부패한다.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정치 권력이 이런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정치를 떠나서는 살 수 없다. 정치는 '필요악'이기도 하다. 정치학은 부패하기 쉬운 정치 권력을 맡을 집단(정당)과 개인(정치가)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그들이 해 나가야 할 일을 제시함으로써 정치 권력이 사회를 올바로 이끌어나가도록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정치학은 '사회 경영의 학문'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보면 정치학의 다양함이란 정치학의 생명과도 같은 것이다. 건전한 사회만이 다양한 정치 이론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말 많으면 공산당'이라는 식의 무지와 폭력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제대로 된 정치학과 정치 문화가 꽃필 수 없다.
흔히 오해하기 쉬운 것처럼 정치학과를 나온다고 해서 바로 정치가가 되는 것도 아니고, 또 정치학이 정치가가 되도록 훈련을 시켜 주는 학문인 것도 아니다. 물론 정치학을 권력을 장악하는 기술에 관해 가르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은 정치란 권모술수가 아니면 기껏해야 '정권 장악을 위한 교묘한 기술'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군주는 덕이 있는 사람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늑대와 여우의 성질을 갖는 것이 좋으며, 단지 중요한 것은 덕 있는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라고 말한 이탈리아의 정치 사상가 마키아벨리가 대표적인 예이다. 정치를 이렇게 권력 장악의 수단으로 이해하고 있는 정치 집단이 권좌에 오르면 고통을 당하는 것은 백성들뿐이다. 그래서 가정맹어호, 즉 포악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고 했다.
정치 권력에는 본디 타락하기 쉬운 속성이 있다. 그래서 영국 역사학자 존 액튼 경은 "권력은 부패한다.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정치 권력이 이런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정치를 떠나서는 살 수 없다. 정치는 '필요악'이기도 하다. 정치학은 부패하기 쉬운 정치 권력을 맡을 집단(정당)과 개인(정치가)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그들이 해 나가야 할 일을 제시함으로써 정치 권력이 사회를 올바로 이끌어나가도록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정치학은 '사회 경영의 학문'이기도 하다.
추천자료
권력을 경영하는 48법칙을 읽고
권력을 경영하는 48법칙
권력이동을 읽고
[권력]일상속의권력-당신들의대한민국- 에 관한 발표보고서
정치권력에 대하여
정치권력의 정통성
[하버마스 공론장이론][권력][인터넷][시민미디어]하버마스 공론장의 의의, 하버마스 공론장...
[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의 학적체계][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이해][커뮤니케이션과 권력]커...
권력, 미란다와 크레덴다
특별권력관계 이론의 연혁
유엔가입국의 권력구조의 특성과 중국의 권력제도와의 비교분석
[가족, 가족 의미, 가족 유형, 가족 기능, 가족 변화, 가족 관점, 가족 구조화, 가족 권력]가...
교장 공모 과정에 관한 미시정치적 분석,분석의틀,미시정치적 관점,이익집단들,권력,전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