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시대적 배경
2. 성령부흥운동의 성격
1) 사경회
2) 죄의 고백
3) 통성 (합심) 기도
4) 새벽기도
5) 전도
3. 백만구령운동
1) 운동의 동기
2) 전국 교회로 확대
3) 운동의 성과
III. 결 론
II. 본 론
1. 시대적 배경
2. 성령부흥운동의 성격
1) 사경회
2) 죄의 고백
3) 통성 (합심) 기도
4) 새벽기도
5) 전도
3. 백만구령운동
1) 운동의 동기
2) 전국 교회로 확대
3) 운동의 성과
III. 결 론
본문내용
담하여 전국적인 전도운동을 전개하였다는 것은 큰 성과이다. 이 전통이 한국교회에 계속 이어졌다는 것은 높이 평가할 만 하다.
평양 주재 선교사중 한 사람인 베어드 목사는 복음이 이처럼 전국적으로 파급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구원받은 사람의 수가 얼마나 되었는지 확실히 모르지만 백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기독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만은 틀림이 없을 것이다.
) 김광수, 한국 기독교 성장사(서울:기독교문사, 1976), p.169.
고 한다. 그리고 변종호 목사는 말하기를 " 백만명 구령 목표가 달성되지는 못하였으나 이 운동은 무언중 한국사회에 큰 유익을 주었으니 망국의 서러움이 크던 때에 새 소망을 찾아 널리 확대 시켰다는 것이다. 이 운동은 분명히 교회를 굳세고 영원한 기초위에 세우는데 큰 힘이 되었다.
) 민경배, 한국 기독교사(서울:기독교서회, 1972), pp.60-61.
고 했다.
Ⅲ. 결 론
해리스는 1908년의 발티모어의 모인 총회에서 보고하기를 " 이 운동의 결과는 매우 좋았다. 교회는 높은 영적 수준에 올라 갔고 깊은 성경지식을 닦은 후이라 광신적인 것은 찾아볼 수 없고 모두 올바른 정신상태로 자기들의 양심의 명령에 동작하였다. 성직소명을 느낀 사람들이 수십명이 생기었고, 한 장소에 2,000여명이나 되는 많은 군중이 모여 성경 공부를 하며 성경을 읽고 질문을 한다. 주정뱅이들, 도박꾼들, 도적들, 간음자들, 살인자들, 의로운체 하는 선비들, 불교인들, 수십명의 마귀 숭배자들이 그리스도안에서 새 사람이 되어 옛것은 영원히 사라졌다.
) L.G.Paik, History oh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Reportor 1907), pp.358-359.
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성령의 바람은 어른들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까지도 영향을 미쳐 이들도 그들대로의 죄를 회개하고 새사람이 되었던 것이다. 어떤 아이는 그가 전에 훔쳐 먹었던 호떡 장사에게 가서 회게하고 그 대금을 보상해 주기도 하여 믿지 않는 사회에 큰 화제 거리가 되니,
) 송길섭, "한국 교회의 성령의 이해," (신학사상 1980 겨울), p.724.
사회가 교회를 쳐다 보기에 이른 것이다.
이 운동은 교회 내부에 영적인 힘을 얻게 되는 동시에 복음에 접한 사람들이 윤리적 생활을 새롭게 하여 도덕적으로 높은 수준을 확립하게 하여 민족의 생활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회의 부흥의 역사가 뜻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예수를 믿고 새 길을 걷게 했다.
이렇게 하여 1907년의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사상 너무나 뚜렷하고 위대한 사건으로서 한국교회는 여기서 얻은 영적인 힘을 가지고 거듭 일어나는 일제하에서 환란과 핍박을 용감하게 이겨가는 예지와 담력을 기르게 되었다. 과연 이 운동이 실제 구원자 증거는 적었으나 또한 한,일 합방의 마지막 비운을 교회에 걸었다가 그 뜻이 이루어지지 못한 까닭으로
) 이영헌, op.cit., p.73.
복합적인 관계가 있겠으나 민족 자체에 새로운길을 찾으려는 노력이 있었다는데에 대한 공헌은 길이 남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주재용, "한국교회 부흥운동의 사적비판," 기독교사상 18권, 1978.
김양선, 한국 기독교사 연구. 서울:기독교문사, 1976.
민경배, 한국 기독교회사. 서울:기독교서회, 1979.
서명원, 한국교회 성장사. 서울:기독교서회, 1966.
곽안전, 한국교사. 서울,기독교서회, 1970.
장희근, 한국 장로교회사. 서울:아성출판사, 1957.
장병일, "부흥운동의 횃불," 기독교사상, 1966.
송길섭, "한국교회의 성령의 이해," 신학사상, 1980.
김광수, 한국 기독교 성장사. 서울:기독교문사, 1972.
민경배, 한국 기독교사. 서울:기독교서회, 1972.
Greham. Lee, How The Spirit came to Pyeung Yang The mission Field Vol.3 No.3 1907.
Harry.A.Rhodes, History df the Korean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S.A. 1884-1934.
S.A.Mottett 자료, An Education ministry in Korea, 1970.
W.W.Barid, The Spirit among Pyeung Yang Student, K.M.F. Vol Ⅲ, 1907.
L.G.Paik, History df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907.
Allen D. CLark, History df Korean Church, The christion litereture Society df Korea, 1963.
목 차
I. 서 론 ------------------------------------ 1
II. 본 론 ------------------------------------ 2
1. 시대적 배경 ------------------------------- 2
2. 성령부흥운동의 성격 ------------------------- 2
1) 사경회 -------------------------------- 3
2) 죄의 고백 ----------------------------- 3
3) 통성 (합심) 기도 ------------------------ 4
4) 새벽기도 ------------------------------ 5
5) 전도 --------------------------------- 6
3. 백만구령운동 ------------------------------ 7
1) 운동의 동기 ---------------------------- 7
2) 전국 교회로 확대 ------------------------ 7
3) 운동의 성과 ---------------------------- 7
III. 결 론 ----------------------------------- 8
참고문헌 ----------------------------------- 9
1907년대 (1895-1929)의 성령이해
장로회 호남신학 대학교 신학과
8 9 0 1 0 0 3 ( 4 학년 )
구 제 상
평양 주재 선교사중 한 사람인 베어드 목사는 복음이 이처럼 전국적으로 파급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구원받은 사람의 수가 얼마나 되었는지 확실히 모르지만 백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기독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만은 틀림이 없을 것이다.
) 김광수, 한국 기독교 성장사(서울:기독교문사, 1976), p.169.
고 한다. 그리고 변종호 목사는 말하기를 " 백만명 구령 목표가 달성되지는 못하였으나 이 운동은 무언중 한국사회에 큰 유익을 주었으니 망국의 서러움이 크던 때에 새 소망을 찾아 널리 확대 시켰다는 것이다. 이 운동은 분명히 교회를 굳세고 영원한 기초위에 세우는데 큰 힘이 되었다.
) 민경배, 한국 기독교사(서울:기독교서회, 1972), pp.60-61.
고 했다.
Ⅲ. 결 론
해리스는 1908년의 발티모어의 모인 총회에서 보고하기를 " 이 운동의 결과는 매우 좋았다. 교회는 높은 영적 수준에 올라 갔고 깊은 성경지식을 닦은 후이라 광신적인 것은 찾아볼 수 없고 모두 올바른 정신상태로 자기들의 양심의 명령에 동작하였다. 성직소명을 느낀 사람들이 수십명이 생기었고, 한 장소에 2,000여명이나 되는 많은 군중이 모여 성경 공부를 하며 성경을 읽고 질문을 한다. 주정뱅이들, 도박꾼들, 도적들, 간음자들, 살인자들, 의로운체 하는 선비들, 불교인들, 수십명의 마귀 숭배자들이 그리스도안에서 새 사람이 되어 옛것은 영원히 사라졌다.
) L.G.Paik, History oh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Reportor 1907), pp.358-359.
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성령의 바람은 어른들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까지도 영향을 미쳐 이들도 그들대로의 죄를 회개하고 새사람이 되었던 것이다. 어떤 아이는 그가 전에 훔쳐 먹었던 호떡 장사에게 가서 회게하고 그 대금을 보상해 주기도 하여 믿지 않는 사회에 큰 화제 거리가 되니,
) 송길섭, "한국 교회의 성령의 이해," (신학사상 1980 겨울), p.724.
사회가 교회를 쳐다 보기에 이른 것이다.
이 운동은 교회 내부에 영적인 힘을 얻게 되는 동시에 복음에 접한 사람들이 윤리적 생활을 새롭게 하여 도덕적으로 높은 수준을 확립하게 하여 민족의 생활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회의 부흥의 역사가 뜻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예수를 믿고 새 길을 걷게 했다.
이렇게 하여 1907년의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사상 너무나 뚜렷하고 위대한 사건으로서 한국교회는 여기서 얻은 영적인 힘을 가지고 거듭 일어나는 일제하에서 환란과 핍박을 용감하게 이겨가는 예지와 담력을 기르게 되었다. 과연 이 운동이 실제 구원자 증거는 적었으나 또한 한,일 합방의 마지막 비운을 교회에 걸었다가 그 뜻이 이루어지지 못한 까닭으로
) 이영헌, op.cit., p.73.
복합적인 관계가 있겠으나 민족 자체에 새로운길을 찾으려는 노력이 있었다는데에 대한 공헌은 길이 남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주재용, "한국교회 부흥운동의 사적비판," 기독교사상 18권, 1978.
김양선, 한국 기독교사 연구. 서울:기독교문사, 1976.
민경배, 한국 기독교회사. 서울:기독교서회, 1979.
서명원, 한국교회 성장사. 서울:기독교서회, 1966.
곽안전, 한국교사. 서울,기독교서회, 1970.
장희근, 한국 장로교회사. 서울:아성출판사, 1957.
장병일, "부흥운동의 횃불," 기독교사상, 1966.
송길섭, "한국교회의 성령의 이해," 신학사상, 1980.
김광수, 한국 기독교 성장사. 서울:기독교문사, 1972.
민경배, 한국 기독교사. 서울:기독교서회, 1972.
Greham. Lee, How The Spirit came to Pyeung Yang The mission Field Vol.3 No.3 1907.
Harry.A.Rhodes, History df the Korean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S.A. 1884-1934.
S.A.Mottett 자료, An Education ministry in Korea, 1970.
W.W.Barid, The Spirit among Pyeung Yang Student, K.M.F. Vol Ⅲ, 1907.
L.G.Paik, History df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907.
Allen D. CLark, History df Korean Church, The christion litereture Society df Korea, 1963.
목 차
I. 서 론 ------------------------------------ 1
II. 본 론 ------------------------------------ 2
1. 시대적 배경 ------------------------------- 2
2. 성령부흥운동의 성격 ------------------------- 2
1) 사경회 -------------------------------- 3
2) 죄의 고백 ----------------------------- 3
3) 통성 (합심) 기도 ------------------------ 4
4) 새벽기도 ------------------------------ 5
5) 전도 --------------------------------- 6
3. 백만구령운동 ------------------------------ 7
1) 운동의 동기 ---------------------------- 7
2) 전국 교회로 확대 ------------------------ 7
3) 운동의 성과 ---------------------------- 7
III. 결 론 ----------------------------------- 8
참고문헌 ----------------------------------- 9
1907년대 (1895-1929)의 성령이해
장로회 호남신학 대학교 신학과
8 9 0 1 0 0 3 ( 4 학년 )
구 제 상
키워드
추천자료
지방자치선거
여호와의증인
사랑의 집짓기
낙태의 현실과 실태, 나아가야할 방향의 제시
6월 항쟁의 배경과전개 과정
한국의 노사 분규 실태와 노사관계 개선 필요성 및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실례 : 현대그룹 ...
여러가지 수상스포츠
비영리조직(비영리기관) 성장,원인, 비영리기관(비영리기관) 마케팅 개념도입, 비영리기관(비...
스쿼시의 역사와 장비 기본동작 및 경기방법
[종교분쟁][나이지리아][이라크][이스라엘][팔레스타인]종교분쟁의 실태, 나이지리아의 종교...
[인터넷][가상공간][가상현실][가상사회]인터넷 가상공간, 인터넷 가상현실, 인터넷 가상사회...
YWCA 방문 보고서
영양학) 비만이란?
<커쇼의 어라이즈> [독후감. 요약] 클레이튼 커쇼 & 엘런 커쇼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