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노니아 교회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삼위일체론과 교회론
Ⅲ. 삼위 하나님의 역사(歷史) 안에 있는 교회의 코이노니아적 삶
Ⅳ. 삼위일체 하나님의 코이노니아 안에 있는 교회의 삶

본문내용

l, Das Volk Gottes(Darmstadt, 1963), 6쪽 이하.
18. K. Barth, KD Ⅳ/1, 22쪽. K. Barth에 의하면 하나님의 모든 의지는 바로 계약의지이다. 그러므로 그는 창조조차도 하나님의 영원한 계약의 표명, 계시 및 실행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창조는 계약의 외적 근거로, 계약은 창조의 내적 근거로 이해되었다. K. Barth, KD Ⅲ/1, 38, 106쪽 이하, 258쪽.
19. Kin FLW, 93쪽.
20. 앞의 글, 93쪽 이하.
21. N. A. Dahl, 같은 책, 6쪽 이하.
22. 앞의 책, 38쪽 이하, M. Keller, Volk Gottes als Kirchenbegriff(Zurich: Einsiedeln: Koln, 1970), 252쪽 이하.
23. Kin FLW, 26쪽.
24. G. Lohfink, Wie hat Jesus Gemeinde Gewollt(Herder, 1982), 17-41쪽 참조.
25. N. A. Dahl, 같은 책, 144쪽 이하, W. Huber, 이신건 역, 교회(한국신학연구소, 1990), 68쪽 이하 참조.
26. N. A. Dahl, 같은 책, 144쪽 이하, W. Huber, 같은 책, 68쪽 이하 참조.
27. K. Barth, 같은 책, 781쪽 이하.
28. J. Moltmann, 같은 책, 80쪽.
29. Kin FLW, 95쪽.
30. J. Moltmann, 같은 책, 38쪽 이하.
31. J. Moltmann, 같은 책, 38쪽 이하.
32. 앞의 글, 96쪽 이하.
33. J. Moltmann, 같은 책, 146쪽 이하.
34. Kin FLW, 99쪽.
35. J. Moltmann, 김균진, 김명용 역, 예수 그리스도의 길(대한기독교서회, 1996), 398쪽.
36. 앞의 책, 426쪽 이하.
37. Kin FLW, 100쪽(번역상 약간의 오역이 있기에 교정함).
38. J. Moltmann, 김균진 역, 생명의 영(대한기독교서회, 1993), 291쪽 이하 참조.
39. H. J. Kraus, Heiliger Geist(Kosel, 1986), 106쪽 이하.
40. E. Schweizer, 김균진 역, 성령(대한기독교서회, 1982), 145쪽.
41. H. Kung, 같은 책, 128쪽 이하 참조.
42. K. Barth, KD Ⅳ/1, 718쪽 이하 Ⅳ/2, 695쪽 이하, Ⅳ/3, 780쪽 이하.
43. J. Moltmann,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47쪽.
44. Y. Congar, Der Heiliger Geist(Herder, 1982), 167쪽 이하.
45. E. Schweizer, 같은 책, 152쪽 이하.
46. Kin FLW, 97쪽.
47. K. Barth KD Ⅳ/2, 726쪽 참조.
48. W. Huber, 같은 책, 71쪽 참조.
49. Kin FLW, 98쪽.
50. 앞의 글, 95쪽.
51. 앞의 글, 98쪽.
52. 앞의 글, 99쪽.
53. 몰트만의 말대로 삼위일체의 구조는 그리스도 일원론과 열광주의적 성령론을 극복할 수 있다. 이것은 그리스도 중심주의나 성령 중심주의에 비해 하나님 중심주의를 보존한다. 위르겐 몰트만, 생명의 영, 107쪽. 그런데 하나님은 삼위일체적 사귐 안에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삼위일체의 구조와 무관한 하나님 중심주의는 군주론(君主論)이나 양태론(樣態論)에 떨어진다. 이 문제의 극복이 없는 하나님 중심주의(예를 들면 종교다원주의)는 교회의 전통과 교회의 일치를 훼손하는 모험을 감수해야 한다.
54. 이에 대해서는, 졸저, 칼 바르트의 교회론(성광문화사, 1989), 243-274쪽 참조.
55. 이에 대해서는, M. Schmaus, Das gegenwartige Verhaltnis von Leib Christi und Volk Gottes, in: Volk Gottes(Herder, 1967), 24쪽 이하 참조.
56. H. Kung, 같은 책, 115쪽 이하.
57. M. Schmaus, 같은 책, 26쪽 이하 참조.
58. 교회를 특히 사회학적으로 규명한 교의학적 저서로서는 D.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Munchen, 1960)가 유명하다. 본인은 여기서 제한적으로 이 책과 대화한다.
59. 같은 책, 103쪽 이하.
60. 이와 같은 견해로써 바르트는 당대의 현대주의자들, 즉 자유주의자들의 교회관을 반박했다. 교회는 하나님의 계시로부터 인간에게 흘러들어왔다고 믿어지는 인상, 경험 및 자극을 보호하기 위해 자유롭게 결성된 단체가 아니다. K. Barth, Verheiβung und Verantwortung der christlichen Gemeinde im heutigen Zeitgeschehen, in: ders., Eine Schweizer Stimme(Zurich, 1945), 167쪽.
61. K. Barth, KD Ⅳ/1, 738쪽 이하.
62. E. Kasemann, Amt und Gemeinde im Neuen Testament와 Einheit und Viefalt in der neutestamentlichen Lehre von der Kirche, in: ders., Exegetische Versuche und Besinnungen(Gottingen, 1964), 109쪽 이하, 266쪽 이하 참조.
63. D. Bonhoeffer, 같은 책, 104쪽.
64. 이에 대해서는, H. Kung, 같은 책, 138쪽 이하 참조.
65. K. Barth, KD Ⅳ/1, 728쪽 이하 참조.
66. K. Barth, KD Ⅳ/3(2 Halfte), 840쪽 이하 참조.
67. 앞의 책, 872쪽 이하.
68. D. Bonhoeffer, Widerstand und Ergebung(Munchen, 1970), 306쪽.
69. G. Lohfink, 같은 책, 160쪽 이하.
70. G. Bornkamm, μυστ?ριον, ThW Ⅳ, 821쪽.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