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교사대학 자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고 일사각오로 싸우다 죽는 길을 택하였다. 그후 노회 명부에서 제명처분 되었고 산정현교회는 폐쇄되었다. 옥중에서 온갖 고문을받으며 5년 수개월을 보낸 주목사는 1944년 47세의 나이로 하나님의 품으로 갔다.
박관준장로 : 기독교인에게 신사참배를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진정서를 작성하였고 13차례나 총독을 만나려고 했으나 실패한 후 안이숙을 대동하고 일본에서 정부 인사를만나 설득하였다. 그러나 아무 소득이 없자 일본 제국의회에 유인물을 살포하여 체포된 후 옥중에서 순교의 관을 썼다.
제15편 교회의 마지막 변절
교회의 친일행각 : 1939년 종교단체법을 만들어 각 도시에 한 교회만 허용하고 신책 설치, 국미의례 및 수탈과 부역을 강요하였다. 감리교는 1940년 10월 일본정신의 함양, 일본적 복음을 결의하였다. 1942년 교회수가 750개 감소했고 교인수도 76,747명이 줄었다. 9월에는 전국장로교회가 국방헌금을 모은 돈으로 비행기1대, 병기 2정을 사서 헌나하기도 했다. 일제는 찬송가에 제재를 가했고 사도신경도 금지시켰고 예배5분전에는 천황의 사진에 요배를 하고 출정장병을 위한 기원, 황국식민서사를 한 후 예배를 시작하였다. 일제는 결국 기독교회 파괴 공작을 노골화하여 작은 교단들을 해체시켰다.(성결교, 안식교, 성공회등) 그 이유는 그리스도의 주권사상, 재림설, 반정론 및 평화사상, 극제적 제휴둥의 이유로 군소교단을 해체시켰다.
혁신교단 : 전쟁 수행을 원활히 하기위해 장, 감이 통합하여 새로운 교단을 만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혁신교단이다. 또한 일본은 1941년 30여개에 이르는 교파를 통합하여 하나의 교회로 합동을 이루었다. 교회병합에 의해 없어진 예배당과 건물로 인해 생긴 돈은 모두 국방헌금로 전환되었다.
제16 해방후의 한국교회
1946. 9. 경남노회에서 고려신학교 설립(박윤선, 한상동 목사)
한상동 목사 경남노회 탈퇴
1947. 4. 조선신학교 학생 51명이 김재준 교수는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진정서를 총회에 제출
1948. 2. 박형룔 고려신학교장 사임
1951. 한국신학대학 문교부로부터 대학인가
총회신학교 개교, 총회에서 조선신학교의 합법성 부인
고려신학교파 소위 고려파 장로회 분리
1953 조선신학교파 기독교장로회 분립
1954 통일교 조직
1955 감리교에 전밀라 목사 안수로 한국 최초의 여목사 탄생
1955 전도관 창설(박태선)
1959. 9. 장로교 통합, 합동 양파로 분열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