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자아(自我)란
2. 여러학자들의 자아에 대한 견해
3. 자아의 기능
4. 자아심리이론의 연구 동기
5. 자아심리학의 특징 및 주요 개념
Ⅱ. 본 론
1. 인간관
2. 기본가정
3. 주요개념
1) 자아(ego)
2) 이드(id)
3) 초자아(super ego)
4. 사회심리 이론
1) 배경
2)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3)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특징
4)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8단계
① 양극의 단계(Bipolar Stages)
② 순환적 과정(A Cyclical Process)
③ 후성설적 기반(Epigenetic Ground Plan)
④ 과거와 현재의 조화
5) 심리사회적 발달의 단계별 특성
인간 행동의 설명
Ⅰ.유아기(infancy)
Ⅱ.초기 아동기
Ⅲ.학령 전기
Ⅳ.학령기
Ⅴ.청소년기
Ⅵ.초기성인
Ⅶ.중·장년기
Ⅷ.노년기
5.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1)가족 집단
2)사회문화체계
6.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심리적 건강과 증산에 관한 관점
2)치료 목적
3)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치료의 기법
7. 프로이드와 에릭슨 이론의 차이점
Ⅲ. 결 론
*참고 문헌
1. 자아(自我)란
2. 여러학자들의 자아에 대한 견해
3. 자아의 기능
4. 자아심리이론의 연구 동기
5. 자아심리학의 특징 및 주요 개념
Ⅱ. 본 론
1. 인간관
2. 기본가정
3. 주요개념
1) 자아(ego)
2) 이드(id)
3) 초자아(super ego)
4. 사회심리 이론
1) 배경
2)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3)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특징
4)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8단계
① 양극의 단계(Bipolar Stages)
② 순환적 과정(A Cyclical Process)
③ 후성설적 기반(Epigenetic Ground Plan)
④ 과거와 현재의 조화
5) 심리사회적 발달의 단계별 특성
인간 행동의 설명
Ⅰ.유아기(infancy)
Ⅱ.초기 아동기
Ⅲ.학령 전기
Ⅳ.학령기
Ⅴ.청소년기
Ⅵ.초기성인
Ⅶ.중·장년기
Ⅷ.노년기
5.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1)가족 집단
2)사회문화체계
6.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심리적 건강과 증산에 관한 관점
2)치료 목적
3)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치료의 기법
7. 프로이드와 에릭슨 이론의 차이점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도 불구하고 많은 성격심리학자들은 에릭슨의 이론적 노력이 프로이드의 이론과는 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다.
Ⅲ. 결 론
자아심리학자들은 자아의 학습 및 행동능력에 초점을 두고 정신건강과 적응을 설명하고 있다. 충동이나 본능에 강조점을 두었던 전통적 정신분석이론과는 달리, 자아심리학자들은 환경에 대한 대처 및 지배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중요시 여긴다. 바일란트(Vaillant)(1977)는 자아방어에 대한 정신분석적 개념을 보다 확대했다. 그는 아동기 때의 외상은 이후의 적응에 중요한 예측요인이 되지 못하며, 이러한 외상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직선적 원인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관계로 성인기 때의 정신병리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을 생후 5년 간의 정신적 외상에서 찾았지만, 에릭슨(Erikson)은 어떤 심리적 현상이라도 반드시 생물학적, 행동적, 경험적, 사회적 요인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보고 있다. 즉, 개인과 환경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보는 비직선적 원인론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을 총체적인 존재로 보고 있으며 환경 속의 존재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병리에 하나의 원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가 함께 있다고 보았다.
에릭슨(Erikson)은 치료적 접근방법에서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적 원칙을 받아들여 정신치료의 1차적인 목적을 내담자가 속해 있는 연령대의 규범적 위기와 발달단계를 이해하는 통찰에 두고 있다. 치료해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아의 통찰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있는데 에릭슨(Erikson)은 자신의 인생에 대한 선택권을 자유롭게 행사하고 삶을 창조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라고 하였다. 에릭슨(Erikson)에 의하면 정신치료에서는 치료자가 내담자를 해석하여 그에 대한 치료적 분석을 지지해주는 것이 임상적 치료관계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내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의사소통의미를 알지 못한다고 보아 치료자의 내담자에 대한 해석은 발달적이고 역사적 통찰을 확대해주므로 치료적이라고 에릭슨(Erikson)은 보았다.
에릭슨(Erikson)의 이론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로 나눌 수 있다. 긍정적인 평가로
첫 번째, 에릭슨(Erikson)은 인간발달의 8단계를 발견하여 프로이드(Freud)의 이론을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인간발달의 8단계는 각 단계마다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욕발달이론의 보편적인 이슈들을 기술하였고, 전 생애를 포함하도록 단계를 확장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사회적 요인들이 어떻게 개입되는지를 제시하였다. 즉, 에릭슨(Erikson)은 인간성격의 건전한 발달을 위한 가능성에 대해서 새로운 통찰을 프로이드(Freud)의 이론을 확대, 발달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프로이드(Freud)는 성숙을 억압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본능적인 충동의 방향을 이끌어가지만 에릭슨(Erikson)은 자율성, 주도성과 같은 자아양식 및 보편적인 자아속성의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한 마디로 말해서 에릭슨(Erikson)은 프로이드(Freud)의 성숙의 개념을 보다 더 긍정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은
첫 번째, 자아발달의 여러 측면들을 프로이드(Freud)의 성적 신체부위에 너무 무리하게 연결시키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에릭슨(Erikson)에 의하면, 각 신체부위마다 자아가 외부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특징적 양식이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화이트(White)(1960)에 의하면 자아 성장은 유능성을 얻으려는 일반적인 성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
두 번째, 에릭슨(Erikson)은 (Freud)의 이드(Id), 무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것 대신 자아, 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것을 강화함으로써 Freud의 이론을 완화시킨 것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세 번째, 에릭슨(Erikson)은 아름답고 유려한 문장으로 이론을 전개하고 있지만, 이론과 개념들이 모호하여 명료한 이해와 경험적 연구를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그 예로 그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지혜를 얻게 되는 노년기에 성장의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생애를 돌이켜보게 하는 생물학적 성향은 있을지 모르지만, 이것이 어떻게 성숙과정의 일부분인지 분명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성숙이 어떻게 성인기의 다른 단계들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에릭슨(Erikson)의 이론은 피아제(Piaget)과 함께 발달심리학계에서 지대한 공헌을 인정받고 있다. 프로이드(Freud)와 마찬가지로 에릭슨(Erikson)의 이론은 심오한 것이라 훌륭한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노력으로 그의 이론의 훌륭한 실증적 연구가 산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문헌
신금자외 4명 2001. <사회복지 실천론> 고헌 출판사 p. 59∼67
엄명용외 5명 2001. <사회복지 실천의 이해 > 학지사 p. 118∼120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 개념과 탐구> 학지사 p. 17∼137
김형태 1998.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연구> 한남대학교 출판사 p. 16∼74
김동배 권중돈 1998. <인간행동 이론과 사회복지의 실천> 학지사 p. 221∼245
최순남 199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신대학교 출판부 p. 206∼259
http://kr.encyl.yahoo.com/final.html ? id=131638
http://kr.kordic.yahoo.com/result.html?p=%co%da%de%c6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5.htm
http://my.netian.com/~ldseoul/Erikson.htm
http://home.mokwon.ac.kr/~p1316/thesis/eri.html
http://cyberwelfare.or.kr/ind03-1/indmain03_2p6.htm
http://www.psychoanalysis.co.kr/psy/psy4.php
Ⅲ. 결 론
자아심리학자들은 자아의 학습 및 행동능력에 초점을 두고 정신건강과 적응을 설명하고 있다. 충동이나 본능에 강조점을 두었던 전통적 정신분석이론과는 달리, 자아심리학자들은 환경에 대한 대처 및 지배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중요시 여긴다. 바일란트(Vaillant)(1977)는 자아방어에 대한 정신분석적 개념을 보다 확대했다. 그는 아동기 때의 외상은 이후의 적응에 중요한 예측요인이 되지 못하며, 이러한 외상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직선적 원인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관계로 성인기 때의 정신병리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을 생후 5년 간의 정신적 외상에서 찾았지만, 에릭슨(Erikson)은 어떤 심리적 현상이라도 반드시 생물학적, 행동적, 경험적, 사회적 요인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보고 있다. 즉, 개인과 환경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보는 비직선적 원인론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을 총체적인 존재로 보고 있으며 환경 속의 존재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병리에 하나의 원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가 함께 있다고 보았다.
에릭슨(Erikson)은 치료적 접근방법에서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적 원칙을 받아들여 정신치료의 1차적인 목적을 내담자가 속해 있는 연령대의 규범적 위기와 발달단계를 이해하는 통찰에 두고 있다. 치료해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아의 통찰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있는데 에릭슨(Erikson)은 자신의 인생에 대한 선택권을 자유롭게 행사하고 삶을 창조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라고 하였다. 에릭슨(Erikson)에 의하면 정신치료에서는 치료자가 내담자를 해석하여 그에 대한 치료적 분석을 지지해주는 것이 임상적 치료관계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내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의사소통의미를 알지 못한다고 보아 치료자의 내담자에 대한 해석은 발달적이고 역사적 통찰을 확대해주므로 치료적이라고 에릭슨(Erikson)은 보았다.
에릭슨(Erikson)의 이론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로 나눌 수 있다. 긍정적인 평가로
첫 번째, 에릭슨(Erikson)은 인간발달의 8단계를 발견하여 프로이드(Freud)의 이론을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인간발달의 8단계는 각 단계마다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욕발달이론의 보편적인 이슈들을 기술하였고, 전 생애를 포함하도록 단계를 확장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사회적 요인들이 어떻게 개입되는지를 제시하였다. 즉, 에릭슨(Erikson)은 인간성격의 건전한 발달을 위한 가능성에 대해서 새로운 통찰을 프로이드(Freud)의 이론을 확대, 발달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프로이드(Freud)는 성숙을 억압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본능적인 충동의 방향을 이끌어가지만 에릭슨(Erikson)은 자율성, 주도성과 같은 자아양식 및 보편적인 자아속성의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한 마디로 말해서 에릭슨(Erikson)은 프로이드(Freud)의 성숙의 개념을 보다 더 긍정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은
첫 번째, 자아발달의 여러 측면들을 프로이드(Freud)의 성적 신체부위에 너무 무리하게 연결시키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에릭슨(Erikson)에 의하면, 각 신체부위마다 자아가 외부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특징적 양식이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화이트(White)(1960)에 의하면 자아 성장은 유능성을 얻으려는 일반적인 성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
두 번째, 에릭슨(Erikson)은 (Freud)의 이드(Id), 무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것 대신 자아, 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것을 강화함으로써 Freud의 이론을 완화시킨 것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세 번째, 에릭슨(Erikson)은 아름답고 유려한 문장으로 이론을 전개하고 있지만, 이론과 개념들이 모호하여 명료한 이해와 경험적 연구를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그 예로 그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지혜를 얻게 되는 노년기에 성장의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생애를 돌이켜보게 하는 생물학적 성향은 있을지 모르지만, 이것이 어떻게 성숙과정의 일부분인지 분명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성숙이 어떻게 성인기의 다른 단계들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에릭슨(Erikson)의 이론은 피아제(Piaget)과 함께 발달심리학계에서 지대한 공헌을 인정받고 있다. 프로이드(Freud)와 마찬가지로 에릭슨(Erikson)의 이론은 심오한 것이라 훌륭한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노력으로 그의 이론의 훌륭한 실증적 연구가 산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문헌
신금자외 4명 2001. <사회복지 실천론> 고헌 출판사 p. 59∼67
엄명용외 5명 2001. <사회복지 실천의 이해 > 학지사 p. 118∼120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 개념과 탐구> 학지사 p. 17∼137
김형태 1998.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연구> 한남대학교 출판사 p. 16∼74
김동배 권중돈 1998. <인간행동 이론과 사회복지의 실천> 학지사 p. 221∼245
최순남 199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신대학교 출판부 p. 206∼259
http://kr.encyl.yahoo.com/final.html ? id=131638
http://kr.kordic.yahoo.com/result.html?p=%co%da%de%c6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5.htm
http://my.netian.com/~ldseoul/Erikson.htm
http://home.mokwon.ac.kr/~p1316/thesis/eri.html
http://cyberwelfare.or.kr/ind03-1/indmain03_2p6.htm
http://www.psychoanalysis.co.kr/psy/psy4.php
추천자료
부모자아, 아동자아, 성인자아에 대해 설명하고 각 자아가 고정 된 상태의 사람들이 나타내는...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과 마샤의 자아정체감의 네 유형 및...
★부모자아, 아동자아, 성인자아의 설명과 자아가 고정 된 상태의 사람들이 나타내는 행동의 ...
부모자아, 아동자아, 성인자아에 대해 설명하고 각 자아가 고정 된 상태의 사람들이 나타내는...
프로이드의 자아방어기제 중 자신이 평소에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자아방어기제 2가지 이...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자아개념과 자존감, 자아정체감의 의미, 자아정체감은 청년기에 문...
자아정체감의 개념, 자아정체감의 형성과 의미,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이 중요시되는 이유, ...
[자아] 성격이론과 자아개념 (성격이론과 자아개념, 자아관련 용어와 이들의 상호관계, 적응 ...
자아기능(정신건강론,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자아기능, 자아기능의정신건강) PPT
자아개념의 정의(개념)와 분류(유형), 자아개념의 발달, 자아개념구조,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자아개념의 발달(영아기 자아발달, 유아기 자아발달, 학령기 자아발달, 청소년기 자아발달)
자아(The Self),자아란 무엇인가,자아개념,자아의식,소비와 자아개념,자아 존중감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자아개념의 의미와 기능, 자아존중감 발달에 영햐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