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화
▨ 인간 Human Being
▨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일상 생활
▨ 일탈 deviant behavior
▨ 범죄
▨ 성 Gender
▨ 계층과 계급
▨ 집단group과 조직organization
▨ 인간 Human Being
▨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일상 생활
▨ 일탈 deviant behavior
▨ 범죄
▨ 성 Gender
▨ 계층과 계급
▨ 집단group과 조직organization
본문내용
조직체
ex. ILO, WHO, WTO,...
ii. non-governmental organization(NGO) ; 민간 차원의 국제 기구
- 조류보호협회, Green Peace
cf. 우리나라의 국제화를 NGO의 참여 수준에서 볼 때....요원
Media에 의한 문화 전파 ; spill-over - 전파의 월경
-▶ 문화제국주의
; 국제적 협약에 의한 통제 필요
과학 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확대 -▶ 사회 변화에 영향
▨ 도시
i.중세 서양의 도시는 개인적 자유.개성의 상징 - "도시로 가면 자유로와 진다"
동양의 도시는 전통의 보루 (M.Weber)
ii.한국 ; 양반 -▶ 村 vs. 일본 ; 武士 -▶ 城
; 우리 사회는 전통적으로 촌락에 대한 향수 내재, 도시의 비정함..
-▶ 근대에 들어서며 삶의 공간이 도시화
1. L. Wirth 도시성
비인격적.계산적 관계, 익명성 ; 농촌의 인격적 관계에 대비
2. C. Fisher
도시의 익명성 보장으로 인해 독자적 하위문화 구성
; 다양한 문화 제공 -▶ 자유로운 사회적 공간 확보
3. D. Harvey
도시는 '정치적.경제적 논리에 의해 창조된' 공간
i.집합적 소비 collective consumption의 확장 M.Castells
ii.교육 및 정치적 교화를 위해
ex. 영.호남의 지역적 격차 - 도시 ; 정책적 배려
i.대통령의 고향
ii.해외 수출 주도형 경제구조와 냉전적 논리의 결합
iii.자연지리적 입장 - 항만, 공단의 유리한 입지조건
12/6
▨ 인구
사회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큰 요인 - 경제의 변화
경제적 영역의 변화를 주도하는 힘
i.생산력 ii.technology iii.인구
어느 사회나 인구가 갑자기 늘어나는 시기가 있음
ex. 전쟁 직후 babyboom ; 우리나라의 경우 1950년대 중반~60년대 초반
-▶ 인구 구조에서 일정한 동년배 집단cohort이 돌출
; 돌출된 cohort의 수에 맞춰 제도의 개편이 일어남
ex. 학교 증설 -▶ 졸업 이후 시설의 유휴 현상
1968 중학교 무시험전형 1974 고교 평준화 1980 대학 졸업 정원제
인구는 사회변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의 토대가 된다
-▶ 국민 복지.보험 제도의 기초
W.S. Thompson ; 인구 변천 demographic transition - 인구 변화 3단계설
i.저개발국형 ; 높은 출생률, 높은 사망률(영아사망률)
ii. 개도국형 ; 높은 출생률, 낮은 사망률(의료의 발달)
iii. 선진국형 ; 낮은 출생률(산업의 발달), 낮은 사망률
-▶ 2단계에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
자연적 연령에 의한 인구 구분 ; 사회가 인구 구조에 따라 절대적 연령비에 의해 구분 -▶ 노인.경제활동 가능 인구의 개념 변화 가능
; 55세 이후 퇴직으로 사회 제도로부터 배제 -▶ 피부양층
전체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조절 필요 ; 일자리 확보 등 제도적 어려움
▨ 혁명과 사회운동
주체 subject - 판단의 주체, 행동의 최종적 책임 ; 개인
-▶ 개인의 집합체가 결정.판단 ; actor, agent
집합 행동 collective behavior
여러 개인의 집합체가 하나의 단위로 보일 때 평소의 개인 행동과는 다른 양상
1. 군중 crowd
i.우연한 사건과 관련하여 한 장소에 모이게 된 집단 ex.불구경꾼
ii. G.Le Bon 『The Crowd』
- 인간이 군중의 일원이 되는 순간 개체로서의 판단 실종, 군중 속에서의 익명성으로 인해 과감성.무책임성.영웅주의 등이 나타남
-▶ 군중 심리 ; 군중 행동은 항상 비합리적.폭력적 경향을 띤다.
2. 대중 mass
i.mass media의 영향으로 묶여 있는 집단
ii.개인의 판단과는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정보에 따르는 수동적 집단
3. 공중 public
특정한 issue를 중심으로 모이는 집단, 개인 나름의 판단.생각을 가지고 모임
cf. public opinion 여론
4. 민중 people
정치적.경제적 소외 집단, 피지배계급의 총칭
cf. public history 민중사
5. 계급 class
경제적 생산 관계에 따라 분류되는 집단
-▶ 개체성을 강조하지만 때때로 집단에 의식적.무의식적 참여
- 이러한 집합의 행동은 독특한 양상을 띤다.
i.자연적 집합행동 ; 폭동, 반란, 민란,...
전근대사회에서는 끊임없이 발생
근대사회에서도 종종 발생
ex. LA 흑인 폭동, Chicago 흑인 폭동(1955)
ii.의도적.계획적 ; "사회 운동social movement"
ex. 농민운동, 학생운동, 환경운동,...
; 역사적 사례에서는 이 분류가 쉽지 않다.
ex. 자연 발생적 반란에서 혁명으로 발전
* 인간은 개인적 주체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집합체로서의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 행위의 근본적 책임은 개인이 져야한다는 뿌리 깊은 근대적 사고 방식으로 인해 개인보다는 집단.조직을 강조하는 사회 운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있다.
혁명 revolution
새로운 질서 확립, 순간적인 질서의 개혁
근대 사회 또한 전근대적 사회의 혁명을 통해 발생
역사적 발전은 혁명에 의한 전시대와의 단절을 통해 이루어졌다.
ex. 인도는 혁명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근대화로 이행하지 못함
한국 역사 속에 근대화로 이행하는 혁명이 존재? - 없었다
-▶ 현재 한국사회는 반봉건적 사회(1980년대 일부 학계의 주장)
혁명은 대중적 폭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인
i. K.Marx 계급적 분화.대립 ; 자본가 - 노동자
ii. J. Davis ; J-curve
예상되는 기대치와 현실과의 괴리가 크게 나타나는 순간
상대적 박탈감 relative deprivation
iii. N. J, Smelser ; 구조적 모순의 폭발
구조적 요인, 구조적 긴장, 일반화된 신념의 확산-이데올로기, 촉발요인
의사소통의 통로, 자금.물질적 자원, 사회 통제 기제의 작동
개혁 reformation
기존 체제를 근본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지만 체제내의 변화를 모색
* 사적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공적 영역에서도 개인이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사회의 집합 행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12/15 기말 시험
ex. ILO, WHO, WTO,...
ii. non-governmental organization(NGO) ; 민간 차원의 국제 기구
- 조류보호협회, Green Peace
cf. 우리나라의 국제화를 NGO의 참여 수준에서 볼 때....요원
Media에 의한 문화 전파 ; spill-over - 전파의 월경
-▶ 문화제국주의
; 국제적 협약에 의한 통제 필요
과학 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확대 -▶ 사회 변화에 영향
▨ 도시
i.중세 서양의 도시는 개인적 자유.개성의 상징 - "도시로 가면 자유로와 진다"
동양의 도시는 전통의 보루 (M.Weber)
ii.한국 ; 양반 -▶ 村 vs. 일본 ; 武士 -▶ 城
; 우리 사회는 전통적으로 촌락에 대한 향수 내재, 도시의 비정함..
-▶ 근대에 들어서며 삶의 공간이 도시화
1. L. Wirth 도시성
비인격적.계산적 관계, 익명성 ; 농촌의 인격적 관계에 대비
2. C. Fisher
도시의 익명성 보장으로 인해 독자적 하위문화 구성
; 다양한 문화 제공 -▶ 자유로운 사회적 공간 확보
3. D. Harvey
도시는 '정치적.경제적 논리에 의해 창조된' 공간
i.집합적 소비 collective consumption의 확장 M.Castells
ii.교육 및 정치적 교화를 위해
ex. 영.호남의 지역적 격차 - 도시 ; 정책적 배려
i.대통령의 고향
ii.해외 수출 주도형 경제구조와 냉전적 논리의 결합
iii.자연지리적 입장 - 항만, 공단의 유리한 입지조건
12/6
▨ 인구
사회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큰 요인 - 경제의 변화
경제적 영역의 변화를 주도하는 힘
i.생산력 ii.technology iii.인구
어느 사회나 인구가 갑자기 늘어나는 시기가 있음
ex. 전쟁 직후 babyboom ; 우리나라의 경우 1950년대 중반~60년대 초반
-▶ 인구 구조에서 일정한 동년배 집단cohort이 돌출
; 돌출된 cohort의 수에 맞춰 제도의 개편이 일어남
ex. 학교 증설 -▶ 졸업 이후 시설의 유휴 현상
1968 중학교 무시험전형 1974 고교 평준화 1980 대학 졸업 정원제
인구는 사회변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의 토대가 된다
-▶ 국민 복지.보험 제도의 기초
W.S. Thompson ; 인구 변천 demographic transition - 인구 변화 3단계설
i.저개발국형 ; 높은 출생률, 높은 사망률(영아사망률)
ii. 개도국형 ; 높은 출생률, 낮은 사망률(의료의 발달)
iii. 선진국형 ; 낮은 출생률(산업의 발달), 낮은 사망률
-▶ 2단계에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
자연적 연령에 의한 인구 구분 ; 사회가 인구 구조에 따라 절대적 연령비에 의해 구분 -▶ 노인.경제활동 가능 인구의 개념 변화 가능
; 55세 이후 퇴직으로 사회 제도로부터 배제 -▶ 피부양층
전체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조절 필요 ; 일자리 확보 등 제도적 어려움
▨ 혁명과 사회운동
주체 subject - 판단의 주체, 행동의 최종적 책임 ; 개인
-▶ 개인의 집합체가 결정.판단 ; actor, agent
집합 행동 collective behavior
여러 개인의 집합체가 하나의 단위로 보일 때 평소의 개인 행동과는 다른 양상
1. 군중 crowd
i.우연한 사건과 관련하여 한 장소에 모이게 된 집단 ex.불구경꾼
ii. G.Le Bon 『The Crowd』
- 인간이 군중의 일원이 되는 순간 개체로서의 판단 실종, 군중 속에서의 익명성으로 인해 과감성.무책임성.영웅주의 등이 나타남
-▶ 군중 심리 ; 군중 행동은 항상 비합리적.폭력적 경향을 띤다.
2. 대중 mass
i.mass media의 영향으로 묶여 있는 집단
ii.개인의 판단과는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정보에 따르는 수동적 집단
3. 공중 public
특정한 issue를 중심으로 모이는 집단, 개인 나름의 판단.생각을 가지고 모임
cf. public opinion 여론
4. 민중 people
정치적.경제적 소외 집단, 피지배계급의 총칭
cf. public history 민중사
5. 계급 class
경제적 생산 관계에 따라 분류되는 집단
-▶ 개체성을 강조하지만 때때로 집단에 의식적.무의식적 참여
- 이러한 집합의 행동은 독특한 양상을 띤다.
i.자연적 집합행동 ; 폭동, 반란, 민란,...
전근대사회에서는 끊임없이 발생
근대사회에서도 종종 발생
ex. LA 흑인 폭동, Chicago 흑인 폭동(1955)
ii.의도적.계획적 ; "사회 운동social movement"
ex. 농민운동, 학생운동, 환경운동,...
; 역사적 사례에서는 이 분류가 쉽지 않다.
ex. 자연 발생적 반란에서 혁명으로 발전
* 인간은 개인적 주체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집합체로서의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 행위의 근본적 책임은 개인이 져야한다는 뿌리 깊은 근대적 사고 방식으로 인해 개인보다는 집단.조직을 강조하는 사회 운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있다.
혁명 revolution
새로운 질서 확립, 순간적인 질서의 개혁
근대 사회 또한 전근대적 사회의 혁명을 통해 발생
역사적 발전은 혁명에 의한 전시대와의 단절을 통해 이루어졌다.
ex. 인도는 혁명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근대화로 이행하지 못함
한국 역사 속에 근대화로 이행하는 혁명이 존재? - 없었다
-▶ 현재 한국사회는 반봉건적 사회(1980년대 일부 학계의 주장)
혁명은 대중적 폭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인
i. K.Marx 계급적 분화.대립 ; 자본가 - 노동자
ii. J. Davis ; J-curve
예상되는 기대치와 현실과의 괴리가 크게 나타나는 순간
상대적 박탈감 relative deprivation
iii. N. J, Smelser ; 구조적 모순의 폭발
구조적 요인, 구조적 긴장, 일반화된 신념의 확산-이데올로기, 촉발요인
의사소통의 통로, 자금.물질적 자원, 사회 통제 기제의 작동
개혁 reformation
기존 체제를 근본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지만 체제내의 변화를 모색
* 사적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공적 영역에서도 개인이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사회의 집합 행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12/15 기말 시험
키워드
추천자료
수능부정의 사회학적 분석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총체적 이해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와 사회화에 관한 종합적 이해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와 교육에 관한 총체적 이해
사회학적 마키아벨리주의와 윤리
[스포츠사회학]스포츠와 여성-스포츠에서의 성차별
교육사회학의 여러 가지 이론들이 발생하는 원인
교육사회학의 접근 이론 파워포인트입니다.
[교육사회학 (A+완성)] 교육의 사회적 기능
사회학의 이해 - 영화감상 - 모던타임즈
사회학의 이해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감상문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접근, 대안학교
예술사회학
현대 사회학 이론(구조기능주의, 갈등론, 교환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중 자신이 볼 때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