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둔덕골의 총성]
2. [주민들 시체수습 동원]
3. [삼대독자 경찰서 또 총살]
2. [주민들 시체수습 동원]
3. [삼대독자 경찰서 또 총살]
본문내용
무소에 수감돼 있던 보도연맹원들이라고 한다.
이후 생존자 한명이 사흘간 숲속에 숨어있다가 배가 고파 마을에 내려왔으나 마을사람들은 후환이 두려워 그를 지서에 신고했다. 그는 다시 경찰에 의해 총살됐으나 이과정에서 그는 ‘하동출신의 삼대독자’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밖에도 당시 군인들이 일러주고 간 숫자가 시체의 숫자와 7~8명 정도 차이가 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만큼의 사람들이 살아서 도망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처럼 둔덕 골짜기의 대학살극은 주민들의 증언에 의해서만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을 뿐 어떤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 당시의 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주민들도 모두 60대 중반 이상의 고령이어서 얼마 지나지 않아 영원히 잊혀져버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70대 할머니 한 분은 기자가 당시 학살사건을 묻자 “그때 비도 참 억수로 왔지….”하면서 얘기를 꺼내려다가 옆에 앉아 있던 다른 할머니가 옆구리를 툭 치니 갑자기 입을 다물어 버렸다. 그때부턴 아무리 설득을 해도 “우리는 모른다”며 시치미를 뗐다.
포기하고 돌아서는데, 나지막한 목소리로 이런 말이 들려왔다.
“조심해 이 할망구야. 잡아가면 어쩔려구 그래.”
이후 생존자 한명이 사흘간 숲속에 숨어있다가 배가 고파 마을에 내려왔으나 마을사람들은 후환이 두려워 그를 지서에 신고했다. 그는 다시 경찰에 의해 총살됐으나 이과정에서 그는 ‘하동출신의 삼대독자’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밖에도 당시 군인들이 일러주고 간 숫자가 시체의 숫자와 7~8명 정도 차이가 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만큼의 사람들이 살아서 도망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처럼 둔덕 골짜기의 대학살극은 주민들의 증언에 의해서만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을 뿐 어떤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 당시의 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주민들도 모두 60대 중반 이상의 고령이어서 얼마 지나지 않아 영원히 잊혀져버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70대 할머니 한 분은 기자가 당시 학살사건을 묻자 “그때 비도 참 억수로 왔지….”하면서 얘기를 꺼내려다가 옆에 앉아 있던 다른 할머니가 옆구리를 툭 치니 갑자기 입을 다물어 버렸다. 그때부턴 아무리 설득을 해도 “우리는 모른다”며 시치미를 뗐다.
포기하고 돌아서는데, 나지막한 목소리로 이런 말이 들려왔다.
“조심해 이 할망구야. 잡아가면 어쩔려구 그래.”
추천자료
취재보도논문-(탐사보도와 폭로보도)
제주대학교에 관한 지역 신문의 보도태도에 관한 연구(총장 선거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보도 사진 조사 보고서
노무현,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보도 비교를 통한 보수신문의 편파보도 분석
[뉴스][TV뉴스][텔레비전 뉴스][뉴스 보도]뉴스의 정의,가치와 TV뉴스의 특성, 항목별 분류, ...
공산 혁명(革命)과 학살(虐殺).
[저널리즘론] 언론 보도 분석 『대학생 등록금 문제와 카이스트 사태 보도를 통한 언론의 대...
홀로코스트. 나치와 함께한 미국 기업들 (유대인 대학살에 함께한 IBM)
[2016]최신A+자료][전두환대통령의업적과과오&인물평가][전두환대통령의일대기와리더십][...
[NHK]일본 공영방송 NHK의 편성방침, 쌍방향 프로그램, 일본 공영방송 NHK의 재난보도시스템,...
[독일어권 형성과 변천] 히틀러는 왜 유태인(유대인)을 학살했는가?
『언론보도의 공정성에 관하여』 보도의 공정성이란?, 보도의 공정성에 관한 사례와 의견
국내 언론의 국제 뉴스 비교,조선일보와 한겨레,한국의 국제뉴스 보도 현황,보수와 진보,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