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살진상조사위원회속기록, 양민학살사건증언청취속기록”, 2000
말, “해방후 최대의 양민참극 보도연맹사건”, 1998. 12
민간인학살 진상규명과 명회회복을 위한 범국민위, “2002 민간인 학살 총서”, 2002
반세기를 넘어서” 민간인학살 심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조사에 나서, 거창을 비롯한 함양·산청·문경·함평 등에서도 국군에 의해 저질러진 양민학살사건들이 잇따라 폭로되었다. 양민 학살사건의 유족들과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사람들의 꾸준한 노력으로 96년 3가지의 특별법 거창사건 등 관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 1, 2부 Ⅰ. 제암리학살사건
Ⅱ. 난징대학살사건
Ⅲ. 제주43학살사건
Ⅳ. 315마산학살사건
1. 3.15마산학살사건의 내용
2. 불완전한 민주주의
1) 역사정신과 지배세력
2) 가해자 문제
3) 1960년대의 3.15 의거 정신 규정
Ⅴ. 광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게 된 상황에서 학살 사건을 통해 반성해야할 점을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우선 미군이 양민을 학살한 사건은 아무리 미국이 우리를 도운 우방이라 하더라도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고의로 양민을 학살한 것은 명백한 반인륜적 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울한 죽음을 공식확인해 범국가 차원에서 위령제를 올릴 때가 되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노근리 양민학살사건에 대해 지난 50년간 굳에 닫혀 있던 미국의 입을 열게 한 것은 라는 미국의 언론이었다.
그날 이후 한국의 언론은 너도나도 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