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조사에 나서, 거창을 비롯한 함양·산청·문경·함평 등에서도 국군에 의해 저질러진 양민학살사건들이 잇따라 폭로되었다. 양민 학살사건의 유족들과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사람들의 꾸준한 노력으로 96년 3가지의 특별법 거창사건 등 관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정만을 키울 것이 아니라, 그 진상을 지금보다 더 명백히 밝혀서 우리 후손들은 진정한 주권을 가진 국가의 국민답게 살아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서론
2.본론
-거창양민학살사건의 배경
-거창양민학살사건의 발생
3.결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을 계속할 수 없었다고 한다. 김영택, 한국전쟁과 함평양민학살, 사회문화원,2001, 137~141쪽 참조.
다른 예는 거창양민학살사건이다. 거창학살사건이 일어난 뒤 희생자들의 유족들은 생명을 걸고 이 사실을 전파하려 노력했고 마침내 전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특별위원회
지방정부 - 전라북도의회 6.25양민학살진상실태조사특별위원회, 제주도의회4.3특별위원회,
제한적 성과: 특별법의 제정 - 거창사건(1995.12.20), 4.3사건(1999.12.29 통과, 2000.1.11 대통령 서명), 금정굴 사건.
② 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건을 규명하려는 움직임도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거창양민학살사건의 규명을 위한 움직임, 산청함양남원화순구례 등지의 양민학살 폭로, 당시 거창군 신원면 면장이었던 박영보의 생화장사건(5월 11일) 등이 그것들이다.
3) 제3단계 : 729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