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이 가지고 있는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건축적으로 한옥이 가지고 있는 특성
1) 한옥은 환경을 이루는 하나의 요소이다.
2) 건축을 구성하는 3개의 공간이 있다.
4) 겨울공간-온돌방
5) 여름공간-대청,마루
6) 담장과 문

2.기능적으로 한옥이 가지고 있는 특성
1) 한옥은 겨울과 여름을 모두 수용한다.
2) 한옥은 개방적 구성이다.
3) 한옥은 외부공간과 자연을 수용한다.
4) 주거공간은 여성적인 공간이다.
5) 한옥의 마당

본문내용

호개방이 용이하여 공간의 확대가 용이하고 module에 따른 기본질서가 있어 공간호환도 좋다.
한옥에는 침실,거실,욕실의 개념보다 안방,마루,건넌방,사랑방의 개념이 있다. 오늘날 도시주택에서 거실이 가장 큰방이 되고 안방의 규모가 작아질 경우에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합리적이나 상징적인 측면에서는 가장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경우가 되는 것이다.
● 한옥은 외부공간과 자연을 수용한다.
한옥에는 벽보다 지붕이 중요하다. 지붕은 배척보다 수용의 구조이다. 한옥의 가구식 구조에는 벽이 구조적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 결과 내외부공간의 연결이 좋고 자연으로부터의 일차적인 보호감은 육중해 보이는 지붕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옥에서는 벽이 가변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풍에 좋을 뿐 아니라 내외부공간의 시각적,체험적 일체감이 강하다.이에 따라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깊은 추녀밑 공간을 설정하고,마루와 온돌의 높이를 뜰보다 높인 것이다. 추녀밑의 완충공간은 또 내외부공간의 구분을 명확하지 않고 애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흑백이 분명하지않기 때문에 일본의 어느 건축가는 이를 Gray Space라고 불렀다.
● 주거공간은 여성적인 공간이다.
주택이 여성공간이라 함은 주택에 있어 여성적 자연과 정원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남성에게는 거실이 중요하겠지만 여성에게는 주방과 작업실이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큰 살림집에서 앞마당에는 나무와 꽃을 심어 정원을 가꾸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예:연경당) 이는 이곳이 여성의 공간이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마당이 작업,생활공간이란 점과 또 外間에 노출된, 즉 남성의 출입공간 즉 사랑마당이란 점을 반영하는 거 같다. 즉 道家의 無의 사상의 표현보다는,다목적이고 비어있는 공간의 필요성과 농촌의 경제적 제한, 그리고 남여유별한 전통표현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뒷뜰이 여성의 공간이고, 이곳에 꽃이 심어진다고 한다.
● 한옥의 마당
한옥의 경우 방으로의 진입은 마당을 통하고 방들도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어 거의 모든 방에서 마당이 보인다. 마당이 있기 때문에 각 방은 방문이 열려있어도 외부로부터의 privacy를 유지할 수 있다. 한옥의 마당은 대가족의 경우, 그 수가 증가한다. 안뜰,뒷뜰,또는 사랑마당,안마당,뒷마당의 구분이 그것이다. 유럽의 도시 주택의 경우 아파트의 접근이 마당을 통해 이루어지고, 한옥의 경우 각방이 마당을 통해 접근된다.

키워드

건축,   한옥,   온돌,   대청 마루,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0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