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둔화의 원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Ⅱ. 교회성장의 정의와 근거
1. 용어의 정의
2. 교회성장의 성경적 근거
3. 교회성장의 신학적 근거
Ⅲ. 교회성장론
1. 한국교회 성장의 요인
1) 문화적 요인
2) 교회적 요인
3) 상황적 요인
2. 교회성장론의 특징
3. 교회성장론이 한국교회에 미친 긍정적 영향
4. 교회성장론이 한국교회에 미친 부정적 영향
Ⅳ. 한국교회 성장의 유형분석
1. 동질단위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교회성장 유형
2. 중간영역세서의 토착화된 메시지와
성령신학 중심의 교회성장 유형
3. 실향민을 중심으로 한 교회성장 유형
4. 한국적 부흥신학을 중심으로 한 교회성장 유형
Ⅴ. 한국교회 성장둔화의 원인
1. 신앙구조의 문제
2. 구조적인 문제
3. 가치관의 문제
4. 기능 혹은 역할의 문제
5. 교회외적 요인
6. 교회내적 요인
Ⅵ. 한국교회 성장 회복방안
1. 영성목회의 회복
2. 멀티미디어의 활용
3. 목회영역 분담 - 팀목회
4. 제자훈련 성경공부운동
5. 목회 지도력의 변화
6. 가정목회의 중요성 강조
7. 예배의 갱신
8. 소그룹(구역모임)의 활성화
Ⅶ. 결론 -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독교 출판사, 1976).
두란노서원, 「목회와 신학 7월호, 통권49호」, pp.41-53(1993).
이원규, "해방후 한국인의 종교의식구조 변천연구," 「현대 한국종교변동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노치준, "한국교회의 개교회주의" 이원규 편저, 「한국교회와 사회」(나단, 1989).
이원규, 「한국교회의 사회학적 이해」(성서연구사, 1992).
이원규, 「종교 사회학」(한국신학연구소, 1991).
이원규, "도시교회와 농촌 교회", 이원규편저, 「한국교회와 사회」.
Gregory Baum, 이원규 역, 「종교와 소외」(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이원규, "도시산업 사회와 교회", 이원교 편저, 「한국교회와 사회」.
두란노서원, 「목회와 신학 7월호, 통권49호」(1993).
박아론, 「새벽기도의 신학」, 서울:세종, 1980.
이영헌, 「한국기독교사」, 서울:컨콜디아서, 1985.
백낙준, 「한국개신교사」(1832-1910), 서울:연세대학, 1985.
이원규, "21세기와 선교", 이계준 엮음, 「현대 선교신학」(전망사, 1992).
이원규, "한국 농촌교회의 실태", 「기독교사상」 1992년 3월호.
한국갤럽조사 연구소,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1989).
한국갤럽조사 연구소, 「한국인의 인간가치관」(1990).
Henri NouWen, 「살아있는 기억매체」 성찬성 옮김,(성바오로 출판사, 1992).
유해룡, "한국교회는 영성목회를 회복하라",「목회와 신학」(서울:두란노서원, 1996, 6월호).
최인식, "멀티미디어 시대와 교회의 신학적 과제", 「목회와 신학」(서울:두란노서원, 1996. 1월호).
김광수, "한국교회의 성경공부 운동사", 「기독교사상」(서울:기독교서회, 1981,10월호).
고용수, "21세기 제자화를 위한 성경공부 운동을 모색한다", 「목회와 신학」(서울:두란노서원, 1995, 7월호).
이용원, "어떤 지도력이 차세대에 적합할 것인가", 「목회와 신학」(서울:두란노서원, 1994, 7월호).
권유순, "가정목회와 자녀양육", 「목회와 신학」(서울:두란노서원, 1993, 6월호).
정장복, 「예배학 개론」(서울:종로서적, 1994).
Howard Snyder, 「새 포도주는 새부대에」(서울:생명의 말씀사역, 1987).
론 니콜라스 외, 신재구역, 「소그룹 운동과 교회성장」(서울: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7).
총신대학부설 한국교회문제 연구소 편, 「한국 교회의 현실과 전망」(서울: 풍만, 1987).
D.Mcgavran, Bridge of God(New York:Friendship, 1955).
Eean R.Hoge and Darid A.Roozen(eds) Understanding church Growth and Decline(New York: The Pilgrim Press,1979).
David A.Roozen and Jackson W. Carroll, "Recent Trends in Church Membership and Participation,"Hoge and Roozen(des).
Donald A McGavran and George G. Hunter, Church Growth Strategies that Work(Abingdon/Nashville, 1981), pp. 42-43. Charles Mylander, Secrets for Growing Churches(San Francisco, Harper & Row, 1979).
George G. Hunter, The Contagions Congregation: Frontiers in Evangelism and Church Growth(Nashville:Abingdon, 1979).
Wagner, Your Spiritual Gifts Can Help Your Church Grow(Regal Books, 1979).
Wagner, Church Growth and the Whole Gospel(New York: Harper&Row, 1981).
Wagner, Your Church Can Be Healthy(Nashville:Abingdon Press, 1979).
Carl S. Dudley, Where Have All Our People Gone?(New York: Pilgrim Press, 1979).
Hiebert Paul, "The Flaw of the Excluded Midde" in Missi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 X, No. I, January, 1982.
Wagner, C. Petre, The Third Wave of the Holy Spirit.
Hulbert, H. B., The Passing of Korea, Ney York:Doubleday Page, 1906.403-404, Gale, J. S., Korea in Transition, 1909.
Wimber, Power Evangelism, San Francisco:Harprper&Row, 1986.
Rhodes,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C USA 1934-1964, Seoul, 1964.
Se Ze Cho, "The Impact of Religio-Cultural Factors on Church Growth in Korea," D. Min Dissertation, ITC., 1992.
Lyle E. Schaller; The Senior Pastor(Nashville;Abingdon, 1988).
E. Schilebeeckx, Christ the Sacrament of the Encounter with God(New York:Sheed and Word, 1963).
C. H. Dodd, 'The Sacrament of the Lord's Supper in the New Testament' in Nathaniel Micklem (ed.), Christian Worship: Studies in its History and Meaning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36).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2.10.0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