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정책의 환경.제도.효과의 역동성 - 북방정책 사례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분석틀

Ⅲ. 국내외 환경 및 당국자의 정책목표 인식

Ⅳ. 정책결정 및 집행의 제도.절차

Ⅴ. 북방정책의 단계별 추진과 피드백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물론 제도를 배태하고 있는 정치체계의 유형에 따라 정책목표와 효과 사이의 일치성 여부가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민주주의 체제와 권위주의 체제는 외교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관여하는 조정 및 협의의 규범.규칙.절차 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 민주주의 체제에 비해 권위주의 체제는 정책결정을 산출해 내는 데까지는 더 효과적일 수도 있지만, 정책목표와 일치하는 지속적 효과를 발휘하는 데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는 북방정책의 단계별 추진과정에서도 드러났듯이 환경의 변화, 피드백, 당국자의 인식 수정과 공식적 제도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규범.규칙.절차를 왜곡하는 비공식적 관행의 지속은 결국 정책효과를 낳게 하는 데 실패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된다. 물론 정책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리더십, 정치체계의 유형, 국제정치적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제도가 정책결정 및 집행과 관련한 행위의 매개 메커니즘이라는 점에서 외교정책과 관련하여 제도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특히 그것의 비공식적 속성에 특별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참고문헌
고르바초프, "블라디보스톡 연설", 『사회주의대변혁 핵심문헌 50선』(신동아 1991년 1월호 별책부록), 서울: 동아일보사, 1991.
구종서, "노대통령 외교정책 평가", 『외교』, 24호, 1992년 12월.
김성철, "복합체계론과 신제도주의의 방법론적 연계: 제도의 속성 및 변화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집 3호, 1999.
김용삼, "노태우 전대통령의 육성회고록"(1), 『월간조선』, 1999년 5월호.
김학준, "한국휴전 이후 현재까지의 대한민국의 북방정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한국 북방관계의 정치외교사적 재조명』, 서울: 평민사, 1990.
『동아연감 1988』.
『로동신문』, 1993년 3월 13일.
민족통일연구원, 『북방정책 이후 동북아정세와 한반도 통일환경』(민족통일연구원 통일정세분석 1992-06).
박철언, "한국 북방정책의 현황과 전망", 『민족지성』 57호(1990년 11월), p. 89; 구종서, "노태우 대통령 외교정책의 평가", 『외교』 24호(1992년 12월).
안병준, 『탈냉전기의 국제정치와 한반도통일』, 서울: 법문사, 1993.
이삼성, "북한 핵문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 『북한 핵문제: 전망과 과제』(민족통일연구원 세미나 시리즈 1993-02).
전득주.박준영.김성주.김호섭.홍규덕, 『대외정책론』, 서울: 박영사, 1998.
전웅, "한국외교정책의 전통과 연구현황", 이범준.김의곤 편, 『한국외교정책론: 이론과 실제』, 서울: 법문사, 1993.
정세현, "북방정책에 대한 북한의 반응", 『국제정치논총』 29집 2호, 1989.
한종기, "한국 북방정책의 목표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http://www.yonhapnews.co.kr/news/19990607(검색일: 2000. 4. 25).
Brecher, Michael, The Foreign Policy System of Israel: Setting, Image, Proces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2.
Easton, David, A Systems Analysis of Political Lif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Garrett, Geoffrey and Peter Lange, "Internationalization, Institutions, and Political Ch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 49-4 (Autumn, 1995).
Gourevitch, Peter, "The Second Image Reversed: The International Sources of Domesic Politics," International Organization, 32-4 (Autumn, 1978).
Granovetter, Mark and Richard Swedberg (eds.), The Sociology of Economic Life, Boulder: Westview Press, 1992.
Ikenbery, G. John, "Conclusion: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1 (Winter, 1988).
Krasner, Stephen,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Comparative Politics, 16-3 (January 1984).
March, James G. and Johan P. Olsen, Rediscovering Institutions: The Organizational Basis of Politics, New York: Free Press, 1989.
North, Douglass C.,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Reading, MA: Addison- Wesley, 1997.
Putnam, Robert D., "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The Logic of Two-Level Gam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42-3 (Summer, 1988).
Rosenau, James N. (ed.), Linkage Politics: Essays on the Convergenc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ystems, New York: Free Press, 1969.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0.0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