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조공과 국제관계
Ⅲ.북연(北燕)을 둘러싼 국제분쟁
Ⅳ.북위와의 관계개선
Ⅴ.북위에의 태도
Ⅵ.결론
참고문헌
Ⅱ.조공과 국제관계
Ⅲ.북연(北燕)을 둘러싼 국제분쟁
Ⅳ.북위와의 관계개선
Ⅴ.북위에의 태도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동방지역의 독자적인 문명을 형성하려고 하였다. 그런 상황에서 고구려의 후방 경계인 북중국 세력과의 적대적 관계는 상당한 장애요인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북중국 세력과의 관계에선 친교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북위는 북중국을 제패한 기세로 동쪽으로 적극 진출하려는 의도를 보이자 고구려는 그에 대항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북위도 여러 국내 사정과 유연 등의 위협적인 배후세력에 의해 동진이 난항을 겪자, 고구려로서도 더 이상 북위와의 적대적 관계를 유지할 이유가 없어지게 된다. 그래서 사신을 여럿 파견하여 양국의 우호를 도모하며 북위와의 유동적인 관계를 유지한 것이다.
이로써 고구려는 서쪽으로의 진출보다는 동쪽지역에서의 천손국 이라는 독자적인 천하관을 확립하고 그 천하관을 유지하려는 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것은 5~6세기 광개토대왕 이후의 고구려의 기본적인 정책의 방향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대외적인 정책을 실행하기 위하여 고구려는 주변의 국제정세를 잘 이용하여 대륙에서의 국제분쟁에 휘말리지 않고, 고구려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문명과 천하관을 확립할 수 있었던 것이다. 고구려가 갖고 있던 뛰어난 외교력이 있었기 때문에 큰 전쟁을 하지 않고도 평화를 누리며 번영을 누릴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용만,『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9
권오중 외,『고구려의 국제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5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출판사, 1999
동북아역사재단,『(다시보는) 고구려사』, 동북아역사재단, 2007
손영종, 『고구려사의 제문제』, 신서원, 2000
이로써 고구려는 서쪽으로의 진출보다는 동쪽지역에서의 천손국 이라는 독자적인 천하관을 확립하고 그 천하관을 유지하려는 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것은 5~6세기 광개토대왕 이후의 고구려의 기본적인 정책의 방향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대외적인 정책을 실행하기 위하여 고구려는 주변의 국제정세를 잘 이용하여 대륙에서의 국제분쟁에 휘말리지 않고, 고구려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문명과 천하관을 확립할 수 있었던 것이다. 고구려가 갖고 있던 뛰어난 외교력이 있었기 때문에 큰 전쟁을 하지 않고도 평화를 누리며 번영을 누릴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용만,『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9
권오중 외,『고구려의 국제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5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출판사, 1999
동북아역사재단,『(다시보는) 고구려사』, 동북아역사재단, 2007
손영종, 『고구려사의 제문제』, 신서원, 2000
추천자료
러일전쟁과 국제관계
빈체제와 국제관계
[국제관계] '거대한 체스판'을 읽고 난 후의 독후감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전공문제 및 답안
국제관계 분쟁 동북공정
현대국제관계사 시험대비 정리
[국제관계론] 국민연금의 고갈문제
[국제관계] 공정무역
아시아지역 국제관계의 본래 모습
종교와 국제관계, 종교의 이해, 기능, 종교 분쟁, 영향, 역할,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새로운 국제관계행위주체로서 독립국가연합이 한국에 주는 의미 [CIS 조사]
[국제관계] 동아시아 공동체
[국제관계의 이해] 식민주의자의 세계모델 - 내부와 외부의 역사 요약정리
국제관계학 - 일본의 연중행사 ( 연중행사의 정의, 국경일과 명절의 정의, 일본의 국경일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