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특정한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 방법론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소비자의 개념
2. 청소년 소비자의 특성
3. 소비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II. 연구 결과-청소년 소비의 경향 분석
1. 대중매체의 광고로 인한 충동구매
2. 동조적 소비
3. 과시적 소비
4. 키치적 소비

IV.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고 할 수 있다. 반면 일반고의 경우에서는 67.8%로 키치적 소비가 비교적 뚜렷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들 대부분은 중하류 계층에 속해있고, 따라서 상류층의 소비에 소외감을 느끼고 그 소외감을 해소하기 위해 상류층의 소비를 모방하고 그들만의 독특한 소비문화를 추구한다. 엘리트 문화를 지향하지만 그들의 기대의 좌절을 경험하면서 그 문화를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학력의 차이에 따른 키치적 소비성향의 차이를 설명해주는 원인이 될 것이라고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판단하게 되었다.
이밖에도 본 연구의 결과는 대체적으로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슷했으나, 몇몇 부분에서 기존의 결과와 상이한 결론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사회 일부에서는 청소년을 상당히 몰지각하며 충동적이고, 비이성적으로 보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시각은 기존연구에 일부 반영되어 있기라도 한 듯,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청소년들의 여러 소비성향을 매우 극단적으로 결론짓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청소년들이 비록 충동적이며, 과시적이고, 동조적이긴 하나 나름대로 비판적으로 사고하려는 노력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청소년들의 의식성장이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긍정적인 현상을 대변해주는 사례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각 변수에 따른 결과 중에서도 기존의 연구결과와 차이점을 보이는 것이 조금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집 과정에서 좀 더 체계적인 표집 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분석대상의 대표성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둘째, 표본의 수가 기존연구의 절반정도에 지나지 않아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보완조사가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나 자금사정에 의하여 표본의 수를 제한할 수밖에 없었던 점을 감안해 주길 바란다.
셋째, 표본의 성비가 두드러지게 차이 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연구를 시작할 때에는 성비를 맞추기 위해 남녀공학인 두 학교를 선정하였으나, 불행하게도 두 학교 모두 한 학급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훨씬 많아 이러한 표본을 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언급하고 싶다.
넷째, 설문 조사의 분석 방법이 너무 단순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 통계조사에 대한 명확한 지식을 쌓지 못한 1학년으로서는 최선을 다해서 분석하였음을 말해두고 싶다.
비록, 백분율법 밖에 이용하지 못했으나, 다음 연구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방법을 통해 보다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는데 만전을 기할 것을 다짐하는 바이다.
참고 문헌
김문희,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1995.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디자인·문화·상징의 변증법, 솔, 1997.
김상범, "허위·과대광고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85.
김영옥, "아동소비자기능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7.
김우희, "준거집단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0.
김원수, 광고학개론, 서울:경문사, 1981.
구정화, "청소년 소비문화 현상 및 원인 분석", 서울대학교,1997.
권미화,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2000.
권재욱, "소비자행동에서의 동조에 관한 실증적연구", 서울대학교, 1993.
민현선, "청소년 소비자의 T.V 광고판별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1.
심응철, "일탈행동과 비행" -이춘재·이옥경·서봉연·윤진·이재창·김충기·오경자·이명
숙, 청년심리학, 중앙적성출판부, 1994.
유안진, 아동발달의 이해, 문음사, 1999.
유명의, "의복의 과시적 소비현상과 사회계층과의 관계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3.
이기춘, 소비자교육학, 교문사, 1995.
이기춘 외, 소비자학의 이해, 학현사, 2001.
이길홍, "청소년 동일시 대상의 현재와 미래", 청소년, 1989.
이영욱, 키치란 무엇인가?, 서울: 아트&크래프트, 1992.
임종원·김재일·홍성태·이유재, 소비자행동론-마케팅에의 전략적 활용, 경문사, 1995.
편세린, "청소년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홍성태, 소비자 심리학의 이해, 나남, 1992.
중앙일보 1997년 1월 9일자.
Belk, R. W., R. Mayer and K. Bahn. "the Eye of Beholder :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nsumption Symbolis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982.
Franken and Raaij,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Determinants of Consumer Problem Perception", Journal of Consumer Plicy, vol. 8, 1985.
Grant Mccracken, CULTURE AND CONSUMPTION, Indiana Universty Press, 1988,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1996.
Jean Baudrillard, (La) Societe de consommation : see mythes, see structures,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1992.
Moschis and Churchill, "Consumer Socialization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5, nov, 1979.
Veblen T., Theory of Leisure Class, New York : Penguin Books, 1899, 이완재·최세양 역, 한가한 무리들, 서울 : 동인, 1991.
* 역할 분담
- 설문지 작성 : 정혜은, 채현정 - 문헌 조사 : 이연진, 임현지, 조환두
- 설문지 해석과 평가 및 결론 : 전 원 - 설문지 조사 : 전 원
- 보고서 작성 : 서론 : 채현정 이론적 배경 : 조환두
연구 결과 1 : 이연진 연구 결과 2 : 정혜은
종합 및 결론: 임현지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0.0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