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소비와 저축
1. 소비와 저축의 개념
2. 소비와 저축의 결정요인
3. 소비함수관계와 저축함수관계
Ⅲ. 한계소비성향과 한계저축성향
Ⅳ. 투자
1. 투자의 개념
2. 투자의 결정요인
3. 투자함수관계
Ⅴ. 결론
☆ 참고문헌 ☆
Ⅱ. 소비와 저축
1. 소비와 저축의 개념
2. 소비와 저축의 결정요인
3. 소비함수관계와 저축함수관계
Ⅲ. 한계소비성향과 한계저축성향
Ⅳ. 투자
1. 투자의 개념
2. 투자의 결정요인
3. 투자함수관계
Ⅴ.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이용되는 투자함수이다.
Ⅴ. 결론
소비는 가처분소득에서 일정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재화와 서비스의 지출이고, 저축은 가처분 소득에서 소비를 하고 남은 나머지로 소비되지 않은 사치재를 말한다. 소비는 총지출에서 가장 구성 비중이 큰 항목이고 또 매우 안정적인 지출이므로 이것의 움직임은 경제의 움직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비와 저축은 그 행태가 사실상 같은 것을 나타내고 있어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와 저축이 증가하며,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소비와 저축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와 저축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도 비슷한데 그것은 가처분소득, 자산, 물가수준, 이자율, 예상기대 등이다. 소비함수는 소비자의 소비와 가계의 가처분소득 수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케인스는 소비는 장기적으로 물가, 보유자산의 가치, 미래에 대한 전망, 정부의 정책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단기적으로 주로 현재의 소득, 특히 가처분 소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저축함수는 각 가처분소득 수준에 대하여 가계들이 저축하고자 하는 저축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처분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저축은 더 빨리 증가하며, 가처분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저축은 더 빨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가처분소득이 소비와 저축과 갖게 되는 관계는 그 상관관계가 매우 크다. 저축함수와 소비함수의 관계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투자는 생산설비 및 재고품에 대한 지출로서 투자지출은 경기의 변동이나 국민총소득(GNP)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급격히 변화한다. 투자의 결정요인은 크게 수입, 비용, 예상 측면에서 나타난다. 수입측면에서 보면, 현재의 경제상태와 시장이자율이 투자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비용측면에서는 자본재를 구매하는데 필요한 구입비용에 대한 이자율과 조세는 투자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예상의 측면에서는 미래의 경제상태에 대한 예상은 투자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여 다른 조건이 같더라도 미래의 경제상태에 대한 예상이 매우 낙관적이라면 투자는 증가하게 될 것이며 미래에 대한 전망이 매우 비관적이라면 투자는 감소할 것이다.
투자함수는 투자와 이자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과 투자와 산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있다. 전자는 투자의 크기가 이자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하므로 화폐시장에서 이자율이 변화하는 경우에 유용한 투자함수가 된다. 또 후자는 이자율 등 다른 요소들이 주어져 있는 경우에 투자와 산출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산출량 수준에 따라 투자수요가 얼마나 되는지를 보이는 것이다.
한정된 소득을 가지고 최대의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소비를 하고, 그 나머지를 저축하며, 미래의 소비를 위해 투자를 하는 것에 대해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 경제를 꾸려나갈 필요성이 있다.
★ 참고문헌 ★
ㆍ주성환, 「경제원론 」, 무역경영사, 2002.
ㆍ김기화, 「거시경제학 」, 홍 출판사, 2002.
ㆍ박상수외, 「경제학개론 」,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2.
ㆍ김대우, 「경제학원론 」, 진한도서, 2002.
Ⅴ. 결론
소비는 가처분소득에서 일정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재화와 서비스의 지출이고, 저축은 가처분 소득에서 소비를 하고 남은 나머지로 소비되지 않은 사치재를 말한다. 소비는 총지출에서 가장 구성 비중이 큰 항목이고 또 매우 안정적인 지출이므로 이것의 움직임은 경제의 움직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비와 저축은 그 행태가 사실상 같은 것을 나타내고 있어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와 저축이 증가하며,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소비와 저축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와 저축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도 비슷한데 그것은 가처분소득, 자산, 물가수준, 이자율, 예상기대 등이다. 소비함수는 소비자의 소비와 가계의 가처분소득 수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케인스는 소비는 장기적으로 물가, 보유자산의 가치, 미래에 대한 전망, 정부의 정책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단기적으로 주로 현재의 소득, 특히 가처분 소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저축함수는 각 가처분소득 수준에 대하여 가계들이 저축하고자 하는 저축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처분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저축은 더 빨리 증가하며, 가처분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저축은 더 빨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가처분소득이 소비와 저축과 갖게 되는 관계는 그 상관관계가 매우 크다. 저축함수와 소비함수의 관계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투자는 생산설비 및 재고품에 대한 지출로서 투자지출은 경기의 변동이나 국민총소득(GNP)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급격히 변화한다. 투자의 결정요인은 크게 수입, 비용, 예상 측면에서 나타난다. 수입측면에서 보면, 현재의 경제상태와 시장이자율이 투자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비용측면에서는 자본재를 구매하는데 필요한 구입비용에 대한 이자율과 조세는 투자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예상의 측면에서는 미래의 경제상태에 대한 예상은 투자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여 다른 조건이 같더라도 미래의 경제상태에 대한 예상이 매우 낙관적이라면 투자는 증가하게 될 것이며 미래에 대한 전망이 매우 비관적이라면 투자는 감소할 것이다.
투자함수는 투자와 이자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과 투자와 산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있다. 전자는 투자의 크기가 이자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하므로 화폐시장에서 이자율이 변화하는 경우에 유용한 투자함수가 된다. 또 후자는 이자율 등 다른 요소들이 주어져 있는 경우에 투자와 산출량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산출량 수준에 따라 투자수요가 얼마나 되는지를 보이는 것이다.
한정된 소득을 가지고 최대의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소비를 하고, 그 나머지를 저축하며, 미래의 소비를 위해 투자를 하는 것에 대해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 경제를 꾸려나갈 필요성이 있다.
★ 참고문헌 ★
ㆍ주성환, 「경제원론 」, 무역경영사, 2002.
ㆍ김기화, 「거시경제학 」, 홍 출판사, 2002.
ㆍ박상수외, 「경제학개론 」,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2.
ㆍ김대우, 「경제학원론 」, 진한도서, 2002.
추천자료
인플레이션
임금에 대하여...(임금이론)
경제지표(經濟指標)로 통찰(通察)하는 국민경제(國民經濟)
보험기업의 FP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제학 용어정리
[임금][임금관리][임금제도][연봉제][임금체계]임금과 임금관리의 현황 및 과제(기업과 임금,...
중국시장과 비즈니스
최근 한국경제의 문제점(고령화사회)
인플레이션과 그외 변형등
2008년 서브프라임사태의 설명과 예측입니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노인가족의 현황과 노인가족에 대한 복지대책
마이클무어 감독의 『자본주의 : 러브 스토리 (Capitalism : A Love Story) 2009』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