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목적
2. 과학자 이미지 연구 개관
3. 과학기술자 인상 개념과 연구문제
4. 전국 서베이 방법
5. 서베이 결과 분석
6. 결론 및 논의
2. 과학자 이미지 연구 개관
3. 과학기술자 인상 개념과 연구문제
4. 전국 서베이 방법
5. 서베이 결과 분석
6.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45-579.
17. Krajkovich, J. G. and J. K. Smith,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s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 19, No. 1, 1982, pp. 39-44.
18. LaFollette, M. C., "Eyes on the Stars: Images of Women Scientists in Popular Magazin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3, 1988, pp. 262-275.
19. Long, M. and J. Steinke, "The Thrill of Everyday Science: Images of Science and Scientists on Children's Educational Science Programmes in the United Stat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5, 1996, pp. 101-119.
20. Mead, M. and R. M traux, "Image of the Scientist among High-School Students," Science, Vol. 126, No. 3270, 30 August 1957, pp. 384-390.
21. Mulkay, M.,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Knowledge, London: Allen and Unwin, 1979.
22. Nelkin, D., "Selling Science," Physics Today, Vol. 43, No. 41, Nov. 1990, pp. 41-46.
23. New Zealand Ministry of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for Developing a Public Information Campaign," Report No. 71, March 1998.
24. Palmer, D. H., "Investigating Students' Privat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Vol. 15, No. 2, Nov. 1997, pp. 173-183.
25. Petkova, K. and P. Boyadjieva, "The Image of the Scientist and its Function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3, 1994, pp. 215-224.
26. She, H. C., "Gender and Grade Level Differences in Taiwan Students' Stereotypes of Science and Scientis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Vol. 16, No. 2, Nov. 1998, pp. 125-135.
27. Sj0berg, S., "The SAS-Study: Science and Scientists, Cross-Cultural Evidence and Perspectives on Pupil's Interes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 preliminary report on the project Science and Scientists(SAS), University of Oslo, Norway, 1999.
28. Steinke, J., "A Portrait of a Woman as a Scientist: Breaking down Barriers Created by Gender-Role Stereotyp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6, 1997, pp. 409-428.
29. Steinke, J., "Women Scientist Role Models on Screen," Science Communication, Vol. 21, No. 2, Dec. 1999, pp. 111-136.
30. Toumey, C. P., "The Moral Character of Mad Scientists: A Cultural Critique of Scienc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Autumn 1992, pp. 411-437.
31. Trenaman, J. and D. McQuail, Television and the Political Image, A Study of the Impact of Television on the 1959 General Election, London: Methuen and Co., Ltd., 1961.
〈부록〉여섯 개의 인상형식들 인상형식 상호관계
인상형식 상호관계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의 성질이나 특징
중 하나이다.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의 한 예이다.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에 포함된다.
- 과학기술자가 '떠오른 것'의 성질이나 특징
중 하나이다.
- 과학기술자가 '떠오른 것'의 한 예이다.
- 과학기술자가 '떠오른 것'에 포함된다.
- 과학기술자 때문에 '떠오른 것'이 있다.
- 과학기술자 없이 '떠오른 것'은 있을 수 없다.
- 과학기술자는 '떠오른 것'에 반드시 필요하다.
- '떠오른 것' 때문에 과학기술자가 있다.
- '떠오른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자가
있다.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에 반드시 필요하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동일시되는 것이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여러면에서
유사하다.
- 과학기술자에게서 '떠오른 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것도 생각나지 않는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정반대이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여러면에서 다르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관련없다.
17. Krajkovich, J. G. and J. K. Smith,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s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 19, No. 1, 1982, pp. 39-44.
18. LaFollette, M. C., "Eyes on the Stars: Images of Women Scientists in Popular Magazin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3, 1988, pp. 262-275.
19. Long, M. and J. Steinke, "The Thrill of Everyday Science: Images of Science and Scientists on Children's Educational Science Programmes in the United Stat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5, 1996, pp. 101-119.
20. Mead, M. and R. M traux, "Image of the Scientist among High-School Students," Science, Vol. 126, No. 3270, 30 August 1957, pp. 384-390.
21. Mulkay, M.,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Knowledge, London: Allen and Unwin, 1979.
22. Nelkin, D., "Selling Science," Physics Today, Vol. 43, No. 41, Nov. 1990, pp. 41-46.
23. New Zealand Ministry of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for Developing a Public Information Campaign," Report No. 71, March 1998.
24. Palmer, D. H., "Investigating Students' Privat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Vol. 15, No. 2, Nov. 1997, pp. 173-183.
25. Petkova, K. and P. Boyadjieva, "The Image of the Scientist and its Function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3, 1994, pp. 215-224.
26. She, H. C., "Gender and Grade Level Differences in Taiwan Students' Stereotypes of Science and Scientis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Vol. 16, No. 2, Nov. 1998, pp. 125-135.
27. Sj0berg, S., "The SAS-Study: Science and Scientists, Cross-Cultural Evidence and Perspectives on Pupil's Interes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 preliminary report on the project Science and Scientists(SAS), University of Oslo, Norway, 1999.
28. Steinke, J., "A Portrait of a Woman as a Scientist: Breaking down Barriers Created by Gender-Role Stereotyp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6, 1997, pp. 409-428.
29. Steinke, J., "Women Scientist Role Models on Screen," Science Communication, Vol. 21, No. 2, Dec. 1999, pp. 111-136.
30. Toumey, C. P., "The Moral Character of Mad Scientists: A Cultural Critique of Scienc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Autumn 1992, pp. 411-437.
31. Trenaman, J. and D. McQuail, Television and the Political Image, A Study of the Impact of Television on the 1959 General Election, London: Methuen and Co., Ltd., 1961.
〈부록〉여섯 개의 인상형식들 인상형식 상호관계
인상형식 상호관계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의 성질이나 특징
중 하나이다.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의 한 예이다.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에 포함된다.
- 과학기술자가 '떠오른 것'의 성질이나 특징
중 하나이다.
- 과학기술자가 '떠오른 것'의 한 예이다.
- 과학기술자가 '떠오른 것'에 포함된다.
- 과학기술자 때문에 '떠오른 것'이 있다.
- 과학기술자 없이 '떠오른 것'은 있을 수 없다.
- 과학기술자는 '떠오른 것'에 반드시 필요하다.
- '떠오른 것' 때문에 과학기술자가 있다.
- '떠오른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자가
있다.
- '떠오른 것'은 과학기술자에 반드시 필요하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동일시되는 것이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여러면에서
유사하다.
- 과학기술자에게서 '떠오른 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것도 생각나지 않는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정반대이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여러면에서 다르다.
- 과학기술자와 '떠오른 것'은 관련없다.
추천자료
고도 경주의 관광이미지에 관한 연구
실버마케팅광고 비주얼 이미지의 크리에이티비티에 관한 연구 : 광고분석
영화에 나타난 과학기술의 이미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이미지 지각과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대중 영화속에서의 과학기술 이미지에 대하여 (윌러스와 그로밋)
종합병원의 간호서비스 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중국의 삼국지에 등장하는 유비, 조조, 손권과 우리나라의 후삼국시대인 왕건, 궁예, 견훤의 ...
사진들의 나열을 통한 이미지 재구성을 자동화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이범선 소설에 나타난 이미지 연구 고찰
이화여대 이미지 연구
개념미술 연구논문 - 감상자에게 의존하는 개념과 이미지의 결합
기업이미지 광고를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에 관한 연구-아시아나항공 광고전략 사례를 ...
[기술혁신, 기업전략]기술혁신과 기업전략, 신경제, 기술혁신과 금융자원, 기술혁신과 지역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