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슬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카운슬링의 의미


2. 카운슬링의 기본원리


3. 카운슬링의 방법
1 지시적 상담
2 비지시적 상담
3 절충적 상담

본문내용

기술보다 상담자의 태도를 강조한다.
③ 인간행동에서 감정·정서의 역할을 적절하게 강조하였다.
④ 객관적 정보의 활용을 통해 내담자를 도와주는 면이 부족하다.
⑤ 모든 내담자에게 동일한 목표를 설정한다.
⑥ 카운슬링의 목표가 내담자 중심으로 결정되어지는 것이어야 하나, 실제로는 내 담자가 소속된 기관이나 사태에 따라 결정되어지기 쉽다는 것이다.
⑦ 내담자가 모든 일을 스스로 결정하도록 돕기 위해 상담자에게 탈가치적 태도를 요구하나, 인간관계에 있어서 어느 일방이 탈가치적이 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 능한다.
5. 지시적 상담과 비지시적 상담 비교표
구분
항목
지시적 상담(Williamson)
비시적 상담(Rogers)
인간관
인간은 선하나 문화적 갈등이 심하다.
인간은 생득적으로 선하다.
주도자
상담자(교사)
내담자(학생)
강조점
지적인 적응문제
정서적 반응문제
목표
문제의 원인해명과 치료
정서적 긴장·불안·공포의해소
진단
진단을 위해 모든 자료 동원
진단과정의 생략
결과
문제 해결
통찰과 자아이해 심화
목적
문제원인의 지적 탐색·연구·해결
문제해결의 암시와 역량을 제공
⑶ 절충적 상담(eclectic counseling)
절충적 카운슬링은 비지시적 상담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으면서 지시적 방법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즉, 카운슬러의 역할은 학생의 문제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절충적 카운슬링은 카운슬링 과정, client의 중간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대체로 교육적인 문제와 직업적인 문제의 상담은 지시적 방법이 유효하고 정서적 문제의 상담은 비지시적 상담의 방법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1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