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예배의 성경적 배경
Ⅱ. 기독교 예배의 역사적 발전
Ⅲ. 기독교 예배신학
Ⅳ. 예배환경
Ⅴ. 복음적인 예배의 전망
Ⅵ. 제언
Ⅱ. 기독교 예배의 역사적 발전
Ⅲ. 기독교 예배신학
Ⅳ. 예배환경
Ⅴ. 복음적인 예배의 전망
Ⅵ. 제언
본문내용
키고 오해하는 경향을 역전시켜야 할 때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찬양과 감사와 더불어 성령의 능력 안에서, 그리고 성령의 능력을 통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드리는 예배사역의 회복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자.
오늘 우리의 개신교가 드리고 있는 예배에 관한 성경적 근거와 역사적 진전, 그리고 신학적인 의미의 발굴을 찾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말부터 일기 시작한 예배의 복고 운동의 결과이다. 그 동안 개신교는 수많은 개혁자들이 물려 준 예배의 형태에 아무런 평가를 가하지 않은 채 그대로 답습하면서 수백년의 역사를 지내 왔다. 그러는 동안 예배의 본질적 문제와 그 깊은 신학의 결여는 더욱 심각해지기 시작하였고 예전보다는 단순한 설교의 장으로 예배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20세가 후반에 이르러 우리의 개신교에서는 예배 예전에 관한 깊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별히 괄목할 만한 사실은 뜻있는 신학자들이 등장하여 무관심 속에 빠져 간 예배의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잃어버린 예배의 신학과 구조를 복고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 오고 있다. 이는 아주 바람직 한 일로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예배의 개선에 관하여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왔던 진취적 교회들은 이제 예배 의식의 갱신, 즉 「예전의 갱신」을 시도하게 되었다. 불행스러운 것은 많은 개신 교회들이 예전이란 단어에 대하여 기본적인 의미마저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예전이란 단어 자체도 좋아하지 않으려 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예전이란 것 자체가 예배에 있어서 회중의 자발적 참여와 즉석 기도를 배제하고 있기 때문에 예배를 경직스럽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이러한 생각은 모든 교회가 어떤 형태로든 자체적 예배 예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모든 교회는 어떤 형태로든지 예배 의식을 가지고 있다.
교회의 예배 갱신에 진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목회자나 신학도들은 반드시 기독교 교회가 탄생된 이래 거쳐온 예배의 역사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의 머리말에서 밝히는 바 예배의 성경적인 기원, 그 역사적 발전 및 신학적 의미 등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특이나 복음주의적인 기독교인들에게 적용 될 수 있는 방식들을 연구하는 것이야말로 현대의 어느 교회든 이것을 자신의 특정한 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을 주신 이에게 감사한다.
오늘 우리의 개신교가 드리고 있는 예배에 관한 성경적 근거와 역사적 진전, 그리고 신학적인 의미의 발굴을 찾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말부터 일기 시작한 예배의 복고 운동의 결과이다. 그 동안 개신교는 수많은 개혁자들이 물려 준 예배의 형태에 아무런 평가를 가하지 않은 채 그대로 답습하면서 수백년의 역사를 지내 왔다. 그러는 동안 예배의 본질적 문제와 그 깊은 신학의 결여는 더욱 심각해지기 시작하였고 예전보다는 단순한 설교의 장으로 예배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20세가 후반에 이르러 우리의 개신교에서는 예배 예전에 관한 깊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별히 괄목할 만한 사실은 뜻있는 신학자들이 등장하여 무관심 속에 빠져 간 예배의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잃어버린 예배의 신학과 구조를 복고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 오고 있다. 이는 아주 바람직 한 일로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예배의 개선에 관하여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왔던 진취적 교회들은 이제 예배 의식의 갱신, 즉 「예전의 갱신」을 시도하게 되었다. 불행스러운 것은 많은 개신 교회들이 예전이란 단어에 대하여 기본적인 의미마저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예전이란 단어 자체도 좋아하지 않으려 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예전이란 것 자체가 예배에 있어서 회중의 자발적 참여와 즉석 기도를 배제하고 있기 때문에 예배를 경직스럽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이러한 생각은 모든 교회가 어떤 형태로든 자체적 예배 예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모든 교회는 어떤 형태로든지 예배 의식을 가지고 있다.
교회의 예배 갱신에 진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목회자나 신학도들은 반드시 기독교 교회가 탄생된 이래 거쳐온 예배의 역사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의 머리말에서 밝히는 바 예배의 성경적인 기원, 그 역사적 발전 및 신학적 의미 등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특이나 복음주의적인 기독교인들에게 적용 될 수 있는 방식들을 연구하는 것이야말로 현대의 어느 교회든 이것을 자신의 특정한 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을 주신 이에게 감사한다.
추천자료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 - 출애굽기 19장-40장 언약신학 연구
[성경반포][성경신학][그리스도 교회][율법][그리스도 법][기도]성경반포와 최초의 신앙공동...
[칼 바르트][칼 바르트 신학][칼 바르트 하나님 인식론][칼 바르트 예정론][칼 바르트 화해론...
[하나님][하나님의 본질][하나님의 삼위일체][하나님과 틸리히의 신학][하나님과 신관]하나님...
[성경][인간의 본질][성령][죄][계약][바르트][신학적 인간학][인간 구원][신학]성경에 나타...
(신학)실천신학개론 - 에버하르드 빈클러
신학자 불트만에 대하여 요약정리하고 다른 신학자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논평을10줄 정도 기...
[법신학, 법신학 개념, 바울신학, 법도그마틱, 율법, 복음, 자연법사상]법신학의 개념, 법신...
[구약성서신학입문] 행동하시는 하나님(God Who Acts) - 설명의 형태로 제시된 성서 신학 _ G...
[신약신학] <간추린 신약신학> 요약 _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조직신학과 다른 신학과의 학문적 방법론이 다른이유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통합 시도 - 보스, 머레이를 중심으로
[사사기] 사사기의 구조와 신학 (사사기의 구조, 사사기의 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