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원자력발전 원전사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에너지 문제의 해결책

2. 원자력 발전의 현상

3. 원자력 발전은 경제적인가, 아닌가?
1) 원자력 발전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주장
2) 원자력 발전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

4. 안전한가, 위험한가?

5. 원자력발전의 문제점
1) 사고의 가능성
2) 환경 위해성
3) 사회 경제적 문제

6.원자력발전 사고 사례
1)미국의 TMI 원전사고
(1) 사고경위
(2) 사고의 경향
(3) 사고원인
(4) 사고교훈
2)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
(1)경위
(2)인체에 미친 영향
(3)환경에 미친 영향
(4)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
3)월성 3호기 중수누출 사건
(1)원인
(2)경과
(3)결과:향후대책

7. 원전사고가 주는 교훈
1) 원자력산업과 사회적 반응
2)TMI 및 Chernobyl 사고의 교훈
3) 원자력 품질보증의 중요성

8.원전 표준화의 현황 및 향후 전망
1) 원전 표준화의 현황
2) 원전 표준화의 향후 전망

본문내용

은 이번 사고의 경험을 살려 자국의 원전설계를 개선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중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Fast Acting Shutdown System의 추가
● Moderating System의 설계 변경
● 원전 연료의 Enrichment 증가
● 제어봉 운전조건 강화
● 운전원의 규제요건 강화(법적 규제)
TMI사고 시 우리나라는 이에 관련된 국제적 연구활동에 적극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TMI 후속조치를 국내에 적용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체르노빌 사고에 관련된 국제적 연구활동에 적극 참여하여야 할 것이며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제적 교류를 중진 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핵 사고시 초기통보 및 지원에 관한 국제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야 하며 중대사고연구, 운전원 훈련 Program 교류, 화재 방어기준 및 설비개선에 관한 연구, 방사선 방어 연구, 방사선 의약, 환경영향 연구 및 Man-Machine Interface에 관련된 설비 자동화 연구 등에 관련된 IAEA등의 국제적 안전성 연구에 적극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3) 원자력 품질보증의 중요성
원전에 관련된 대형 사고는 TMl나 체르노빌 사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중인 발전소가 많아질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우리나라도 운전중인 발전소가 많아짐에 따라 설비가 노후화 되고 문제발생의 형태도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분석하여 심층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여 이를 원전의 안전운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 관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활동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활동이 있어야만 사고 예방에 관련된 문제해결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사업자의 안전운전, 연구기관의 심층 분석·평가가 필요하며 규제기관의 검사활동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규제검사의 정책은 이미 결정된 안전 규제요건과 절차의 만족 여부만을 점검하는 절차서와 시방서 위주의 방법에서 운전 및 사고 이력과 증상을 종합·분석·평가하여 발전소의 안전성에 중요한 계통 및 기기의 약점을 미리 파악하고 예측함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다음 주기까지의 안전 운전을 보장할 수 있는 예방검사 및 보수정책, 즉, 진단(Diagnostic) 검사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선전 기술의 습득도 필수적이며, 확률론적 안전성해석(PSA, Probabilistic Safety Analysis) 방법을 개발하고 관련 인력 및 능력의 확보가 동시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만약 사고가 사전에 예방될 수 있었더라면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없었을 것이며 국제적 비난도 받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사고 후 조치(Post-Accident Measures)보다 사고예방조치 (Preventive Measures)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체르노빌 사고는 사고예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으며 운전원의 안전운전 능력과 자세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말해주고 있다.
8.원전 표준화의 현황 및 향후 전망
1) 원전 표준화의 현황
현재까지 도입된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소는 도입선의 다양성으로 말미암아 서로 다른 설계, 기자재의 다양화, 다국적 인·허가 기준의 적용, 상이한 시공, 운영방법의 적용 등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또한 발전설비의 계획 및 보전기술의 자립을 지연시키는 주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으나 뒤늦게 나마 표준화의 본격적인 추진으로 발전기술의 자립을 앞당기고 품질관리도 우리의 실정에 맞게 정착시킬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3.1'항의 논의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공업제품의 집합체(4Loop 원자력발전소의 경우에 구성 부품수가 약 1억 개로 알려져 있음)인 발전설비의 표준화는 물질 보증의 목적달성에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임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혼히 '표준화'라 하면 제품(Hardware)의 기술기준을 고정시키고 업무(Software)의 표준을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개념이므로 바로 잡아야하며, 컴퓨터를 활용하는 CAD/CAM의 개발이나 데이터 뱅크의 구축과 이의 확대, 보급 또는 업무의 전산화 등의 문제도 '표준화'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깊이 헤아려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2) 원전 표준화의 향후 전망
'표준화'사업은 앞으로 국가표준은 계속적으로 정부 주도 하에 보완, 확충되는 한편 국제화 추세에 맞춰 나갈 전망이며 빈약한 단체(협회, 학회 등) 표준/회사표준의 저변확대 및 상위표준과의 연계성 강화, 업무(Software)규정의 현대화 문제도 제기될 것으로 사료된다.
요컨대, 표준화(Standardization)활동은 전문화, 단순화 운동과 함께 공업제품의 품질보증에 없어서는 안될 주요 활동이며, 각종의 공산품을 생산하는 일반산업의 기초 위에서 성장하는 발전소 건설·운영기술도 지속적인 표준화 활동으로 선진화되고 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경우에 표준화의 정의는 Reference 개념을 기본으로 호기마다 설계개선 사항의 추가 및 반영을 의미하며, 가까운 장래에 한국형 표준 안전성 분석보고서(K-SSAR) 작성 업무를 표준화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전방향은 선진국으로부터 도입한 원자력 품질보증 체제를 우리의 실정에 알맞도록 개선시키는 과제의 해결에도 크게 이로울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http://my.dreamwiz.com/sinws717/sci/sci_col03-09.htm
http://myhome.dreamx.net/jeehuny/atombaljun.htm
http://education.chonnam.ac.kr/~kimsi/study/국가와%20윤리/체르노빌.htm
http://superdhr.hihome.com/page-72.html
http://nuke.co.kr/antiNuke/Nu_trouble_SITE/nutrouble_21.htm
http://factory119.com.ne.kr/nusys/chapter1/ch1_3.htm
  • 가격1,7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