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에너지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에너지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북한의 에너지이용 실태와 환경문제와의 연관
1. 북한의 에너지이용 실태
2. 북한의 에너지산업
3. 북한 에너지문제의 환경적 시사점

Ⅱ. 북한의 환경오염
1. 자연환경 파괴
2. 대기환경 오염
3. 수질환경 오염
4. 해양환경 오염

Ⅲ. 북한 가정의 에너지 이용 실태
1. 북한 가정의 난방

본문내용

제대로 되지 않는다.게다가 원자재 부족으로 인해 아파트 공사를 하면서 방바닥의 난방용 쇠파이프를 간격이 넓게 깔았으며, 작은 자갈 대신에 나무 조각 등을 넣어 열이 오래 보존되지 않는다. 난방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을 뿐더러 공급되더라도 한겨울 아파트의 안방 온도는 냉기나 겨우 벗어나게 해 줄 정도여서 평양 주민들은 대개 겨울을 두려워 한다. 주민들은 외출할 때처럼 집안에서도 스웨터.내의.양말 등을 그대로 착용하고 밤에는 동(冬) 내의를 대부분 입고 잔다. 그래서 좁더라도 온 집안 식구들이 제일 따뜻한 방에 모여 함께 자는 가정도 적지 한고 한다.
탈북자 金모(41) 씨는 "직장에서 돌아온 후에도 따뜻한 이불 속에서 몸을 녹이기 위해 이불을 거의 개지 않고 방바닥에 그대로 놔두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고급 간부나 해외를 다니는 사람들은 석유 난방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정이 나은 편이라고 한다. 평양 이외의 함경남북도.자강도.양강도 등 북부지방은 영하 30도가 보통이라 중앙.온돌 난방집 상관없이 겨울나기가 힘겹다고 한다.
북한 당국은 혹독한 겨울에 대비해 스팀을 이용해 열효율을 향상시킨 보온재 개발에 적극 힘쓰고 있는데 조선중앙TV는 중앙난방연구소가 공기 가열로 난방하는 스팀 장치를 평양시의 수천 가구에 설치하는 한편 따뜻한 자연수를 이용해 전력.석탄을 절약하는 '무동력 자연수온식 보일러'를 개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설날이나 김정일 생일(2월 16일) 에는 '배려 난방'이라며 사흘 정도 난방이 집중 공급되기도 하지만 일부 아파트는 배관이 낡아 곳곳에서 막히거나 누수가 생겨 그나마의 혜택도 누리지 못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4.27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