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바울의 서신
제 1장 서 론
제 2장 데살로니가 사람에게 보낸 첫째 편지
제 3장 데살로니가 사람에게 보낸 둘째 편지
제 4장 갈라디아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5장 고린도 사람에게 보낸 첫째 편지
제 6장 고린도 사람에게 보낸 둘째 편지
제 7장 로마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8장 빌립보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9장 골로새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10장 빌레몬에게 보낸 편지
제 11장 에베소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12장 목회서신-디모데에게 보낸 첫째
Ⅱ 공동서신
제 1장 서 론
제 2장 야고보의 편지
제 3장 베드로의 첫째 편지
제 4장 베드로의 둘째 편지
제 5장 유대의 편지
제 6장 요한의 첫째 편지
제 7장 요한의 둘째 편지
Ⅲ 히브리 서신과 묵시의 책
제 1장 히브리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2장 묵시의 책
제 1장 서 론
제 2장 데살로니가 사람에게 보낸 첫째 편지
제 3장 데살로니가 사람에게 보낸 둘째 편지
제 4장 갈라디아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5장 고린도 사람에게 보낸 첫째 편지
제 6장 고린도 사람에게 보낸 둘째 편지
제 7장 로마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8장 빌립보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9장 골로새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10장 빌레몬에게 보낸 편지
제 11장 에베소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12장 목회서신-디모데에게 보낸 첫째
Ⅱ 공동서신
제 1장 서 론
제 2장 야고보의 편지
제 3장 베드로의 첫째 편지
제 4장 베드로의 둘째 편지
제 5장 유대의 편지
제 6장 요한의 첫째 편지
제 7장 요한의 둘째 편지
Ⅲ 히브리 서신과 묵시의 책
제 1장 히브리 사람에게 보낸 편지
제 2장 묵시의 책
본문내용
최근에 와서는 경건한 생활을 하는 에세네파 제사장들이라는 학자도 있고 쿰란 사회의 최초 공동체라고 하는 학자들도 있다. 5. 저 자: 히브리서의 저자를 단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6. 편집 연대: 이 서신은 80-90년에 편성되었다고 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주장이다.
제 2장 묵시의 책 1. 묵시 문학의 기원: 묵시록은 독특한 종말론적 세계관을 말한는 종교사의 한 현상으로 불 수 있으며 또 회화적으로 표현한 문학으로도 볼 수 있으나 '묵시론'이 본격적으로 성장한 곳은 유대교이며 초대 그리스도교였다. 2. 계시록의 내용: 서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 1부는 소아시아 7교회로 보내는 메시지며 제 2부는 미래에 대한 환상의 연속이다. 3. 책의 성격: 신약의 다른 서신과 같이 서신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묵시 문학의 전통에 그리스도교적 종말 사상의 색채를 가미시킨 종합된 묵시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4. 사료와 문학형식: 계시록은 분명히 어떤 문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기록했으나 한편 조직적이며 치밀한 계획을 세워 아주 새로운 방법으로 기록한 창작이라고 할 수 있다. 5. 편성 연대: 계시록은 도미시안 통치 때 그의 말기 90-95년 에베소에서 기록되었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 같다. 6. 저자와 경전화 문제: 계시록의 저자 '요한'은 예수님의 제자 요한이라는 주장도 있고,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7. 신학적 문제: 계시록의 다양한 문학 형식과 종말 사상에 대한 잡다한 해석으로 묵시문학은 많은 난점을 내포한 채 야고보서와 함께 문제의 문헌으로 남아 있다.
제 2장 묵시의 책 1. 묵시 문학의 기원: 묵시록은 독특한 종말론적 세계관을 말한는 종교사의 한 현상으로 불 수 있으며 또 회화적으로 표현한 문학으로도 볼 수 있으나 '묵시론'이 본격적으로 성장한 곳은 유대교이며 초대 그리스도교였다. 2. 계시록의 내용: 서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 1부는 소아시아 7교회로 보내는 메시지며 제 2부는 미래에 대한 환상의 연속이다. 3. 책의 성격: 신약의 다른 서신과 같이 서신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묵시 문학의 전통에 그리스도교적 종말 사상의 색채를 가미시킨 종합된 묵시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4. 사료와 문학형식: 계시록은 분명히 어떤 문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기록했으나 한편 조직적이며 치밀한 계획을 세워 아주 새로운 방법으로 기록한 창작이라고 할 수 있다. 5. 편성 연대: 계시록은 도미시안 통치 때 그의 말기 90-95년 에베소에서 기록되었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 같다. 6. 저자와 경전화 문제: 계시록의 저자 '요한'은 예수님의 제자 요한이라는 주장도 있고,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7. 신학적 문제: 계시록의 다양한 문학 형식과 종말 사상에 대한 잡다한 해석으로 묵시문학은 많은 난점을 내포한 채 야고보서와 함께 문제의 문헌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