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아스의 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생애및 주요 사상

Ⅲ. 예레미아스( J. JEREMIAS)의 신학사상

본문내용

"칼에 관한 말씀", "엘리야에 관한 말씀", "넘기워짐", "목자에 관한 말씀", "죄인들을 위한 중재"를 통해서 살펴볼수가 있다. 이것을 통해서 알수있는 예수가 가지셨던 죽음에 대한 자의식은 죄없는, 자발적인, 고난이며 힘겹게 힘을 지는, 하나님이 뜻하시는 고난으로 이해하셨다. 그래서 여기에서 주어지는 생명은 하나님과 더불어 그리고 하나님으로 말미암은 생명이기 때문에, 이러한 죽음은 무제한의 속죄능력 능력을 갖는 것이다.
) Ibid., p.428.
8. 부활의 날
우리는 문서상 수난의 문제와 부활의 이야기 속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게된다. 부활의 이야기는 관련된 사람도 약간은 다르고, 장소도 다양함을 보게된다. 이것은 부활의 이야기가 손질되었다는것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 이유 4가지의 부활의 형성동기들 가운데에서 찾을수가 있다. 즉 부활하신 자의 말씀들에 의해서, 부활을 조롱하는 사람들에게 대한 변증법적인 동기에서, 교회 안에서의 발전에서, 당시의 이야기체 Style에서 찾을수가 있다. 예수의 부활은 '여인들이 부활의 날 아침에 방문을 때'라는데에 일치를 보고있다. 또 이때에 예기치 못한 일이 일어나는데에, 여인이 천사를 만났다는 것이다. 즉 예수의 부활은 사람들에 의해 직접적인 체험의 표현으로 나타난다. 그 부활에 대한 경험은 그의 왕위에 등극을 경험하는 것과 같다. 즉, 역사의 과정 속에의 그들은 파루시아를 경험하게 된 것이다 즉 이로서 "지금 여기에서 세상의 완성 속에서"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Ⅳ. 맺는 말
예레미아스는 철저히 역사적 자료를 중시하므로써 역사적인 예수의 말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예수가 초대교회에 사정에 가려져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초대교회는 교회의 상황에 따라서 예수의 말과 행동을 재해석하였다. 그래서 그는 경전 중에서 예수의 말을 찾으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즉 그의 가장 중심된 사상은 역사적인 에수를 찾는 것이었다. 그것은 그 당시의 케뤼그마 에수를 찾는 학자들과는 전혀 다른 견해이었다. 즉 그의 사상의 독특한 점은 다른 것보다도 예수에 대해서 다른 어떤 학자들과는 달리 역사적 예수를 찾는데에 동기를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예레미아는 이런 독특한 차원에서 예수에 대해서 접근하였다. 그가 말한 예수의 사명은 하나님의 나라를 전하는자 이었고, 가난한 자에게 구원을 전하는 자이었고, 하나님의 백성을 모으시고, 하나님의 새로운 백성에게 생활윤리를 가르쳐주시고 자신의 사명에 대해서 분명히 아시는 분으로 서술해 놓았다.
예레미야스의 이상과 같은 역사적 예수를 향한 신학적인 접근법은 우리가 성서신학을 하면서 배워야할 방법론인것 같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신약 성서신학 2부를」을 쓰지 못하고 예레미아스가 죽은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성종현, 「신약총론」,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2. 레온하르트 고펠트 「신약 신학Ⅰ」, 서울: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5.
3. 요아킴 예레미아스 「신약 신학」, 서울:새순출판사, 1993.
4. 「예수의 비유」, 서울:분도출판사, 1991.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