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디벨리우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요약

2.서언

3.본론
1 디벨리우스가 연구한 사도행전의 구조
2 {Die Bekehrung des Cornelius}
3 { Paulus auf dem Areopag,Sitzungsberichte der Heidelberg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4 { The speeches of Acts and Ancient Historiography}

4.결론

본문내용

의 동질성을 입증하고, 그 배경이 구약성경과 전통적 유대 변증문이라는 점을 입증하려고 시도하여 이에 반박하기도 하였다.
4. 『 The speeches of Acts
and Ancient Historiography』
『 The speeches of Acts and Ancient Historiography (사도행전의 설교들과 고대의 역사기록)』은 1949년 하이델베르그 학술원에 발표되었는데, 그는 여기서, 고대 역사가들의 역사 기술원칙과 누가의 저술 형식을 비교하였다.
고대 역사가들은 ①전체적 해결책에 관한 통찰력 ②역사의 사실들을 초월하는 의미에 관한 통찰력 ③화자의 성격에 관한 통찰력 ④상황설정에 의한 도입부분에 관한 통찰력 등에 치중하였다.
고 디벨리우스는 고대사가인 투키디데스, 디오니시우스, 폴리비우스 등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디벨리우스는 이러한 자료위에 사도행전의 실재적인 연설에 언급한다.
아덴의 설교에 대하여 디벨리우스는
바울의 선교 역사에 있어서, 실재로 중요하지 않은 아테네가, 누가에 의해 바울 사도가 헬라사상을 사용하여 행한 연설의 장소로 선정된 이유는, 그곳이 헬라주의적 경건의 중심지 이며, 헬라 지혜의 최고 도시이기 때문이다. 라고 주장 하였다.
안토니아 요새앞에서 백성에게 행한 바울의 연설(22:1~21)에 대하여 서도 디벨리우스는
그가 정통 유대교 를 떠났다는 사실을 이 공회 앞에서 선언 할 기회를 얻었고 이러한 점이 저자에게 중요 하였기 때문이다
라고 추정한다. 따라서 디벨리우스는 연설에 대하여서도 다음과 같든 주장으로 자기 관점을 정리한다.
누가는 4개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그 시기의 의의를 조망하기 위하여 그의 설화에 연설들을 첨가 하였다. 그 4 개의 전환점은, 최초이자 그본적으로 중요한 한 이방인의 회심시기, 그 사도가 헬라의 영적 생활의 심장부로 침투하는 시기, 그(바울)의 선교 현장에서 떠나는 시기, 성전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유대인들과 논쟁한 시기이다.
결론
디벨리우스가 연구한 사도행전의 구조 는 우리'라는 형태이의 여행기록 자료에, 그때까지 전래 되어오던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들을 누가 자신의 신학적 의도와 선교적 관점에 의하여 재 구성하였다 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디벨리우스의 결론은 사도행전에 있어서 역사적 신빙성은 각 단락에 따라 다르며 문체 비평연구를 통하여 그 역사성을 언급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주장을 뒷받침 하기 위하여 몇가지 논문을 작성 하였는데,『Die Bekehrung des Cornelius』라는 논문에서는 「고넬료의 회심」문제를 다루어서 누가의 기술형태를 추적 하였다. 그는 여기서, 독립 설화들을 누가가 자신의 이해에 의하여 신학적 의미가 가미되고 윤색되어 기술 되어졌다.고 결론을 내린다.
『 Paulus auf dem Areopag,Sitzungsberichte der Heidelberg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 에서는 바울의 아레오 바고 연설을 연구한다. 그는 이 논문에서 전통설화 뿐 아니라 연설에 대하여 문체비평을 적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는 저자 누가의 자기입장이 바울의 열설 형식으로 나타난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리고 『 The speeches of Acts and Ancient Historiography』에서는 사도행전의 설교들과 고대의 역사기록을 대조하여, 고대 역사가들의 역사 기술원칙과, 누가의 저술 형식을 비교함으로써,누가의 사도행전은, 자기의 입장을 조리있게 엮어낸 고대의 기록과 다를 바 없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도행전의 역사적 가치에 관하여 매우 부정적인 결론적 전제에서 디벨리우스는 문체비평연구를 시작하였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