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 예측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미래사회 예측

3. 미래를 향한 교육과제

4. 결론

본문내용

련된 個人的인 범위를 넘어서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평생학습이 개인적 차원에서는 정보시대의 삶을 의미있게 살고 生業을 지속하고 발전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 되는 한편, 사회.국가적 차원에서는 競爭力을 强化하고 國民 福祉를 實現하기 위하여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평생교육의 제도화과정에서 고려 되여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學習時間과 空間의 制約을 뛰어넘고 형식교육체제와 비형식교육체제가 제도적으로 연계된 정보시대의 平生敎育體制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의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이 교육분야여서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기본법에서 제안된 평생교육권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업, 직장내에서 평생교육을 보장하는 제도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平生學習의 結果가 정보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지식과능력을 계속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좋은 교육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홈스출링(Homeschooling)이나 문화생 제도, 코치나 가정교사등을 통한 개인교습등 현재 개인적인 수준이나 소규모 조직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社會敎育의 結果들이 교육제도 속에서 인정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보화가 되어 가면서 평생교육의 제도화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制度化될 수 없는 비형식적, 비의도적인 교육부분이 있고 그것이 개인이나 사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학습경험과 효과를 가져아 준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제4장 結論 및 論議
본 논문은 미래 사회를 예측해 보고 이에 대한 미래 교육의 과제와 미래 교육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는 순서로 작성되었다. 교육을 생각한다는 것은 필연 미래를 생각하게 한다. 따라서 미래 사회를 예측.전망해 보는 것은 바람직한 미래의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未來社會는 급속한 사회 변화로 多樣化, 조직化되며 傳統文化의 발전과 아울러 문화의 분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되기도 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눈부신 바 있을 것이다. 이처럼 미래 사회를 전망하면서 미래 교육의 방향을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 교육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家庭敎育은 모든 교육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가정교육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인가가 가정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學校敎育은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종합적인 판단능력등을 그 방향으로 보았다. 社會敎育은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개인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앞으로의 미래 사회의 발전에 대한 전망을 예측해 볼 수 있었고, 미래 교육의 방향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제 다가올 밝고 희망찬 미래 사회를 위해서 우리의 교육은 未來指向的인 새로운 교육으로 만들어 가야 할 것을 부연하면서 이 小論을 맺는다.
※ 參考文獻
o 김혜숙, 미래 교육의 과제와 방향에 관한 고찰, 전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o 강운기,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의 시스템화문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o 하성종, 미래의 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o 하인호공저, 미래 사회와 교육,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1.
o 정범모, 인간과 사회와 교육 Ⅰ Ⅱ, 나남출판, 1994.
o 스펜서 J. 맥시, 미래를 위한 교육철학, 집문당, 1994.
o 김기태, 21세기를 대비한 한국교육의 과제, 보경문화사, 1995.
o 크리스찬아카데미편, 정보화시대 교육의 선택, 대화출판사, 1997.
o 하인호, 인간주의 그 미래를 열어라, 고려원, 1990.
o 김인희, 새시대를 위한 교육의 이해, 문음사, 1994.
o Wilbur B. Brookover, 사회 문화와 교육, 문음사, 1991.
o 송병순, 교육사회학, 문음사, 1997.
o 차경수공저,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1995.
o 동아일보, 1998. 3. 30.
o 이종각, 교육사회학 총론, 동문사, 1996.
1) Albin Toffler, 미래를 위한 학습Ⅱ, 이상주.김안중역, 배영사, 1982, p.25.
2) H. Kahn and A. J. Wiener, The year 2000;A Framework for speculation on the next Thirty-three years, New York Macmillan, 1967, p.7.
3) Burnham, P.Beekwith, The next 500 years, New York Exposition press, 1967.
4) Robert Fiala, “Post-Industrial Society”, in Edgar F. Borgatta and Marie L.Borgatta(eds), society of Encyclopedia, New York: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2, p.1512.
5) D.Bell,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A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New York:Basic Books, 1973.
6) John Naisbitt, Megatrends, New York:Warnes, 1982.
7) Daniel Bell, Ibid, p.118.
8) 하인호, 「미래 사회의 가치관과 교육」, 교음사, 1985, pp.123-132.
9) A. Toffler, The Third Wave(N.Y.:Morrow, 1980), p.375.
10) 현대사회 연구소, 전게서, pp.32-34
11) M.코란 著, 과학의 미래 , 홍순복譯, 삼성문고, 1980, p.15.
12) 현대사회 연구소, 전게서, pp.84-98.
13) 김대환외, "가정교육의 기능향상", 사회의 학교화(서울: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1987), 293-300面.
14) 신세호, "학교교육", 2000년대 사회발전과 교육(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82), 85-89面.
15) 차경수, 한국교육의 사회적 과제(서울:배영사, 1980), 35面.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