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야소국과 연맹
2. 전기가야연맹의 몰락
3. 후기 가야연맹인 대가야의 융성
4. 후기가야문화
5. 최종결론(가야연맹체몰락의 요인)
2. 전기가야연맹의 몰락
3. 후기 가야연맹인 대가야의 융성
4. 후기가야문화
5. 최종결론(가야연맹체몰락의 요인)
본문내용
건에 따라 분지에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지리적 조건도 각 소국간의 통합을 저해하는 한 요소였다. 이에 비해서 백제나 신라는 지리적의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어서 고대국가의 성립에 유리하였다. 이렇듯 고구려, 백제, 신라는 소국연맹 단계를 벗어나 넓은 영토를 직접 다스리는 강력한 통치체제를 갖추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가야는 연맹체의 주도 세력만 바뀌었을 뿐, 멸망할 때까지 연맹형태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 가야 멸망의 중요한 요인이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야는 백제, 신라와 함께 동시대에 건국되어 6세기 까지 독자적인 문화적 저력과 주체적인 역사적 발전 속에서 그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강력한 국가로 존속하였다. 그러나 가야는 삼국과 같은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형성하는데 실패하였기 때문에 고구려, 백제, 신라와 구분되어 다루어지고 있다. 즉 가야연맹체에 속해 있던 소국들은 각기 정치적인 독자성을 유지했을 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다른 지역과 통합을 이루지 못함으로써 국가가 발전하는데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가야는 멸망할 때까지 연맹형태를 극복하지 못하여,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이룩한 삼국과의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end -
참고 문헌
윤석효. 『가야사』. 민족 문화사. 1991
한국 역사 연구회. 『한국 고대사 산책』역사 비평사. 1996
윤내현.『한국 고대사』.삼광 출판사. 1991
한국 민중 연구사 편저.『한국 민중사』.풀빛.1986
가야의 역사와 문화(컴퓨터파일) / 김해시청, 2001
천관우, 『가야사연구』. 서울 : 一潮閣, 1991.
이와 같이 가야는 백제, 신라와 함께 동시대에 건국되어 6세기 까지 독자적인 문화적 저력과 주체적인 역사적 발전 속에서 그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강력한 국가로 존속하였다. 그러나 가야는 삼국과 같은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형성하는데 실패하였기 때문에 고구려, 백제, 신라와 구분되어 다루어지고 있다. 즉 가야연맹체에 속해 있던 소국들은 각기 정치적인 독자성을 유지했을 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다른 지역과 통합을 이루지 못함으로써 국가가 발전하는데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가야는 멸망할 때까지 연맹형태를 극복하지 못하여,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이룩한 삼국과의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end -
참고 문헌
윤석효. 『가야사』. 민족 문화사. 1991
한국 역사 연구회. 『한국 고대사 산책』역사 비평사. 1996
윤내현.『한국 고대사』.삼광 출판사. 1991
한국 민중 연구사 편저.『한국 민중사』.풀빛.1986
가야의 역사와 문화(컴퓨터파일) / 김해시청, 2001
천관우, 『가야사연구』. 서울 : 一潮閣, 1991.
추천자료
대중문화 속의 폭력문화 (영화
댓글문화(리플문화)의 긍정적인 기능과 부정적인 기능.부정적인 기능에 대한 해결방안
[디지털방송][디지털방송기술][디지털방송산업][문화정체성][공익성][디지털]디지털방송의 특...
죽음의 문화, 생명의 문화
이명박정부 문화뉴딜정책(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
중고등학교의 문화와 대학교 문화와의 차이점
[대학교육][대학도서관][문화교육][섬유공학교육]대학교육의 개혁, 대학교육의 목표, 대학교...
문화 산업론 특징, 아도르노의 문화, 오늘날 문화, 문화의 상품화, 효과, 대중문화 의식, 대...
Organizational Culture - 조직문화,기업의조직문화,강한조직문화,약한조직문화,조직문화의성...
[일상생활사] 차와 커피의 역사 - 차의 어원과 우리나라에 전래된 역사 및 고려시대와 조선시...
[세상읽기와 논술 B형] 가정 또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서 경험한 부조리 또는 모순이 있다면 ...
[대중문화와 기독교] 어린이 문화와 이해
[사회문제 5가지] 우리사회를 암울하게 만드는 문제들 - 노인빈곤, 보호아동인권, 미혼모문제...
신국원.『신국원의 문화 이야기(문화 전쟁 시대의 기독교 문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