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는 말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Ⅱ. 상황화의 정의
Ⅲ. 한국 문화와 한국 개신교의 상황화 방법
Ⅳ. 한국 문화의 상황화 이해
1. 샤머니즘의 이해
2. 유교의 이해
3. 불교의 이해
4. 사회 문화의 이해
Ⅴ. 한국 개신교의 상황화 방법적 접근
1. 한국 개신교의 상황화의 거부
2. 한국 개신교의 무비판적 상황화
3. 한국 개신교의 비판적 상황화
Ⅵ. 한국 문화와 한국 개신교의 비판적 상황화의 과제
Ⅶ. 나오는 말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Ⅱ. 상황화의 정의
Ⅲ. 한국 문화와 한국 개신교의 상황화 방법
Ⅳ. 한국 문화의 상황화 이해
1. 샤머니즘의 이해
2. 유교의 이해
3. 불교의 이해
4. 사회 문화의 이해
Ⅴ. 한국 개신교의 상황화 방법적 접근
1. 한국 개신교의 상황화의 거부
2. 한국 개신교의 무비판적 상황화
3. 한국 개신교의 비판적 상황화
Ⅵ. 한국 문화와 한국 개신교의 비판적 상황화의 과제
Ⅶ. 나오는 말
본문내용
것이다. 상황화된 한국교회는 문화적으로 뚜렷한 우리의 개성과 독자성을 지니면서도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어서 기독교의 복음을 확실하게 표현하고 증거하는 교회를 의미한다. 한국교회에서 상황화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므로 적극적으로 지향해야 한다.
이광순, op. cit., p.448.
개신교 신앙은 단순한 내세신앙이나 심리 종교가 아니라 '삶의 원리"로써 우리 삶의 전 영역
에 그리스도의 구속을 실현한다. 그러므로 복음의 수용은 우리의 삶과 일, 즉 문화창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뿐 아니라 지역과 국가에도 적용한다. 한국인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얻을 때 한국의 문화도 변화되고 성화된다. 한국의 그리스도들은 문화명령에 순종하여 우리의 전통문화에 나타난 하나님의 일반은총의 열매는 감사함으로 보존 발전시키며, 문화 비판을 통하여 비윤리적이거나 우상숭배적인 요소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씻어버리고, 나아가 세계문화의 긍정적인 요소들을 도입하며, 성령의 창조적 능력을 힘입어 새로운 민족문화창조를 이룩해야 한다.
Ⅶ. 나오는 말
우리는 한국 문화를 진지하게 인식해야 한다. 복음이 그 문화안에 들어가 그 문화를 변화시키는 문화안에 자리잡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하나님은 한국을 사랑하시며, 이 땅안에서도 하나님의 나라의 연속성을 가지시려한다. 우주와 지구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곳이다. 하나님의 계획하심은 변함이 없으시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오늘도 모든 만물이 살아가길 원하신다.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의 영향를 받은 이땅에 복음이 들어 왔다. 모든 문화는 배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화를 변혁시키고 문화를 하나님이 원하시는 온전한 문화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일이다. 문화적 억압이나 문화적 혼돈이 아닌 창조적이고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창조 문화의 역동성이 있어야 한다.
우물안에 개구리처럼 있는 것이 아니라, 문학, 예술, 언론, 출판, 교육 등이 문화 변혁을 통하여 한국 교회가 한국 사회와의 폐쇠된 관계를 뛰어넘어 한국 문화의 전 영역에 영향력을 미칠수 있는 선교적 차원의 문화운동이 교회안에 일어나야 한다.
비판적 상황화가 한국교회에 잘 적용이 되어서 한국 문화를 주도해 나가는 힘이 있는 민족 문화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무비판적으로 순응된 샤머니즘과 유교와 불교의 문화 영향을 올바로 개선하고, 우리의 삶의 자리가 성령의 역사안에서 모든 한국 문화를 이끌고 나가는 것이 되도록 상황화의 연구는 계속적으로 되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단행본
곽안련. 「한국교회와 네비우스 선교정책」,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94.
오강남. "유교와 기독교의 만남"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2.
유동식. 「민족종교와 한국문화」, 서울:현대사상사, 1978.
「한국문화의 상황분석」, 서울:삼성문화사, 1975.
"한국 민족의 영성과 한국종교",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92.
이광순.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선교와 문화적 수용",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2.
이만열. 「한국 기독교 문화 운동사」,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
"한국 문화와 기독교", 「한국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2.
최종현. 「한국 교회와 샤머니즘」, 서울 : 성광문화사, 1993.
2.정기 간행물
김경재. "한국식 기독교 문화 모델를 세우라", 「기독교사상」, 1996.1.
김영동. "선교와 문화인류학", 「교회와 신학」, 제27집, 1995.
"샤머니즘적인 영성의 도전에 직면한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과제", 「장신논단」, 제10집 1994.
김용복. "문화 선교의 신학과 그 과제", 「기독교사상」1983. 6.
김응교. "문화를 읽는 눈", 「복음과 상황」, 1996. 1.
박양식. "기독교 문화의 정통과 표준 원리" ,「복음과 상황」, 1996. 12.
방선기. "문화를 무시하는 교회는?", 「두레사상」, 1995. 겨울호.
"한국교회의 대중문화", 「복음과 상황」, 1996. 1.
백종구. "초기 개신교 선교부의 선교 신학", 「기독교사상」, 1996. 7.
신국원. "화려한 문화와 밝은 문화", 「복음과 상황」, 1996. 1.
유재신. "중국· 일본· 한국의 종교문화", 「두레사상」, 1995. 겨울호.
이상진. "문화사역과 신세대",「복음과 상황」, 1996. 1.
이정석. "문화의 세속화", 「두레사상」, 1995. 겨울호,
최종헌. "한국 개신교 문화의 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1)", 「기독교사상」, 1996. 2
"한국 개신교 문화의 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2)", 「기독교사상 」, 1996. 3.
하의진. "뿌리깊은 샤머니즘의 영향을 극복해야", 「목회와 신학」, 1996. 12.
3.번역 문헌
라만 싸네. 「선교신학의 이해」, 전재옥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3.
Paul G. Hiebert. 「선교와 문화인류학」 김동화외 3인역, 서울 : 죠이선교회 출판부, 1996.
Robert E. Webber. 「기독교 문화관」 (The Seculer Saint : The Role of the Christian in the Seculer World), 이승구역, 서울: 엠마오. 1984.
4.외국 문헌
David J. Bosch. Transforming Mission :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New York : Orbis Books, 1991.
James H. grayson. Element of Protest Accmmodation to Korean Religious Culture : APersonal Ethnographic Perspective,「Missiology : An International Review」, Scottdale : Amerian Society of Missiology, VolumerⅢ Number 1, 1995.
이광순, op. cit., p.448.
개신교 신앙은 단순한 내세신앙이나 심리 종교가 아니라 '삶의 원리"로써 우리 삶의 전 영역
에 그리스도의 구속을 실현한다. 그러므로 복음의 수용은 우리의 삶과 일, 즉 문화창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뿐 아니라 지역과 국가에도 적용한다. 한국인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얻을 때 한국의 문화도 변화되고 성화된다. 한국의 그리스도들은 문화명령에 순종하여 우리의 전통문화에 나타난 하나님의 일반은총의 열매는 감사함으로 보존 발전시키며, 문화 비판을 통하여 비윤리적이거나 우상숭배적인 요소는 그리스도의 보혈로 씻어버리고, 나아가 세계문화의 긍정적인 요소들을 도입하며, 성령의 창조적 능력을 힘입어 새로운 민족문화창조를 이룩해야 한다.
Ⅶ. 나오는 말
우리는 한국 문화를 진지하게 인식해야 한다. 복음이 그 문화안에 들어가 그 문화를 변화시키는 문화안에 자리잡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하나님은 한국을 사랑하시며, 이 땅안에서도 하나님의 나라의 연속성을 가지시려한다. 우주와 지구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곳이다. 하나님의 계획하심은 변함이 없으시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오늘도 모든 만물이 살아가길 원하신다.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의 영향를 받은 이땅에 복음이 들어 왔다. 모든 문화는 배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화를 변혁시키고 문화를 하나님이 원하시는 온전한 문화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일이다. 문화적 억압이나 문화적 혼돈이 아닌 창조적이고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창조 문화의 역동성이 있어야 한다.
우물안에 개구리처럼 있는 것이 아니라, 문학, 예술, 언론, 출판, 교육 등이 문화 변혁을 통하여 한국 교회가 한국 사회와의 폐쇠된 관계를 뛰어넘어 한국 문화의 전 영역에 영향력을 미칠수 있는 선교적 차원의 문화운동이 교회안에 일어나야 한다.
비판적 상황화가 한국교회에 잘 적용이 되어서 한국 문화를 주도해 나가는 힘이 있는 민족 문화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무비판적으로 순응된 샤머니즘과 유교와 불교의 문화 영향을 올바로 개선하고, 우리의 삶의 자리가 성령의 역사안에서 모든 한국 문화를 이끌고 나가는 것이 되도록 상황화의 연구는 계속적으로 되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단행본
곽안련. 「한국교회와 네비우스 선교정책」,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94.
오강남. "유교와 기독교의 만남"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2.
유동식. 「민족종교와 한국문화」, 서울:현대사상사, 1978.
「한국문화의 상황분석」, 서울:삼성문화사, 1975.
"한국 민족의 영성과 한국종교",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92.
이광순.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선교와 문화적 수용",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2.
이만열. 「한국 기독교 문화 운동사」,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
"한국 문화와 기독교", 「한국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2.
최종현. 「한국 교회와 샤머니즘」, 서울 : 성광문화사, 1993.
2.정기 간행물
김경재. "한국식 기독교 문화 모델를 세우라", 「기독교사상」, 1996.1.
김영동. "선교와 문화인류학", 「교회와 신학」, 제27집, 1995.
"샤머니즘적인 영성의 도전에 직면한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과제", 「장신논단」, 제10집 1994.
김용복. "문화 선교의 신학과 그 과제", 「기독교사상」1983. 6.
김응교. "문화를 읽는 눈", 「복음과 상황」, 1996. 1.
박양식. "기독교 문화의 정통과 표준 원리" ,「복음과 상황」, 1996. 12.
방선기. "문화를 무시하는 교회는?", 「두레사상」, 1995. 겨울호.
"한국교회의 대중문화", 「복음과 상황」, 1996. 1.
백종구. "초기 개신교 선교부의 선교 신학", 「기독교사상」, 1996. 7.
신국원. "화려한 문화와 밝은 문화", 「복음과 상황」, 1996. 1.
유재신. "중국· 일본· 한국의 종교문화", 「두레사상」, 1995. 겨울호.
이상진. "문화사역과 신세대",「복음과 상황」, 1996. 1.
이정석. "문화의 세속화", 「두레사상」, 1995. 겨울호,
최종헌. "한국 개신교 문화의 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1)", 「기독교사상」, 1996. 2
"한국 개신교 문화의 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2)", 「기독교사상 」, 1996. 3.
하의진. "뿌리깊은 샤머니즘의 영향을 극복해야", 「목회와 신학」, 1996. 12.
3.번역 문헌
라만 싸네. 「선교신학의 이해」, 전재옥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3.
Paul G. Hiebert. 「선교와 문화인류학」 김동화외 3인역, 서울 : 죠이선교회 출판부, 1996.
Robert E. Webber. 「기독교 문화관」 (The Seculer Saint : The Role of the Christian in the Seculer World), 이승구역, 서울: 엠마오. 1984.
4.외국 문헌
David J. Bosch. Transforming Mission :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New York : Orbis Books, 1991.
James H. grayson. Element of Protest Accmmodation to Korean Religious Culture : APersonal Ethnographic Perspective,「Missiology : An International Review」, Scottdale : Amerian Society of Missiology, VolumerⅢ Number 1, 1995.
추천자료
한국문화(한국의 고분)
일본문화속의 한국문화
미국문화가 한국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문화마케팅]한류열풍과 국내기업의 문화마케팅 전략방향
영미문화와 한국문화 비교
일본문화와 한국문화의 비교
러시아문화와 한국문화의 비교
태국인의 한국문화 접촉과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대한 설문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 담배,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 담배문화, 하멜...
[한국문화사] <차 (茶)> 우리나라 차의 역사 - 우리나라 차의 전래(인도차 전래설, 중국차종 ...
일본문화와 한국문화
한국문화 와 한국어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