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교육역사학의 이해
본문내용
한 기본 생활습관의 공부가 평생 지속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서당의 교육과정은 서당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또 동일한 서당이라고 하더라도 『천자문』에서부터 『근사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당시의 유자들은 서당교재를 음이불석의 단계, 훈석의 단계 그리고 이학교육의 단계 등 3단계로 나누었다.
- 서당의 일상생활은 엄격한 규제 하에서 이루어졌다. 이것은 아동 단계의 기본 생활습관에 대한 훈련이 장차 마음을 다스리고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를 깨닫는 근본이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 『아희원람』(서당교육의 교재)
- 장혼(1759∼1828)이 지음
- 기존의 소학류의 윤리서와 달리 일반서민을 대상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 화식, 의복, 옥려, 궁실, 경운, 잠상, 관혼상제, 우역, 시사, 도량, 지필묵, 식기, 제기, 궁시 등 일반 서민들의 일상적인 생활사와 관련된 내용들이 주조를 이루었다.
- 기존의 윤리서에서 기피하였던 설화, 민담, 신화 등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 답교놀이, 관등행사, 유두, 씨름, 제기차기, 널뛰기, 약밥, 팥죽, 기우제 등 우리 민족의 국속과 민속을 강조하고 있어 아동들에게 유희의 세계, 신화의 세계, 민속의 세계를 제시.
서당의 교육과정은 서당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또 동일한 서당이라고 하더라도 『천자문』에서부터 『근사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당시의 유자들은 서당교재를 음이불석의 단계, 훈석의 단계 그리고 이학교육의 단계 등 3단계로 나누었다.
- 서당의 일상생활은 엄격한 규제 하에서 이루어졌다. 이것은 아동 단계의 기본 생활습관에 대한 훈련이 장차 마음을 다스리고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를 깨닫는 근본이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 『아희원람』(서당교육의 교재)
- 장혼(1759∼1828)이 지음
- 기존의 소학류의 윤리서와 달리 일반서민을 대상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 화식, 의복, 옥려, 궁실, 경운, 잠상, 관혼상제, 우역, 시사, 도량, 지필묵, 식기, 제기, 궁시 등 일반 서민들의 일상적인 생활사와 관련된 내용들이 주조를 이루었다.
- 기존의 윤리서에서 기피하였던 설화, 민담, 신화 등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 답교놀이, 관등행사, 유두, 씨름, 제기차기, 널뛰기, 약밥, 팥죽, 기우제 등 우리 민족의 국속과 민속을 강조하고 있어 아동들에게 유희의 세계, 신화의 세계, 민속의 세계를 제시.
추천자료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19세기 후반 교육체제에 대한 고찰 - 조선시대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고찰
[사화]조선시대 4대 사화에 관하여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시조]고려시대 시조 배열부전,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고려시대 시조 송인, 조선시대 시조 ...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 - 조선시대 집의 특징, 지형에 따른 집의 구조, 계층별 집의 특징과 ...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및 문화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고려시대의 문화, 조선시대의 문...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
조선후기 산문문학 -소설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국문소설, 조선시대 군담소설, 조선시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