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자기에 대한 호칭
◎ 부모에 대한 호칭
◎ 형제자매간의 호칭
◎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 기타 친척간의 호칭
◎ 부모에 대한 호칭
◎ 형제자매간의 호칭
◎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 기타 친척간의 호칭
본문내용
은 몇째를 붙인다. 이것은 형제 자매나 차례가 있는 친족의 칭호에 공통으 로 쓰인다.
⑤ 아저씨·아주머니 : 아버지와 4촌 이상인 아버지 세대의 어른과 그 배우자를 부 를 때.
⑥ 고모·고모부 : 아버지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⑦ 외숙·외숙모 : 어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⑧ 이모·이모부 :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⑤ 아저씨·아주머니 : 아버지와 4촌 이상인 아버지 세대의 어른과 그 배우자를 부 를 때.
⑥ 고모·고모부 : 아버지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⑦ 외숙·외숙모 : 어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⑧ 이모·이모부 :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추천자료
한국의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한국의 정치문화와 사회화
[한국의 전통문화]사회적 음식과 음식적 사회
한국과 중국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양국간 문화차이 사례배경과 원인
[문화정책][문화예술][문화산업][호주][한국][정보화사회]문화정책의 기본 원칙, 문화정책의 ...
한국에서의 조선족 취업과 사회문화적 변화 분석
한국문화의 특성을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서술
이주노동자, 그림자에서 인간으로 - 이주노동자의 경제적 기여도와 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 ...
[일제강점기]일제시대(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사회복지정책, 종교정책, 일제시대(일제강...
한국의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다문화 사회문제
[진로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과 진로상담 - 한...
[한국의 다문화] 다문화 사회와 교육 - 다문화 추세, 다문화 원인, 다문화 교육, 다문화 학생...
다문화가정아동에 대한 학교사회복지개입PPT(다문화학생, 한국다문화교육, 다문화가정자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