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정화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서의 차이

2. 본문주석의 문제

3. 구조

4. 본문주석

5. 오늘의 의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신은 유대인이 파괴할 성전이며 그는 곧새로 세워질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요한의 종말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즉 종말은 장차 일어날, 기다려야 할 사건이 아니라 예수의 운명에서 이미 일어났다는 것이다. 유대인 자신이 그들의 불신앙의 반항으로 구속사건을 촉진하는 도구 노릇을 하게 될 것이다. 그들은 "이 성전을 헐라"는 명령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에게는 심판을 의미한다.
) Ibid., p.501.
5. 오늘의 의미
본문에서 보건데, 당시의 불합리한 사회부정과 그에 영합한 종교지도자들은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을 더럽혔다. 당시의 성전은 경배의 장소가 아니라 권위의식과 탐심과 부패한 유대의 어두운 표상이었다. 하나님의 성전은 인간의 탐심에 의하여 위협을 당하였다. 이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은 비교적 명확하다. 예수님은 격노하셨고, 모두 다 내어 쫓으시고 상을 엎으셨다.
그렇다면 오늘에 있어서 성전정화는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오늘에 있어서 하나님의 성전은 우리의 세계(世界)이다. 그리고 이 하나님의 통치의 왕국에 대한 침탈의 전쟁은 오늘도 여전히 현존한다. 하지만, 오히려, 하나님의 성전에 대한 침탈은 오늘에 있어서는 더욱 은밀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의 현실은 신앙과 불신앙, 정의와 불의, 하나님의 권세와 악마의 권세의 경계선을 명확히 가려내는 일이야말로 지극히 어렵다. 하나님의 성전은 오늘도 은밀히 침탈당한다. 결국 우리는 예수님이 몸소 행하셨던 거짓과 불의에 대한 단호한 저항과 성전을 수호하려는 메시아적 열망을 본받아야 하겠다. 예수님과 같은, 부정에 대한 저항만이 성전에 대한 적극적인 옹호가 되기 때문이다. 이제는 우리 자신 자신이 이 현실 안에서 하나님의 성전, 하나님의 통치의 왕국을 확장해 나가는데 헌신적인 노력을 감행해야 하겠다. 지금 이 시간에도 하나님은 그 성전의 확장을 위해 우리를 부르시고 결단을 촉구하신다.
6. 참고문헌
1.한글판 개역성서. 서울: 대한성서공회, 1962.
2.안병무외 지음. 신약성서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2.
3.바클레이(황장욱 역). 요한복음 上 - 성서주석시리즈 5. 서울: 기독교문사, 1973.
4.C.K. 바레트(한국신학연구소 역). 요한복음 I - 국제성서주석 32-1.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84.
5.Derek Williams(이정석 외 역). IVP 성경사전.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2.
6.Leon Morries(이상훈 역). 요한복음 上 - 성경주석 뉴 인터네셔널 7.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9.
7.R.V.G Tasicer(박영호 역). 요한복음서 - 틴텔주석시리즈 4.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6.
8.윌리엄 핸드릭스(문창수 역). 요한복음 성서 - 헨드릭슨 성경주석.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3.
9.George Arthur Buttrick (Ed.). The Interpreter's Bible - Vol. 8, Luke John. New York : Abingdon Press, 195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2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