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 류
2. 지도전략
3. 보조기구
4. 체육교사가 알아야 할 사항
5. 추천활동
2. 지도전략
3. 보조기구
4. 체육교사가 알아야 할 사항
5. 추천활동
본문내용
영향을 주는지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추천활동
건강체력 및 운동체력 :
근력, 유연성, 사이클, 수영, 달리기, 휠체어 밀기 등의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보통 낮은 강도로 일주일에 2회, 15~20분 정도의 활동을 견뎌낼 수 있다.
심혈관계 활동은 최대하 수준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근력활동은 점증부하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ex)철봉을 이용한 매달리기 활동
관절가동범위에서 중량 들기
메디신 볼 던지기
기본운동기술과 유형 :
"근육훈련"(muscle education)의 3단계 접근방식을 사용
1)이완훈련으로 구성
경직성과 경련성 학생에게 중요
굳어진 근육을 신전시키거나 마사지를 통해서 근육의 장력을 정상화
피로하거나 행동패턴이 뚜렷하게 둔화될 때에는 반드시 이완활동을 실시
30분 정도의 시간에 10회 이상의 이완이 필요
2)단일관절 움직임과 수의적 근육훈련
구부리기/펴기와 잡기/놓기와 같은 기초적이며 중요한 행동에 둔다.
3)단일관절 활동이 숙달된 수 시행한다.
발달패턴 및 여러 관절을 사용하는 움직임 유형이 훈련된다.
*대근협응 움직임을 지도할 때
누운 자세에서 시작하여 앉은 자세, 선 자세, 이동의 순서로 가르치도록 한다.
2점지지 활동을 가르치기 전에 넘어지는 방법부터 가르쳐야 한다.
평형성 상실, 흥분, 산만, 불안, 갑작스럽고 빠른 움직임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일으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운동실조증 뇌성마비 - 공간정향에 대한 훈련이 더 필요하다.
거울을 사용하면 즉각적인 시각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편마비를 가진 학생들은 부자유스러운 팔다리를 무시해서는 안되며, 측면성 훈련이 우선 순위가 높다.
예제)
평형성, 지구력, 근력 및 신체인지 향상 : 계단, 사다리, 평균대, 미끄럼틀,
터널, 그물 등을 이용하여 걷기, 기기, 달리기, 구르기, 점프, 오르내리기등을 실시한다.
눈-손 그리고 눈-발 협응기술 향상 :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훌라후프, 시각의자나 매트 그리고 천장에 매달려 있는 폴로스틱 등을 차고, 밀고, 치거나 받는다.
Miller와 Schaumberg(1988) - 기본운동기술 향상 활동
1)볼링핀 스트레칭(four-pin stretch)
2)휠체어 볼링(wheelchair knockdown)
3)테더볼(tetherball)
참고자료)
특수체육(김의수역) 무지개사 PP237~259
◆추천활동
건강체력 및 운동체력 :
근력, 유연성, 사이클, 수영, 달리기, 휠체어 밀기 등의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보통 낮은 강도로 일주일에 2회, 15~20분 정도의 활동을 견뎌낼 수 있다.
심혈관계 활동은 최대하 수준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근력활동은 점증부하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ex)철봉을 이용한 매달리기 활동
관절가동범위에서 중량 들기
메디신 볼 던지기
기본운동기술과 유형 :
"근육훈련"(muscle education)의 3단계 접근방식을 사용
1)이완훈련으로 구성
경직성과 경련성 학생에게 중요
굳어진 근육을 신전시키거나 마사지를 통해서 근육의 장력을 정상화
피로하거나 행동패턴이 뚜렷하게 둔화될 때에는 반드시 이완활동을 실시
30분 정도의 시간에 10회 이상의 이완이 필요
2)단일관절 움직임과 수의적 근육훈련
구부리기/펴기와 잡기/놓기와 같은 기초적이며 중요한 행동에 둔다.
3)단일관절 활동이 숙달된 수 시행한다.
발달패턴 및 여러 관절을 사용하는 움직임 유형이 훈련된다.
*대근협응 움직임을 지도할 때
누운 자세에서 시작하여 앉은 자세, 선 자세, 이동의 순서로 가르치도록 한다.
2점지지 활동을 가르치기 전에 넘어지는 방법부터 가르쳐야 한다.
평형성 상실, 흥분, 산만, 불안, 갑작스럽고 빠른 움직임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일으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운동실조증 뇌성마비 - 공간정향에 대한 훈련이 더 필요하다.
거울을 사용하면 즉각적인 시각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편마비를 가진 학생들은 부자유스러운 팔다리를 무시해서는 안되며, 측면성 훈련이 우선 순위가 높다.
예제)
평형성, 지구력, 근력 및 신체인지 향상 : 계단, 사다리, 평균대, 미끄럼틀,
터널, 그물 등을 이용하여 걷기, 기기, 달리기, 구르기, 점프, 오르내리기등을 실시한다.
눈-손 그리고 눈-발 협응기술 향상 : 눕거나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훌라후프, 시각의자나 매트 그리고 천장에 매달려 있는 폴로스틱 등을 차고, 밀고, 치거나 받는다.
Miller와 Schaumberg(1988) - 기본운동기술 향상 활동
1)볼링핀 스트레칭(four-pin stretch)
2)휠체어 볼링(wheelchair knockdown)
3)테더볼(tetherball)
참고자료)
특수체육(김의수역) 무지개사 PP237~259
추천자료
[특수체육] 특수체육의 개념, 발전 과정, 역할, 각종 체육프로그램 및 장애인 특수체육
체육 교육의 문제점
체육교육에 있어서 성불평등 현상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체육과 정의적 영역 교수-평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체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의 교수학...
[체육교육]학습시간의 의미, 학습시간의 연구 동향,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 활용 패...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정의와 요소,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체육(체육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와 체육(체육과)교과서의 특징, 체육(체육과)교과서의 편...
[체육교과서][체육과][체육교육][체육교과][체육]체육교과서의 특징, 체육교과서의 편찬 방향...
체육수업(체육과교육)의 목표, 체육수업(체육과교육)의 변천, 체육수업(체육과교육)의 영역, ...
특수체육론
체육의 실제학습시간 (ALT-PE : Academic Learning Time-Physical Education)
[유아체육] 유아체육의 중요성과 교수 및 학습방법 ; 유아체육의 개념과 프로그램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