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연구의 필요와 목적


본론 :
1.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염규정
1) 인간교육이 곧 인성교육이라는 관점
2) 인격교육이 곧 인성교육이라는 관점
3) 심이교육이 곧 인성교육이라는 관점

2. 바람직한 인성교육 모형을 위한 이논적 배경
1) 전통적 사회화의 입장
2) 인지 발달적 입장
3)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
4) 특별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

3. 인성교육의 효율적인 실행방안
1) 교과지도를 통한 인성교육
2) 특별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3) 생활지도를 통한 인성교육


결론 : 인성교육을 위한 재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최근 3∼4년 사이에 십대들의 문제는 지난 20년 전에 비해 훨씬 더 심각해졌으며, 暴力, 價値의 崩壞, 무책임한 행동 등의 복잡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행동 통제와 수정을 위해서도 인성은 길러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는 많은 학생들의 소속 장소이므로 학생들의 정신 건강을 위한 심리적 상담을 제공해야하며, 정서적 부적응의 예방뿐만 아니라 학생의 발달과 개인적 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기여를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앞에서 기술한 인성교육방법, 직접적 혹은 간접적 접근 방법들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人性敎育에서 아이들의 인성 발달 조성에서 적극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은 바로 어른이다. 따라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친사회적 가치를 가르치고 지도해야하며 아이들로 하여금 가치를 적용하고, 논의하고,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Ryan(1989)은 아이들에게 가치를 가르치는 것은 우리 사회와 성인의 근본적인 역할이라고 주장하며, 사회적 그리고 도덕적 가치를 전수할 敎師敎育의 失敗를 지적하였다. 따라서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은 가치를 가르치는 과정과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교사를 강조하는 접근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학교 교실의 학습 환경에서 교사의 지식, 태도, 기술은 학업적 성취의 향상 뿐 아니라 민주주의가치와 시민 정신의 증진에도 중요한 것이다. 많은 연구에 의하면 인성교육은 민주주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전수함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지적을 한다.
인성교육 지지자는 학교가 학생들에게 좋은 人性價値를 가르치는 것을 멈추면 사회는 급속히 병든 효과를 가져온다고 한다. 우리는 남들이 지나쳐버린 도덕성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버릴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이 오늘의 문제에 혹은 내일의 문제에 꼭 들어맞을 것이라고 가정해서도 안될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학생들의 좋은 인성 발달은 학교가 교육 프로그램을 심각하게 다루지 않는 이상 좀처럼 이루어지기는 어렵다는 점일 것이다. 이것은 교사가 의미 있는 숙제를 내주고, 檢査하고 評價해야(연령 수준에 맞게)하며, 확고한 교육과정과 敎授-學習을 중요히 생각하는 견해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학생들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가치를 효율적으로 전수하기 위해서는 敎授戰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로서 심리교육과 생활지도 및 상담을 적용한 綜合的 接近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학교는 학교가 성취할 것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가져야되며,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의사전달을 하여야 할 것이며, 어떤 것이 바람직하고 왜 바람직한지를 알아야한다. 아울러 중요한 것은 교실, 교사, 교장, 부모, 지역사회가 뭉쳐진 적극적인 지지일 것이다.
參考文獻
·교육부(1994),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2)」
·정세구의 편역(1995), 『인격교육과 덕 교육』, 서울 배영사
·정일호 외 4인(1999),『아동발달과 학습』, 서울 교육출판사
·정범모(1998), 「교육개혁과 교육개선, 전국교육대학원장협의회 학술포럼 자료」
·알렉스 모네르 편저(1999), 박병기 외 3인, 『아동인격교육론』, 서울 인간사랑
·최홍규 역(W.Bennett)(1995), 『미덕의 책』, 서울 평단문화사
·한국교육개발원(1992), 「제6차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구:국민학교 바른생활, 도덕 과」
·조강모, 이인재(1998), 「초등학교에서의 열린도덕과 수업모형 개발을 통한 인성 교육실제의 개선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논문집 20집
·김학주(1985), 『논어』. 서울대학교 출판부. pp.1-76
·초등학교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한국초 등학교학회 학술 세미나.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 13호(1997)
·남궁달화(1999),『인성교육론』, 문음사
·한국교원대학교(2000), 『창의성교육과 인성교육』
·한국교육학회(1998), 『인성교육』, 문음사
·황인규(1997), 『황인규인성교육 지도자료』, 전남 : 동진문화사
·경기도교육청(1998),'98 인성 교육 실천 우수 사례집 '98-1집 - 사랑과 대화로 꿈을 심어 주는 인성교육
·이재창(1996), 「인성교육과 생활지도. 한국교육학회소식」, 제32권, 제5호, 5-8
·인성의 개념과 인성교육.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세미나 발표. 23-34, 장성모. (1996)
·김영환(1997).「교육방송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방향에 관한 탐색」. EBS 주최, 한국교육방송연구회 주관 제6회 교육방송학술발표대회 유인물
·경상북도 교육청(1995). 「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생동감 넘치는 학교」 실천자료 4-1.
·조난심(1995). 인성교육과 도덕교과서. 철학과 현실, 27호(1995, 겨울호)
·Lickona,T.(1996).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25-1.
·이명숙. (1996). 합리적-정서적 치료(Rational-Emotive Therapy) 이론과 인성교육. 대구교육
·황경식(1995). 도덕성의 위기인가 합리성의 미숙인가. 철학과 현실, 27호(1995,겨울호)
·Berkowitz, M. (1985). The role of discussion in moral education. In M. Berkowitz & F.
· Kohlberg, L. (1981). 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Moral stages and the idea of justice. New York: Harper & Row
· Howard, R. W. (1991). Lawrence Kohlberg's influence on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J. S. Benninga (Ed.), Moral, character, and civic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0.2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