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안락사의 정의
3. 안락사의 개념적 분류
1) 안락사 시술 대상자의 의사에 따른 분류
2) 안락사 시술자의 행위의 직접성 여부에 따른 분류
4. 안락사 찬반론
1) 안락사 반대론
2) 안락사 찬성론
5. 결론
2. 안락사의 정의
3. 안락사의 개념적 분류
1) 안락사 시술 대상자의 의사에 따른 분류
2) 안락사 시술자의 행위의 직접성 여부에 따른 분류
4. 안락사 찬반론
1) 안락사 반대론
2) 안락사 찬성론
5. 결론
본문내용
충당할수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예에서 보면 한 사람의 생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올바른 판단에 의한 안락사는 이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안락사를 시키고 그의 몸이 남에게 이식되는 것을 본 가족의 마음이야 얼마나 아팠을까.. 그를 조금이라도 더 지켜보고 싶었던 그의 가족들은 어떠했을까..그런 생각을 해보면 3%의 기대가 큰 것임을 알 수 있다.
좀 극단적 보자면, 가치 없는 사람은 죽어야 하는 것이 적자생존의 법칙이다. 별 가망 없는 한 사람을 위해서 모두가 희생될 수는 없다. 물론 환자가 안락사를 원하면 좋지만. 원하지 않을 때도..안락사를 해도 된다는 것. 어차피 모두가 행복해질 수 없다면, 최대 다수가 행복한 길을 택하는 게 현명하지 않을까? 이러한 생각도 그리 나쁘지만은 않을 것이다. 또한 "가치 없는 사람의 죽음은 다른 사람의 행복을 보장한다"는 공리주의와 상대론적 윤리설로 해석하자면 그것도 안락사이다. 이러한 안락사를 '도태적 안락사'라고 한다. 이 도태적 안락사는 무가치한 인간의 생명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로부터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사회적으로 쓸모 없고 해악만 끼치는 신체 장애자나 정신병자의 생명을 인위적으로 단축케 하는 행위이다. 여기서는 환자의 고통이나 죽을 시기의 임박성을 문제삼지 아니하고, 방금 태어난 신생아가 심한 선천적 장애자 여서 본인이나 부모에게 고통만 가중케 할 것이라는 기대로 살해하거나 또는 독일의 나치스 정권 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증의 정신병자는 사회의 해가 된다.'는 입장에서 그의 생명을 단축케 한 행위 등, 생존가치가 없는 생명의 도태적인 안락사를 뜻한다.
그러나 안락사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사람으로 태어나서, 그 생을 이어 갈 때 다른 사람에 의해서 목숨이 끊어진다는 것은 어째든 간에 살인이라고 보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도태적 안락사는 히틀러가 유태인들을 땅에 뭍은 사건이랑도 연관시켜서 아주 크게 반대한다. 물론 안락사로 인해서, 죽기 위해 겪을 엄청난 고통을 줄여주고, 편안하게 생을 마감하게 도와주는 것은 인정하지만, 설령 백 만 분의 일이라도, 소생할 가능성을 무시하고 생명의 불씨를 끄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환자 자신이 안락사를 원할 때에도, 한사람의 생명은 그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도 모순이 있다. 인간이 존엄하기 때문이라던지 그런 건 잘 모른다. 하지만 안락사를 시킬 때에는 그 사람에게 백만 분의 일이라도 살아날 가망이 없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 죽을 시기가 얼마 남지 않은 사람들은 그 얼마 남지 않은 시기동안에 엄청난 고통을 겪으면서 억지로 삶을 연장해야하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죽음은 오히려 커다란 기쁨이자 편안함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런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나의 의견은 안락사를 찬성하는 쪽이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안락사라는 것은 그렇게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된다. 찬성도 반대도 모두다 힘든 결정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온 이 세상을, 후손에게 오점을 남겨가며 하직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실주의자며 죽는 순간도 현실을 무시할 수가 없을 것이기에.. 죽어가고 있는 사람에게 " 당신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안돼! 그건 잘못된 거야!"라고 말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다. 이보다는 극도로 어려운 시기에 있는 환자와 가족들의 신체적, 심리적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안락사를 원하는 환자와 가족들은 죽음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도움을 원하는 것이다. 죽음의 과정 중에도 희망을 보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램들도 중요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안락사에 대해 찬성하는 논의를 펴는 것과 안락사를 합법화시키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라는 사실이다. 법제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문제들 즉 안락사의 무분별한 시행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문제나 개인적인 이익이나 사회적 이익을 위해 안락사에 관한 법이 오용될 수 있는 가능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런 것이 나의 안락사에 대한 생각이다.
안락사 찬반론
1. 서 론
2. 안락사의 정의
3. 안락사의 개념적 분류
1) 안락사 시술 대상자의 의사에 따른 분류
2) 안락사 시술자의 행위의 직접성 여부에 따른 분류
4. 안락사 찬반론
1) 안락사 반대론
2) 안락사 찬성론
5. 결론
'안락사'에 관한 나의 생각
좀 극단적 보자면, 가치 없는 사람은 죽어야 하는 것이 적자생존의 법칙이다. 별 가망 없는 한 사람을 위해서 모두가 희생될 수는 없다. 물론 환자가 안락사를 원하면 좋지만. 원하지 않을 때도..안락사를 해도 된다는 것. 어차피 모두가 행복해질 수 없다면, 최대 다수가 행복한 길을 택하는 게 현명하지 않을까? 이러한 생각도 그리 나쁘지만은 않을 것이다. 또한 "가치 없는 사람의 죽음은 다른 사람의 행복을 보장한다"는 공리주의와 상대론적 윤리설로 해석하자면 그것도 안락사이다. 이러한 안락사를 '도태적 안락사'라고 한다. 이 도태적 안락사는 무가치한 인간의 생명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로부터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사회적으로 쓸모 없고 해악만 끼치는 신체 장애자나 정신병자의 생명을 인위적으로 단축케 하는 행위이다. 여기서는 환자의 고통이나 죽을 시기의 임박성을 문제삼지 아니하고, 방금 태어난 신생아가 심한 선천적 장애자 여서 본인이나 부모에게 고통만 가중케 할 것이라는 기대로 살해하거나 또는 독일의 나치스 정권 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증의 정신병자는 사회의 해가 된다.'는 입장에서 그의 생명을 단축케 한 행위 등, 생존가치가 없는 생명의 도태적인 안락사를 뜻한다.
그러나 안락사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사람으로 태어나서, 그 생을 이어 갈 때 다른 사람에 의해서 목숨이 끊어진다는 것은 어째든 간에 살인이라고 보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도태적 안락사는 히틀러가 유태인들을 땅에 뭍은 사건이랑도 연관시켜서 아주 크게 반대한다. 물론 안락사로 인해서, 죽기 위해 겪을 엄청난 고통을 줄여주고, 편안하게 생을 마감하게 도와주는 것은 인정하지만, 설령 백 만 분의 일이라도, 소생할 가능성을 무시하고 생명의 불씨를 끄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환자 자신이 안락사를 원할 때에도, 한사람의 생명은 그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도 모순이 있다. 인간이 존엄하기 때문이라던지 그런 건 잘 모른다. 하지만 안락사를 시킬 때에는 그 사람에게 백만 분의 일이라도 살아날 가망이 없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 죽을 시기가 얼마 남지 않은 사람들은 그 얼마 남지 않은 시기동안에 엄청난 고통을 겪으면서 억지로 삶을 연장해야하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죽음은 오히려 커다란 기쁨이자 편안함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런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나의 의견은 안락사를 찬성하는 쪽이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안락사라는 것은 그렇게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된다. 찬성도 반대도 모두다 힘든 결정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온 이 세상을, 후손에게 오점을 남겨가며 하직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실주의자며 죽는 순간도 현실을 무시할 수가 없을 것이기에.. 죽어가고 있는 사람에게 " 당신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안돼! 그건 잘못된 거야!"라고 말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다. 이보다는 극도로 어려운 시기에 있는 환자와 가족들의 신체적, 심리적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안락사를 원하는 환자와 가족들은 죽음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도움을 원하는 것이다. 죽음의 과정 중에도 희망을 보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램들도 중요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안락사에 대해 찬성하는 논의를 펴는 것과 안락사를 합법화시키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라는 사실이다. 법제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문제들 즉 안락사의 무분별한 시행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문제나 개인적인 이익이나 사회적 이익을 위해 안락사에 관한 법이 오용될 수 있는 가능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런 것이 나의 안락사에 대한 생각이다.
안락사 찬반론
1. 서 론
2. 안락사의 정의
3. 안락사의 개념적 분류
1) 안락사 시술 대상자의 의사에 따른 분류
2) 안락사 시술자의 행위의 직접성 여부에 따른 분류
4. 안락사 찬반론
1) 안락사 반대론
2) 안락사 찬성론
5. 결론
'안락사'에 관한 나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