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테마파크에 대한 고찰
Ⅱ. 에버랜드 현황
Ⅲ. 에버랜드 주요 경영 전략
Ⅳ. 우리나라 관광사업 환경
Ⅴ. 관광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Ⅱ. 에버랜드 현황
Ⅲ. 에버랜드 주요 경영 전략
Ⅳ. 우리나라 관광사업 환경
Ⅴ. 관광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본문내용
금리 등 선진국에 비해 사업여건이 열악한 실정임
<주요국 경제지표>
국가명
관광객수
('00, 만명)
1인당GDP
('99, $)
인 구
('00, 백만명)
근로시간/주
('99)
미 국
5,269
33,510
280
41.7
프랑스
7,450
24,298
59
38.6
일 본
476
34,380
127
37.5
한 국
532
9,628
47
50.0
또한 계절성에 따른 인력·자금 운용의 어려움, 도로 등 인프라 시설의 부족, 토목 공사비의 과다, 고지가 등은 사업추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
【개선방향】
우리나라 사업여건을 감안한 시장지향적·환경친화적인 개발계획 수립
- 관 주도로 이루어지는 지역별 관광개발계획의 대부분은 시장 수요의 과잉 추정, 지역자원의 과신 등으로 인해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일관하고 있음
- 즉, 총 투자규모가 수천억원에서 1조원에 달해 민자 혹은 외자유치로 대부분의 재원을 조달하여야 함. 그러나, 사업성을 투자의 최우선의 기준으로 삼는 투자가들의 유치는 사실상 불가능함
- 따라서 지역시장규모, 욕구, 자원의 개발 가치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사업타당성이 있는 개발이 절실함
- 특히,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고 관광시설의 경쟁력 향상에 필요한 지역은 적극 개발하고 보존하여야 할 지역은 최대한 보호하는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정책이 수립되어야 함
3. 비합리적인 개발규제
그동안 정부에서는 관광 개발사업을 자연환경 파괴의 주원인으로 규명하고 개발면적을 기준으로 한 획일적인 규제를 해 왔음
수도권정비계획법 : 자연보전권역내 6만㎡(약2만평) 이상 개발 불가
환경영향평가법 : 30만㎡(약10만평) 이상 개발시 환경영향평가 실시
그러나 이러한 획일적인 규제는 오히려 소규모 난개발을 유발하여 자연환경 보전은 물론 관광산업의 국제 경쟁력 향상, 지역 균형 개발 등이 모두 실패하는 결과를 낳았음
【개선방향】
비합리적인 규제 완화
- 관광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합리적인 규제는 과감히 완화하여야 함 즉, 획일적인 규제보다는 소규모 난개발을 대규모 단지 내로 유치하여 집중개발 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기타지역은 보존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
- 특히, 관광지 조성사업은 택지개발 및 공단조성과 달리 환경오염 및 인구유발 정도가 미약하고 인허가 단계에서 각종 영향평가(환경, 인구, 교통 등) 협의로 충분히 논의될 수 있으므로 수도권정비계획법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함
4. 정부의 지원 열악
주요 선진국에서는 관광산업의 높은 외화가득률을 인지하고 중소기업지원, 사회복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차원에서 관광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지원이 거의 없는 실정임
<산업별의 외화가득률 비교>
(%)
구 분
관광산업
경공업
중공업
전산업 평균
외화가득률
87.5
75.3
64.1
67.1
외화가득률 : (수출액 - 수입 유발액) 수출액
【개선방향】
정부의 지원제도 강화
- 우리나라와 같이 관광사업여건이 열악한 환경에서 경쟁력 있는 관광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같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 즉, 수출지원 및 '중소기업지원제도'를 관광산업에도 확대 적용하여 관광산업을 지원하여야 함
- 관광산업이 외화 획득율이 높은 산업임을 감안할 때 '무역금융’의 지원범위를 관광산업으로 확대하여 저리융자로 시설운영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또한 ‘수출산업설비자금 대출제도’에 의해 수출기업의 설비투자를 촉진하고 있는 것을 관광시설유치에 확대 적용하여 관광시설 건축과 유기시설 수입자금을 지원하여야 함
# 별첨 . 선진국 사례
1. 미국
기본정책
- 중소기업 진흥차원에서 국민관광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각종 금융지원, 세제혜택 등에서 타 중소기업 업종과 차별 없이 지원해주고 있음
사례 : 디즈니월드 개발 지원
- 플로리다주 정부에서는 '67년 Disney World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주 내에 특별자치구(RCID ; Reedy Creek Improvement District)를 설립
- 디즈니사는 RCID내에서 호텔 등의 관광시설과 인프라시설을 자유롭게 유치하고 기타 토지활용 및 영업활동에 대해 완전한 자율권을 행사함
- 지방정부에서는 개발부담금을 면제해 줌
('90년 기준 7,000실 호텔 건축 시 개발부담금은 1,800만불임)
- 주변도로, 소방시설 등의 인프라시설 개발비용을 주 정부에서 보조해 줌
2. 일본
기본방향
- 일본에서는 국민관광 진흥과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리조트법 제정을 통한 적극적인 개발지원으로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였음
사례 : 하우스텐보스
- 하우스텐보스 개발을 위해 제3섹타 법인 하우스텐보스(주)를 설립하고 리조트법에 의해 중점정비지구로 지정함
- 전체 개발부지 46만평을 최소 행정단위인 「하우스텐보스 정」으로 개명하고 오픈시기에 맞추어 도로 등의 기반시설을 유치함
· 하우스텐보스역 개설, 하우스텐보스행 전용열차 개설
· 고속도로에 연결되는 우회도로 건설(5.9km)
· 주변도로 확장(2차선 4차선), 지방도 신설 및 정비
· 국도변 버스 stop 정비
· 하우스텐보스 후쿠오카/사세보/나가사키 항로 개설
- 현이 창구가 되어 일반은행으로부터 저리융자를 알선하고 리조트법에 의해 NTT 무이자 융자 5억엔을 유치함
3. 프랑스
기본방향
- 세계 최대의 관광국인 프랑스 관광정책의 기본방향은 사회복지정책 차원에서 국민의 해외관광과 외국인관광객 유치를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데 있으며, 관광산업을 규제하기 보다는 장려하면서 관광과 관련된 각종 사업추진을 지원하고 있음
사례 : 디즈니랜드 파리 유치
- 디즈니를 파리에 유치하기 위해 프랑스 정부는 디즈니사에 전폭적인 지원을 함
- 초기 투자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토지가를 16년 전의 농지가로 책정하여 매각하였으며
- 전체비용의 40%에 달하는 7억7천만달러를 저리(7.85%)로 융자해주고 5년 간의 상환유예기간을 보장하였음
- 상품판매액의 세율을 18.6%에서 7%로 감면하고 감가상각 기간을 20년에서 10년으로 단축해 주었음
- 또한 파리 고속지하철역 연장, TGV Disney역 신설, 고속도로 Interchange 신설 등의 지역인프라시설을 지원해줌
<주요국 경제지표>
국가명
관광객수
('00, 만명)
1인당GDP
('99, $)
인 구
('00, 백만명)
근로시간/주
('99)
미 국
5,269
33,510
280
41.7
프랑스
7,450
24,298
59
38.6
일 본
476
34,380
127
37.5
한 국
532
9,628
47
50.0
또한 계절성에 따른 인력·자금 운용의 어려움, 도로 등 인프라 시설의 부족, 토목 공사비의 과다, 고지가 등은 사업추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
【개선방향】
우리나라 사업여건을 감안한 시장지향적·환경친화적인 개발계획 수립
- 관 주도로 이루어지는 지역별 관광개발계획의 대부분은 시장 수요의 과잉 추정, 지역자원의 과신 등으로 인해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일관하고 있음
- 즉, 총 투자규모가 수천억원에서 1조원에 달해 민자 혹은 외자유치로 대부분의 재원을 조달하여야 함. 그러나, 사업성을 투자의 최우선의 기준으로 삼는 투자가들의 유치는 사실상 불가능함
- 따라서 지역시장규모, 욕구, 자원의 개발 가치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사업타당성이 있는 개발이 절실함
- 특히,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고 관광시설의 경쟁력 향상에 필요한 지역은 적극 개발하고 보존하여야 할 지역은 최대한 보호하는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정책이 수립되어야 함
3. 비합리적인 개발규제
그동안 정부에서는 관광 개발사업을 자연환경 파괴의 주원인으로 규명하고 개발면적을 기준으로 한 획일적인 규제를 해 왔음
수도권정비계획법 : 자연보전권역내 6만㎡(약2만평) 이상 개발 불가
환경영향평가법 : 30만㎡(약10만평) 이상 개발시 환경영향평가 실시
그러나 이러한 획일적인 규제는 오히려 소규모 난개발을 유발하여 자연환경 보전은 물론 관광산업의 국제 경쟁력 향상, 지역 균형 개발 등이 모두 실패하는 결과를 낳았음
【개선방향】
비합리적인 규제 완화
- 관광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합리적인 규제는 과감히 완화하여야 함 즉, 획일적인 규제보다는 소규모 난개발을 대규모 단지 내로 유치하여 집중개발 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기타지역은 보존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
- 특히, 관광지 조성사업은 택지개발 및 공단조성과 달리 환경오염 및 인구유발 정도가 미약하고 인허가 단계에서 각종 영향평가(환경, 인구, 교통 등) 협의로 충분히 논의될 수 있으므로 수도권정비계획법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함
4. 정부의 지원 열악
주요 선진국에서는 관광산업의 높은 외화가득률을 인지하고 중소기업지원, 사회복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차원에서 관광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지원이 거의 없는 실정임
<산업별의 외화가득률 비교>
(%)
구 분
관광산업
경공업
중공업
전산업 평균
외화가득률
87.5
75.3
64.1
67.1
외화가득률 : (수출액 - 수입 유발액) 수출액
【개선방향】
정부의 지원제도 강화
- 우리나라와 같이 관광사업여건이 열악한 환경에서 경쟁력 있는 관광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같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 즉, 수출지원 및 '중소기업지원제도'를 관광산업에도 확대 적용하여 관광산업을 지원하여야 함
- 관광산업이 외화 획득율이 높은 산업임을 감안할 때 '무역금융’의 지원범위를 관광산업으로 확대하여 저리융자로 시설운영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또한 ‘수출산업설비자금 대출제도’에 의해 수출기업의 설비투자를 촉진하고 있는 것을 관광시설유치에 확대 적용하여 관광시설 건축과 유기시설 수입자금을 지원하여야 함
# 별첨 . 선진국 사례
1. 미국
기본정책
- 중소기업 진흥차원에서 국민관광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각종 금융지원, 세제혜택 등에서 타 중소기업 업종과 차별 없이 지원해주고 있음
사례 : 디즈니월드 개발 지원
- 플로리다주 정부에서는 '67년 Disney World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주 내에 특별자치구(RCID ; Reedy Creek Improvement District)를 설립
- 디즈니사는 RCID내에서 호텔 등의 관광시설과 인프라시설을 자유롭게 유치하고 기타 토지활용 및 영업활동에 대해 완전한 자율권을 행사함
- 지방정부에서는 개발부담금을 면제해 줌
('90년 기준 7,000실 호텔 건축 시 개발부담금은 1,800만불임)
- 주변도로, 소방시설 등의 인프라시설 개발비용을 주 정부에서 보조해 줌
2. 일본
기본방향
- 일본에서는 국민관광 진흥과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리조트법 제정을 통한 적극적인 개발지원으로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였음
사례 : 하우스텐보스
- 하우스텐보스 개발을 위해 제3섹타 법인 하우스텐보스(주)를 설립하고 리조트법에 의해 중점정비지구로 지정함
- 전체 개발부지 46만평을 최소 행정단위인 「하우스텐보스 정」으로 개명하고 오픈시기에 맞추어 도로 등의 기반시설을 유치함
· 하우스텐보스역 개설, 하우스텐보스행 전용열차 개설
· 고속도로에 연결되는 우회도로 건설(5.9km)
· 주변도로 확장(2차선 4차선), 지방도 신설 및 정비
· 국도변 버스 stop 정비
· 하우스텐보스 후쿠오카/사세보/나가사키 항로 개설
- 현이 창구가 되어 일반은행으로부터 저리융자를 알선하고 리조트법에 의해 NTT 무이자 융자 5억엔을 유치함
3. 프랑스
기본방향
- 세계 최대의 관광국인 프랑스 관광정책의 기본방향은 사회복지정책 차원에서 국민의 해외관광과 외국인관광객 유치를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데 있으며, 관광산업을 규제하기 보다는 장려하면서 관광과 관련된 각종 사업추진을 지원하고 있음
사례 : 디즈니랜드 파리 유치
- 디즈니를 파리에 유치하기 위해 프랑스 정부는 디즈니사에 전폭적인 지원을 함
- 초기 투자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토지가를 16년 전의 농지가로 책정하여 매각하였으며
- 전체비용의 40%에 달하는 7억7천만달러를 저리(7.85%)로 융자해주고 5년 간의 상환유예기간을 보장하였음
- 상품판매액의 세율을 18.6%에서 7%로 감면하고 감가상각 기간을 20년에서 10년으로 단축해 주었음
- 또한 파리 고속지하철역 연장, TGV Disney역 신설, 고속도로 Interchange 신설 등의 지역인프라시설을 지원해줌
추천자료
한국 최대의 서비스 기업, 에버랜드의 서비스 전략과 방침, 발전 방향
에버랜드의 서비스 마케팅 해부
삼성 에버랜드 기획부를 통해 바라본 조직의 실태와 발전방향
에버랜드(EVERLAND)의 서비스 전략
에버랜드 마케팅 사례조사
에버랜드 MOT 분석 및 대안
에버랜드(EVERLAND) 마케팅 SWOT, STP, 7P전략분석(vs 롯데월드와 비교분석) 및 에버랜드 새...
[에버랜드 (EVERLAND) 서비스마케팅 전략분석 보고서] 삼성 에버랜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에버랜드 vs 롯데월드 기업비교분석과 에버랜드,롯데월드 마케팅 7P,STP,SWOT전략 비교분석및...
EVERLAND 에버랜드 기업분석/ 에버랜드 마케팅 SWOT,STP,4P전략 분석/ 에버랜드 주요 경영전...
[ 에버랜드 마케팅사례 PPT ] EVERLAND 에버랜드 기업현황과 마케팅 4P,STP,SWOT분석및 에버...
EVERLAND 에버랜드 성공비결과 에버랜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에버랜드 문제점과 해...
에버랜드 성공비결과 에버랜드 마케팅,경영전략분석및 에버랜드 향후과제와 방향제언 PPT
[에버랜드 마케팅전략] 에버랜드 경영전략과 마케팅 SWOT,STP,4P분석및 에버랜드 향후과제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