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요약 및 정리
1. 사도직에 있어서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
2. 그의 복음 선포는 화해의 복음이었다.(고후5:19 ff.)
3. 또한 그는 자유의 복음을 선포한다. (갈5:1)
4. 하나님의 의는 오직 믿음으로만이 이해되어진다.
5. 구원은 결국 이스라엘에게 돌아가며, 이방인에 대한 선포는 `이스라엘의 시기심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바울의 사상이다.
II. 본문
1. 사도직에 있어서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
2. 그의 복음 선포는 화해의 복음이었다.(고후5:19 ff.)
3. 또한 그는 자유의 복음을 선포한다. (갈5:1)
4. 하나님의 의는 오직 믿음으로만이 이해되어진다.
5. 구원은 결국 이스라엘에게 돌아가며, 이방인에 대한 선포는 `이스라엘의 시기심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바울의 사상이다.
II. 본문
본문내용
없다(롬3:22,10:12). 선택은 단지 유대인 뿐 아니라 이방인도 하나님의 영광 가운데 만남을 갖는다는 이러한 목표로 역사 속에서 인도되어지는 다른 길이란 점이다. 로마서 1장 7-33에서는 주의해야할 부분이 자주 등장하는데 바울이 쓴 마지막 부분으로 바울선교의 기초적 사상의 거대한 요약으로서 표현되어진다.
교회의 강하고 약한 부분의 연합의 토론과 관련하여 바울은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회의 연합을 만든다. 그가 강함과 약함의 연합을 기독론적 기초로 삼은 것처럼 여기에서도 그는 하나님의 신실함을 보이고(롬14:6ff., 15, 15:3), 이방인들에게 하나님의 자비하심의 실체를 보여주시는 것처럼,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을 성취하시는 할례자들의 종으로 나타나신 그리스도라는 사실로부터 그의 주장을 발전시킨다. 이방인의 소망 가운데 한 사람이 이새의 뿌리로부터 와서 그들을 지배하기 위해 일어서는데, 사람들 가운데에서 주님께 찬양과 충만한 고백이 들려오며, 나아가서 역사의 참된 목적이고, 마지막인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영광이 시작되어진다. 그러므로 이방인에 대한 선교 가운데에서 구약의 선지자를 따라, 후에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기까지 일어나서는 안돼는 것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점에서 이방인에 대한 선교가 특별하고 명백하게 얼마나 많이 그림이 바뀌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바울은 이방인 가운데 복음의 사제적 봉사를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임명을 받은 유대인으로, 그가 성령에 의해 정화된 충분한 제물로서 하나님께 그들을 드려야한다(롬15:16). 그러나 한 전체로서의 이스라엘이 여전히 비켜서 있는 그 때에 일어난다. 엘리야 시대에 하나님께서 남은 자를 떠나신 것과 같이(롬9:27ff., 11:1ff.), 이스라엘 사람들의 기원인 예루살렘의 성인들의 작은 모임이 민족이 알맞게 자리잡고 사는 이스라엘의 중앙에서 대표자들을 취하였다. 이스라엘의 우선권 때문에,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구성된 교회의 조화의 표시로서 바울은 이스라엘의 선조들에게 주신 약속(롬15:25ff.)과 같이 공동의 상속자인으로 받아들이는 영적 선물로 돌아오는 세속의 선물로서 이방 기독교 교회에 의해 만들어진 모임인 교회로 나아간다. 그리고 그는 계속되어지는 기도함으로 봉사를 위해 간청하고 있다(롬15:30ff.).
사도행전 20장에서 말하여진 것과 같이 바울은 이방인 기독교회로부터 그리고 소아시아와 마케도니아, 그리고 그리스의 선교의 장으로부터 모아진 헌금을 가지고 대표자로서 예루살렘에 간다. 그리고 예루살렘의 여행은 이방인의 종말론적인 감사제사나 시온에 이방 나라들의 순례여행일 뿐이다. 그러나 하나의 유일한 표적이며, 세속적 예루살렘이 아닌 하나님께 속한 종말론적인 백성인 '보다 위의 예루살렘'이라는 사실이다(갈4:21ff.).
그러므로 성전은 감사제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믿지 않는 이스라엘 가운데에서 그곳에 가난한 사람들의 모임이라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미 실현되고 있는 이방인의 예배의 명백한 증거가 '이스라엘의 시기심을 일으키도록' 도울 것이며, 마침내는 구원을 붙잡도록 하는 것이 바울의 마음이다.
이렇게 이방인의 사도로서 바울은 적어도 이스라엘의 봉사를 위해 간접적으로 방문하였다. 바울이 기대하는 것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유대인은 복음에 대해 마음을 열지 않으면서, 바울과 그의 이방 기독교의 대표들의 여행을 그를 죄수로 잡으려는 기회로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그의 모든 계획, 더 나아가 선교의 사역은 좌절되었다. 이것이 비록 그의 여행의 완성을 방해했다 할지라도 다른 어떤 것 보다 모든 나라와 세계가 함께 모일 수 있음의 의미는 그의 앞에 남았다는 사실이다.
교회의 강하고 약한 부분의 연합의 토론과 관련하여 바울은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회의 연합을 만든다. 그가 강함과 약함의 연합을 기독론적 기초로 삼은 것처럼 여기에서도 그는 하나님의 신실함을 보이고(롬14:6ff., 15, 15:3), 이방인들에게 하나님의 자비하심의 실체를 보여주시는 것처럼,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을 성취하시는 할례자들의 종으로 나타나신 그리스도라는 사실로부터 그의 주장을 발전시킨다. 이방인의 소망 가운데 한 사람이 이새의 뿌리로부터 와서 그들을 지배하기 위해 일어서는데, 사람들 가운데에서 주님께 찬양과 충만한 고백이 들려오며, 나아가서 역사의 참된 목적이고, 마지막인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영광이 시작되어진다. 그러므로 이방인에 대한 선교 가운데에서 구약의 선지자를 따라, 후에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기까지 일어나서는 안돼는 것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점에서 이방인에 대한 선교가 특별하고 명백하게 얼마나 많이 그림이 바뀌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바울은 이방인 가운데 복음의 사제적 봉사를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임명을 받은 유대인으로, 그가 성령에 의해 정화된 충분한 제물로서 하나님께 그들을 드려야한다(롬15:16). 그러나 한 전체로서의 이스라엘이 여전히 비켜서 있는 그 때에 일어난다. 엘리야 시대에 하나님께서 남은 자를 떠나신 것과 같이(롬9:27ff., 11:1ff.), 이스라엘 사람들의 기원인 예루살렘의 성인들의 작은 모임이 민족이 알맞게 자리잡고 사는 이스라엘의 중앙에서 대표자들을 취하였다. 이스라엘의 우선권 때문에,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구성된 교회의 조화의 표시로서 바울은 이스라엘의 선조들에게 주신 약속(롬15:25ff.)과 같이 공동의 상속자인으로 받아들이는 영적 선물로 돌아오는 세속의 선물로서 이방 기독교 교회에 의해 만들어진 모임인 교회로 나아간다. 그리고 그는 계속되어지는 기도함으로 봉사를 위해 간청하고 있다(롬15:30ff.).
사도행전 20장에서 말하여진 것과 같이 바울은 이방인 기독교회로부터 그리고 소아시아와 마케도니아, 그리고 그리스의 선교의 장으로부터 모아진 헌금을 가지고 대표자로서 예루살렘에 간다. 그리고 예루살렘의 여행은 이방인의 종말론적인 감사제사나 시온에 이방 나라들의 순례여행일 뿐이다. 그러나 하나의 유일한 표적이며, 세속적 예루살렘이 아닌 하나님께 속한 종말론적인 백성인 '보다 위의 예루살렘'이라는 사실이다(갈4:21ff.).
그러므로 성전은 감사제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믿지 않는 이스라엘 가운데에서 그곳에 가난한 사람들의 모임이라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미 실현되고 있는 이방인의 예배의 명백한 증거가 '이스라엘의 시기심을 일으키도록' 도울 것이며, 마침내는 구원을 붙잡도록 하는 것이 바울의 마음이다.
이렇게 이방인의 사도로서 바울은 적어도 이스라엘의 봉사를 위해 간접적으로 방문하였다. 바울이 기대하는 것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유대인은 복음에 대해 마음을 열지 않으면서, 바울과 그의 이방 기독교의 대표들의 여행을 그를 죄수로 잡으려는 기회로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그의 모든 계획, 더 나아가 선교의 사역은 좌절되었다. 이것이 비록 그의 여행의 완성을 방해했다 할지라도 다른 어떤 것 보다 모든 나라와 세계가 함께 모일 수 있음의 의미는 그의 앞에 남았다는 사실이다.
추천자료
기독교-사랑.선교.청년(선교의 성서적 근거와 청년선교)를 읽고
[선교 설교][인터넷을 이용한 선교][선교][설교][인터넷][교회][목회][성경]선교 설교와 인터...
[사도행전][선교설교][일본 조합교회의 선교][남감리교 선교]사도행전의 선교설교와 일본 조...
선교의 성경적 배경 역사와 문화 및 선교 전략
선교사 허드슨 테일러에 대한 이해와 허드슨 테일러의 선교방법에 대한 분석
선교신학(구약성서와 선교).
기독교(크리스트교, 개신교)윤리와 바울의 윤리, 코이노니아 윤리, 기독교(크리스트교, 개신...
애송이 마가 요한, 그리고 바울과 바나바의 결별
[서평, 독후감] 바울서신의 메시지 _ 이한수 저
[요약, 감상문] 바울신학 _ FF브루스 저
[신약신학] (요약) 간추린 신약신학 - 제5장 바울의 기독론
[교회와 신앙] 복음화와 하나님의 선교 - 복음화와 선교, 하나님의 선교, 한국 교회 선교의 현장
[현대선교신학] 한국의 토착화 신학 (선교학 사전 - 칼 뮬러 테오순더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