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대외정책의 목표와 기본이념
II.대외정책 결정 및 집행기구
III.대외정책 변천과정 개괄: `92북한 개요 ,통일원
IV.대외 정책의 전개과정 <북한 정치론, 한국정치연구회,백산서당>
V.북한 대외 정책의 특징 및 대외관계 현황
II.대외정책 결정 및 집행기구
III.대외정책 변천과정 개괄: `92북한 개요 ,통일원
IV.대외 정책의 전개과정 <북한 정치론, 한국정치연구회,백산서당>
V.북한 대외 정책의 특징 및 대외관계 현황
본문내용
(참고: 북한은 그들의 대외정책이 빛나는 혁명 전통'과 주체사상'에 근거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2. 냉전 이후의 시대 상황에서 우리의 대북한 연구는 진정 냉전의 구습을 극복하고 있는가? (참고: 김일성 우상화, 주체사상의 허구성, 개혁과 개방)
3.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민족대단결 의식을 고취하는 문제는 우리의 수업과 무관한가?
4. 북한의 국제정세 인식관?
- 특히 소련 및 사회주의 붕괴에 대하여
----------------- <참고문헌>
1. 박창희 <신북한 정치론> 서울, 일신사 1988
2. 김연수 <북한 오늘과 내일> 서울, 평화,1992
3. 신정현 <전환기의 북한 사회주의> 서울, 대왕사,1992
4. 전득주 <분단국 통일의 재인식> 서울,대왕사, 1988
5. 이경숙 <북한40년 중 제 6편 외교'> 서울, 을유문화사, 1989
6. 한국정치연구회 <북한 정치론> 서울, 백산서당,1990
7. 통일원 < 92북한개요>서울, 1992
8. 통일연수원 < 94북한이해> 서울, 1994
9. 동아일보사 <원자료로 본 북한 1945~1988> 서울, 1989
10.통일원 <월간 북한 동향 92,11- 북한 사회주의 헌법 1992 개정안>
11.미쯔시다도꾸나리 <월간 북한 동향 92,12 - 북한의 외교정책>
12.한계레 신문 94.3.1 ~ 94.4.26 <푸에블로호 비사> 연재기사
13.김일성 주석 신년사 1992,1993,1994
14.사회과학 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미공화국 대외 관계사 1> 평양,1985
15.사회과학 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 관계사 2> 평양, 1987
2. 냉전 이후의 시대 상황에서 우리의 대북한 연구는 진정 냉전의 구습을 극복하고 있는가? (참고: 김일성 우상화, 주체사상의 허구성, 개혁과 개방)
3.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민족대단결 의식을 고취하는 문제는 우리의 수업과 무관한가?
4. 북한의 국제정세 인식관?
- 특히 소련 및 사회주의 붕괴에 대하여
----------------- <참고문헌>
1. 박창희 <신북한 정치론> 서울, 일신사 1988
2. 김연수 <북한 오늘과 내일> 서울, 평화,1992
3. 신정현 <전환기의 북한 사회주의> 서울, 대왕사,1992
4. 전득주 <분단국 통일의 재인식> 서울,대왕사, 1988
5. 이경숙 <북한40년 중 제 6편 외교'> 서울, 을유문화사, 1989
6. 한국정치연구회 <북한 정치론> 서울, 백산서당,1990
7. 통일원 < 92북한개요>서울, 1992
8. 통일연수원 < 94북한이해> 서울, 1994
9. 동아일보사 <원자료로 본 북한 1945~1988> 서울, 1989
10.통일원 <월간 북한 동향 92,11- 북한 사회주의 헌법 1992 개정안>
11.미쯔시다도꾸나리 <월간 북한 동향 92,12 - 북한의 외교정책>
12.한계레 신문 94.3.1 ~ 94.4.26 <푸에블로호 비사> 연재기사
13.김일성 주석 신년사 1992,1993,1994
14.사회과학 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미공화국 대외 관계사 1> 평양,1985
15.사회과학 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 관계사 2> 평양, 1987
추천자료
북한의 군사정책과 북핵문제
북한의 외교정책현황에 관하여
북한의 환경정책과 남북한 환경협력의 필요성과 대안
중국, 베트남, 북한의 개혁 개방 정책 비교
북핵문제,핵무기개발,북핵위기,대북핵전략,북한핵문제,한반도핵문제,북핵문제의 전개, 핵무기...
1940년 후반부터 1990년 까지 북한의 대외관계
북핵 문제를 통해 살펴본 중국의 對북한 정책-6자회담에서 중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북한 외교정책의 변화와 우리의 과제
북한의 대외무역 현황 및 북한 대외경제협력 및 외자유치 현황
북한경제가 앞으로 추구해야 할 개방, 개혁정책의 모형분석 (중국과 베트남 모형의 분석과 북...
[외교정책] 한국과 러시아의 대외 관계, 비교
북한의이해,북한의 주체사상,남북관계와역사,대북정책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핵심내용,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