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혜왕후 내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글을 시작하면서..
( 지은이와 내훈을 집필한 의도에 관하여..)

2. 내용요약
1) 내훈 서
2) 1권의 언행장 (말과 행동)
3) 1권의 효친장 (부모에 대한 효도)
4) 1권의 혼례장 (결혼)
5) 2권의 부부장 (부부)
6) 3권의 모의장 (양육)
7) 3권의 돈목장 (인간관계)
8) 3권의 염검장 (청렴,검소)
9) 발문

3. 이 시대의 예절과 내훈이 서술한 내용 비교
( 21세기의 사회적 분위기와 비교한 내훈의 의미에 관하여..)

4. 내훈을 읽은 후의 소감.
( 세월이 흘러도 예절은 인간의 상식이다. 환경의 변화로 예절의 가치관은 바뀌어
가고 있다. 내훈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예절서로서, 예절의식 함양에 기여했지
만, 한편으로 여성을 억압했다는 인상도 받았다. 비록 시간은 흘렀지만, 예절의
식이 희박해진 현대인에게 내훈의 내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본문내용

전통적인 가치관이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인지 현대인들의 여성에 관한 가치관과 당시 시대의 가치관에 많은 차이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과거 남녀칠세부동석이었던 시대에 남녀가 악수를 한다는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지만. 현대시대에 여성이 남성에게 먼저 손을 내밀어 악수를 청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과거에 말가짐이 중요하듯이, 현재에는 전화예절이 중요한 것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내훈과 지금의 가치관의 기본적인 틀은 같습니다. 부모를 공경하고, 어른을 공경하고, 자녀를 잘 키우고, 성실하고, 겸손하고, 검소하게 살아야 한다는 등의 내용은 시대가 변해도 결코 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내훈의 내용과 현대인의 예절에 관한 가치관에 대한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바로, T.P.O에 맞게 행동과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훈은 당시 시대에서 여성다운 여성을 육성하고, 예절바른 여성을 만들기 위해 편찬되어, 여성의 교양과 예절의식 함양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발문에 나왔듯이, 예절에 관해 방대한 양의 자료를 간략하게 요점만 정리하여 새로이 책을 만들어 보급하여 대부분의 여성들이 보고 쉽게 익히고, 일상생활에 활용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내훈을 읽고, 예절을 몸에 익히는 여성들을 떠올리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내훈이 소수 지배층 여성만을 대상으로 글을 썼다는 점입니다. 왜 소혜왕후는 대중적인 예절서를 쓰지 않았을까요? 일반 평민들에게는 예절따위는 필요없다고 생각한 탓일까요? 그건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또, 내훈에는 거의 여성을 몸종 취급하듯이 하고, 비하하는 내용도 많습니다. 고대의 서적들이나 선조들의 생활상을 보면, 내훈이 제시하고 있는 여성상을 모두 따르고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물론, 그런 여성들을 위해 소혜왕후가 내훈을 썼으리라고 생각되지만, 이런 일종의 '틀'에 모든 여성을 맞춘다는 것은 무리가 있었지 않았을까요? (요즈음 젊은이들이 예절서를 보고 따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소혜왕후도 여성인데, 여성이 여성들을 사회체제에 가두려 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내훈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상당히 여성에게 억압적으로 느껴집니다. 당연히 소혜왕후가 그럴 목적으로 내훈을 썼을리는 없지만, 그런 인상을 받았습니다. 소혜왕후는 여성들을 좀 더 자유롭게 해 주지 못했을까요? 오히려 내훈의 내용 때문에 좀 더 예절이 엄격해지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마저 듭니다. 당연히, 내훈의 그런 내용들이 그 시대의 분위기를 반영했기 때문에 그럴꺼라는 생각은 들지만, 참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든, 여성은 그 시대나 이 시대나 힘든 삶을 살아가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
비록 내훈은 여성에 관한 내용이긴 하지만, 예절은 분명, 여성만의 덕목이 아닙니다. 요즈음, 현대인들은 일종의 예절결핍증에 걸려 있는 것 같습니다.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만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예절을 경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 세상에는 중요한 것이 꽤 많습니다. 명예나 권력, 부..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그 사람의 인격이 아닌가 싶습니다. 인간다운 면을 가진 사람이 가장 존경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가장 얻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얻기 힘든 것, 현대인들에게 부족한 것..예절. 그런 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훈은 예절의식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지금이라도 당장 서점에 가서 예절에 관한 글을 읽어보는 건 어떨까요?
참고문헌
1. 내훈(內訓), 昭惠王后 韓氏 / 李民樹 校註, 弘新文化社, 199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10.3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