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상차림과 식사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의 상차림 (1900년 후기)
(1)반상
㈀외상 차리기
㈁겸상 차리기
(2)죽상차림
(3)장국상차림(면상, 만두상, 떡국상)
(4)주안상
(5)교자상
(6)다과상

2. 한국의 식사예절

3. 옛 문헌에 나오는 식사예법
(1)『논어』향당편, 공자, BC 5~4세기
(2)『내훈(內訓)』언행(言行)장, 소혜왕후, 1475
(3)『사소절(士小節)』,이덕무, 1700
㈀식사 전 예법
㈁식사중의 예법
㈂식사 후 예법
㈃남과 음식 먹을 때의 예법

4. 비판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져가며 격식을 차려 먹으면 음식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을 것 같다. 합리적이고 편리하고 빠른 것을 좋아하는 현대사회에서 전통중에서도 아직 기본적으로 남아있는 것들도 있지만 융통성 없고 경직된 전통은 거추장스런 것이 되어버렸다. 예법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서로를 존중해주기 위해 나타난 것이다. 그런데 사람을 위한 예법이 아니라 예법을 위한 예법이었기에 조선시대의 식사예법은 너무 지나친 것은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해본다. 전체적인 내용을 다 싸잡아서 말하는 것은 아니고 아직까지도 논쟁이 되는 남녀 성평등에 대한 문제라든가, 지나치게 형식적인 면에 얽매이는 부분들에 대해서 꼬집어 본다. 이런 것들도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반드시 지켜졌겠지만 실제로는 사적인 자리에서 융통적으로 자율성이 있었을 지도 모른다.
실제로 어떻게 생활했을 지에 대해 현재로서 알기 힘들다는 점은 역사의 영원한 숙제일 것이기에 공부할 수록 궁금증과 추측만 꼬리를 문다. 문득 언제부터 하루에 세끼를 먹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겨서 추가적으로 조사해 보았다. 지금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끼를 먹는 것이 당연하지만 옛날엔 하루 두 끼를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래서 식사를 '조석'이라 불렀다한다. 본래 '점심'이란 중국의 스님들이 새벽이나 저녁 공양 전에 문자 그대로 '뱃속에 점을 찍을 정도로' 간단히 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하루에 챙기는 끼니 수는 계절에 따라서, 노동량에 따라서, 살림 형편에 따라서도 달랐다. 일본군 군의관들이 한국북부지방의 생활을 조사한 <조선의 의식주>(1916)에서도 한국인의 식사 횟수는 지방에 따라, 계절에 따라, 경제력에 따라 다른데 대체로 하루 2회라고 하고 있다. 이처럼 끼니수는 두 끼가 일반적이었고 간단한 간식 정도에 그치던 점심이 점차 정식 식사로 자리 잡아 세 끼로 바뀌었는데, 조선시대 말까지도 완전히 세 끼로 바뀐 것은 아니었다. 하루 세 끼가 완전히 정착된 것은 금세기 후반부터라고 한다. 더 이전의 사람들의 식생활은 어땠을지 추후에 더 조사해보고 가늠해보려고 한다.
이렇게 한국의 상차림과 식사예절에 대해 알아보고 궁금증도 조사해보았는데 앞으로의 식문화에 대한 전망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현대의 가정에서 그리고 음식점에서 전통을 브랜드화했으면 좋겠다. FTA가 체결되면서 점점 외국문화가 쏟아져 들어오는데 우리의 좋은 것들이 휩쓸려 사라지지 않고 반대로 당당히 외국으로 퍼져 들어가 자랑스레 알려졌으면 한다. 그러려면 한국의 것이라는 브랜드화가 되어야 되는데 이런 면에서 보면 체계적이고 형식적인 면이 필요하다. 솔직히 이런 면에서는 일본이 매우 앞서 있는 것 같다. 각 지역마다의 특산음식이라든지 축제 등 전통을 잘 전수해오는 점들은 배워서 앞으로 이런 노력이 우리나라도 국가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황혜성외,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1991
김득중, <우리의 전통예절>,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86
강인희 외, <한국식생활풍속>, 삼영사, 1984
石毛直道, <세계의 음식문화>, 광문각, 1999

키워드

한국,   상차림,   식사,   예절,   풍속,   음식문화,   식생활,   전통음식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4.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