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운동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3.1운동의 전개
1) 세계사조의 흐름
2) 국내의 3.1운동 태동

Ⅲ. 3.1운동의 전개
1)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2) <독립선언서>준비 및 배포와 최후의 회담
3) 만세운동의 시작
4) 전국의 만세시위운동
5) 해외의 만세시위운동

Ⅳ. 3.1운동의 참가계층
1) 지식인, 청년, 학생
2) 농민, 노동자
3) 상인
4) 양반유생

Ⅴ. 3.1운동에 대한 해외의 반응
1) 중국
2) 미국
3) 영국․프랑스
4) 소련

Ⅵ. 3.1운동의 일제의 반응 및 탄압

Ⅶ.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및 한계
1) 영향
2) 민족사적 의의
3) 현대적 의의
4) 세계사적 의의
5) 한계

Ⅷ. 맺음말 & 느낀 점

본문내용

으로서 밑받침이 되게 하여야 하는 것이다. 3.1운동의 대동단결의 정신을 오늘의 통일사회의 전기로 삼아야 할 시기에 처해 있다는 사 실을 실감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3.1운동이 갖는 역사적인 의의는 민족의 가슴에 새겨진 숭고한 이상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3.1운동이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갖 는 것으로서 그친다면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있어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지도 모른다. 이 운동이 진정한 그 역사적 의의를 지니려면 이것이 과거의 역사적 사실로만 머물 것이 아니 라 오늘의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에게 새로운 정신적 지평을 열어줄 수 있어야만 하는 것이 다. 우리는 당시 3.1운동이 갖는「민족의식」과「자결의식」을 의미 깊게 되새겨 소모적인 반일감정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지일(知日)극일(克日)로 승화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강력 한 통일 민주국가를 앞당기는 길만이 일제에 항거하다 희생된 분들의 유지를 계승하는 길이 될 것이다. 3.1독립운동과 민족의 자존, 장백일, 2000년 창권 239호, 현대사회문화연구소, 2003, 14-16쪽
4) 세계사적 의의 - 제1차 세계대전 기간 중 교전국들은 상대국 식민지의 민족감정에 불을 붙여 배후를 교란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독일이 아일랜드를, 영국이 아랍 제민족의 독립 을 후원한 것이 그것이다. 그 결과 패전국의 지배 하에 있던 약소국의 독립은 일부 성취 되었다. 그러나 인도이집트필리핀베트남 등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의 승전국 지배 하의 피압박 민족들은 더욱 위축되게 되었다. 이런 시점에 한국의 비무장 민중에 의한 3.1운동은 세계 피압박 민족에게는 새로운 자극과 용기를 주어 이후 중국의 5.4운동, 인도와 이집트 인도차이나필리핀의 독립운동에도 커다란 각성과 영향을 주었다. 특히 3.1운동은 세계혁명 운동사에 새로운 기원을 열었다. 그것은 맨손의 민중들이 민족독립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세계에 보여 주었다. 일반적으로 약소국의 독립운동에서 행해온 직업적인 혁명가나 무장세력의 투쟁은 민중을 동원할 수 없었다. 그러나 3.1운동은 거대한 민중의 힘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평화적인 민족사회운동의 한 전형으로 새롭게 등장한 것 이었 다. 이러한 운동방식은 1919년 4월 5일부터 시작된 인도 간이의 새트야그라하(진리수호)와 아힘사(비폭력, 사랑)에 의한 대영 비폭력 무저항 독립운동, 1960년대 미국의 루터 킹 목사 에 의한 민권운동 등에서 다시 그 힘이 확인되었다. 3.1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피압박민족의 독립운동 가운데 첫 봉화였고, 정의와 인도, 인류평화의 새로운 세계상을 그 리며 용감하게 나아간 세계사적 사건이었다. 한국사 47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국사편찬의원회, 탐구단문화사, 2001, 408-411쪽.
5) 한계 - 3.1운동을 준비하고 스스로 민족대표라고 하던 33인은 운동의 계기를 마련하기는 했지만, 투쟁이 번지고 일제가 탄압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항쟁 처음부터 아예 투쟁을 포기하였다. 이들은 민중의 광범한 독립의지를 바탕으로 운동을 주동적으로 이끌기보다는 제국주의 열강의 속성을 깨닫지 못한 채 한때 유리하게 조성된 정세에 편승하여 민족독립을 해결하려 한 결정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외적인 독립선포, 일제 당국자에 대한 독립청원 그리고 열강에 호소하는 독립청원운동은 제국주의 속성상 실패할 수밖에 없는 구상이었다. 강좌 한국근현대사, 역사학연구소, 풀빛, 1997, 136쪽.
Ⅷ. 맺음말 & 느낀 점
* 맺음말 - 역사적인 3.1운동은 나라 안에서는 민족의 자립 자주정신을 오랫동안 온 국민 의 마음속에 심어주고 나라밖에서는 각기 그 나라의 운명을 터 주었다. 그러므로 이 정 신은 평화정의진리자유박애사랑을 골고루 이어가고 심어줌으로써 나타났다고 하겠다. 따라서 3.1정신이 우리에게 남겨준 유산이라면 오늘 우리민족의 숙원인 민족의 통일과 분단시대의 해소라는 대 과제를 풀어나가는 원동력으로서 밑받침이 되게 하여야 하는 것 이다. 3.1운동의 대동단결의 정신을 오늘의 통일사회의 전기로 삼아야 할 시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실감해야한다. 그런 의미에서 3.1운동이 갖는 역사적인 의의는 민족의 가슴에 새겨진 숭고한 이상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3.1운동과 민족의 자존-3.1절 84주년에 부쳐-, 장백일, 2000年 통권 239호, 2003, 16쪽.
* 느낀점 - 처음에는 3.1운동이라는 주제가 무척이나 쉽게 느껴졌었다. 그러나 실제로 자료를 수집하고 참고문헌을 읽으며 공부하다보니 우리가 알고 있던 3.1운동은 결코
쉬운 주제가 아니었음을 알았다. 이번 과제는 일제의 무단 통치에 억눌려있던 우리 민족들의 거센 반발 감정이 응결된 3.1운동에 대해 좀더 깊고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 가 되었다. 몇 가지 아쉬웠던 점은 3.1운동에 관한 논문이 종교와 너무 밀접히 엮여있 거나 지역별로 너무 나뉘어 있어 상세한 우리 민족의 활약이나 전국적인 운동의 파동을 알기 어려웠다. 그래서 도서 자료에만 의존했는데, 의외로 국립중앙도서관에 3.1운동과 관련된 도서가 별로 없었다. 3.1운동에 대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너무 소홀히 대하는 것은 아닌지 씁쓸함이 느껴졌다.
Ⅳ. 참고문헌
-한국사 이야기 20-우리 힘으로 나라를 찾겠다, 이이화, 한길사, 2004,
-한국사 47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국사편찬의원회, 탐구단문화사, 2001,
-증보 3.1운동사, 윤병석, 국학자료원, 2004,
-한민족독립운동사 (3) 3.1운동, 국사편찬위원회, 시사문화사, 1988,
-한겨례 신문후원 3.1운동 70주년 기념논문집 3.1 민족해방운동연구, 한국역사 연구회 역 사문제 연구소, 청년사, 1989,
-독립운동총서[2] 3.1운동, 민족사 바로찾기 국민회의, 민문고. 1995,
-알기쉬운 獨立運動史, 박성수, 國家報勳處, 1995,
-3.1독립운동과 민족의 자존, 장백일, 2000년 창권 239호, 현대사회문화연구소, 2003,
-강좌 한국근현대사, 역사학연구소, 풀빛, 1997,
-3.1운동과 민족의 자존-3.1절 84주년에 부쳐-, 장백일, 2000年 통권 239호,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6.1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