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교란 무엇인가 ?
1) 도교의 특징
2) 도교의 성립과정
3) 민중 도교와 교단 도교
2. 도교의 역사 전개
1) 태평도와 오두미도, 천사도
2) 상청파의 성립과 발전
3) 신 천사도의 성립
4) 도교의 혁신파 신소파, 태일파, 진대도교
5) 전진교의 성립
6) 정명충효도와 무당도
3. 도교의 신앙체계
1) 도교의 신들
2) 도교의 산악신앙
3) 도교의 의례
4) 양생술 : 벽곡. 복이. 조식 도인. 방중
4. 도교와 사회윤리
1) 도교의 특징
2) 도교의 성립과정
3) 민중 도교와 교단 도교
2. 도교의 역사 전개
1) 태평도와 오두미도, 천사도
2) 상청파의 성립과 발전
3) 신 천사도의 성립
4) 도교의 혁신파 신소파, 태일파, 진대도교
5) 전진교의 성립
6) 정명충효도와 무당도
3. 도교의 신앙체계
1) 도교의 신들
2) 도교의 산악신앙
3) 도교의 의례
4) 양생술 : 벽곡. 복이. 조식 도인. 방중
4. 도교와 사회윤리
본문내용
명예를 높인 것은 십오공(十五功), 선생이나 연장자를 비웃는 것은 십과(十過)라는 식이다.
이와 같이 잘못에 대한 벌로써 얻게 된 병을 치료하긴 위해서는 자기의 과실을 반성하고 용서를 빌지 않으면 안 된다. 용서를 빌고 반성하는 장소가 정실(靜室)이다.
그러나 용서를 빌고 반성하는 소극적인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선을 행하고 덕을 쌓는 적극적인 행동이다. '포박자'에서는 적덕(積德)을 매우 강조한다. 아무리 방술을 행하고, 금단을 마신다 해도 덕을 쌓지 않으면 장생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크게 나쁜 일을 한 경우에는 인간의 생명을 관장하는 사명신(司命神)이 그 사람으로부터 '기(紀)'를 빼앗는다 '기(紀)'란 3백일의 생명을 말한다. 또 작은 잘못에 대해서 '산(算)'을 빼앗는다. '산(算)'은 3일의 생명이다. 반대로 덕을 쌓으면 신선이 될 수 있다 천선(天仙)이 되기 위해서는 1천 2백 선(善)을 연속적으로 쌓아야 하며, 지선(地仙)이 되기 위해서는 3백 선(善)을 쌓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교의 계율에 대해서 보자. 초기 도교에는 계율이 그렇게 엄격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시대가 뒤로 갈수록 유교 ·불교 측에서의 도덕적 비난을 극복하기 위해 계율이 점차 복잡해지게 된다. 특히 9세기이후 그런 경향이 현저해진다.
생각할 문제
1, 도교의 사상과 한국의 샤머니즘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 한국 기독교사상에 도교의 사상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3. 도교의 윤리관과 기독교의 윤리관의 차이는 무엇인가 ?
4. 기독교의 수도원과 한국 기독교의 기도원운동과 도교의 산악신앙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
이와 같이 잘못에 대한 벌로써 얻게 된 병을 치료하긴 위해서는 자기의 과실을 반성하고 용서를 빌지 않으면 안 된다. 용서를 빌고 반성하는 장소가 정실(靜室)이다.
그러나 용서를 빌고 반성하는 소극적인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선을 행하고 덕을 쌓는 적극적인 행동이다. '포박자'에서는 적덕(積德)을 매우 강조한다. 아무리 방술을 행하고, 금단을 마신다 해도 덕을 쌓지 않으면 장생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크게 나쁜 일을 한 경우에는 인간의 생명을 관장하는 사명신(司命神)이 그 사람으로부터 '기(紀)'를 빼앗는다 '기(紀)'란 3백일의 생명을 말한다. 또 작은 잘못에 대해서 '산(算)'을 빼앗는다. '산(算)'은 3일의 생명이다. 반대로 덕을 쌓으면 신선이 될 수 있다 천선(天仙)이 되기 위해서는 1천 2백 선(善)을 연속적으로 쌓아야 하며, 지선(地仙)이 되기 위해서는 3백 선(善)을 쌓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교의 계율에 대해서 보자. 초기 도교에는 계율이 그렇게 엄격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시대가 뒤로 갈수록 유교 ·불교 측에서의 도덕적 비난을 극복하기 위해 계율이 점차 복잡해지게 된다. 특히 9세기이후 그런 경향이 현저해진다.
생각할 문제
1, 도교의 사상과 한국의 샤머니즘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 한국 기독교사상에 도교의 사상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3. 도교의 윤리관과 기독교의 윤리관의 차이는 무엇인가 ?
4. 기독교의 수도원과 한국 기독교의 기도원운동과 도교의 산악신앙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