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학
본문내용
고 병이 낫거늘 비로소 선약임을 알았다. 이리하여 이것으로 병을 치료해 본 즉 혹 차도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여 그 까닭을 알 수 없더니 자세히 살펴본 즉 정성이 지극한 자는 번번히 약이 맞고 도덕을 어기는 자는 하나도 효험이 없었다. 이것이 치료받는 사람의 정성에 달린 것이 아니고 무엇이랴.
『東經大典』, 布德文 *교학사 『국사교육자료집』 재인용
『東經大典』, 布德文 *교학사 『국사교육자료집』 재인용
키워드
추천자료
교조신원운동과 변혁지향세력(동학농민운동 중에서)
디지털네트워크 경제의 가격형성과 축적동학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의 비교
19세기 사회변동과 동학사상
조선후기사회 그리고 동학과 서학
개화·동학·위정척사 사상
한국사상의 이론 - 동학의 정치사상
세계경제구조의 변동의 기술동학적 특징과 정보사회론에 대한 비판
해월 최시형 선생의 동학사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
5)사회-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의 과정과 의의(중안)
5)사회-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설명한다.(중안)
유적지(동학농민혁명) 견학문
초등학교 교사 문화의 특징- 동학년 조직에서의 공유와 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