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일정상회담의 성립
Ⅱ. 북·일정상회담
Ⅲ. 북·일 정상회담 그 후
Ⅱ. 북·일정상회담
Ⅲ. 북·일 정상회담 그 후
본문내용
을 해결하는 문제, 즉 강제 연행자나 성노예(군 위안부), 원폭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이나 보상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정근식, 북·일 수교와 과거청산, 경향신문 9월 15일
Ⅲ. 북·일 정상회담 그 후
1. 북·일국교정상화 교섭
"북·일국교정상화교섭 본회담을 10월 29일, 30일 이틀에 걸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루에서 재개하기로 한다. 국교정상화교섭에서는 우선 납치문제를 북·일간 여러 현안의 최우선 사항으로 다루게 된다. 또한 공작선 문제와 일본 및 국제사회의 중대한 현안인 핵문제 및 미사일 문제를 포함하여 안전보장의 여러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관계성청이 참가하는 북일 안전보장협의 실현에 대해서도 합의하도록 노력한다. 북·일국교정상화 교섭에서는 9월 17일 북·일정상회담에서 서명한 북·일평양선언 원칙과 정신에 따라 북한측의 성의를 지켜보면서 진지하고 신중하게 교섭을 추진한다. 정부는 일본의 안전과 동북아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기여하는 형태로 국교정상화가 실현되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이를 위해서 한일미가 긴밀한 연계 하에 국교정상화 교섭을 추진하고자 한다."
주한일본대사관, 일북국교정상화 교섭에 관한 기본방침
2. 앞으로의 전망
"이제 우리는 북일 국교정상화를 '주어진 상황'으로 인식하고, 계속하여 전개될 미국과 북한의 관계개선을 염두에 두면서 새로운 동북아 신국제정치 질서에 유효하게 대응하기 위한 외교안보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앞으로 전개되는 북미, 북일간의 모든 외교는 우리 정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이뤄져야 한다. 또한, 일본과 미국의 대북 접근이 남북관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새롭게 전개되는 동북아 신국제정치 질서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신중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 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신희석, 北·日정상회담을 보고, 한국일보 9월 18일
참 고 문 헌
장성민, 동북아정세 '국익의 체스판', 주간동아 9월 12일
정근식, 북·일 수교와 과거청산, 경향신문 9월 15일
허문영·한전서·오코노기마사오, 북일정상회담 한중일 전문가 3인 분석, 동아일보, 9월 15일
한기홍·황유성·김기현, 북일정상회담 한국정부-3강의 입장, 동아일보 9월 17일
이종석·조명철, 북·일 정상회담 관련 전문가 견해, 연합뉴스 9월 17일
북일정상회담 3대쟁점, 동아일보 9월 17일
신희석, 北·日정상회담을 보고, 한국일보 9월 18일
한영구, 일·북한 수교가 남북관계 및 동북아 정세에 미칠 영향, 외교안보연구원 1995
배정호, 탈냉전기 일본의 국내정치변동과 대외정책, 통일연구원 1999
김영춘, 일본의 대외원조정책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9
진창수, "북한문제"의 국제적 쟁점, 세종연구소 1999
서동만, 북한외교의 변화와 일본의 관계, 외교 제54호 2000.7, 한국외교협회
배정호, 일본의 국가전략과 한반도, 통일연구원 2001
참 고 사 이 트
외교통상부 www.mofat.go.kr
주대한민국 일본국대사관 www.japanem.or.kr
통일연구원 kinu.or.kr.
정근식, 북·일 수교와 과거청산, 경향신문 9월 15일
Ⅲ. 북·일 정상회담 그 후
1. 북·일국교정상화 교섭
"북·일국교정상화교섭 본회담을 10월 29일, 30일 이틀에 걸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루에서 재개하기로 한다. 국교정상화교섭에서는 우선 납치문제를 북·일간 여러 현안의 최우선 사항으로 다루게 된다. 또한 공작선 문제와 일본 및 국제사회의 중대한 현안인 핵문제 및 미사일 문제를 포함하여 안전보장의 여러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관계성청이 참가하는 북일 안전보장협의 실현에 대해서도 합의하도록 노력한다. 북·일국교정상화 교섭에서는 9월 17일 북·일정상회담에서 서명한 북·일평양선언 원칙과 정신에 따라 북한측의 성의를 지켜보면서 진지하고 신중하게 교섭을 추진한다. 정부는 일본의 안전과 동북아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기여하는 형태로 국교정상화가 실현되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이를 위해서 한일미가 긴밀한 연계 하에 국교정상화 교섭을 추진하고자 한다."
주한일본대사관, 일북국교정상화 교섭에 관한 기본방침
2. 앞으로의 전망
"이제 우리는 북일 국교정상화를 '주어진 상황'으로 인식하고, 계속하여 전개될 미국과 북한의 관계개선을 염두에 두면서 새로운 동북아 신국제정치 질서에 유효하게 대응하기 위한 외교안보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앞으로 전개되는 북미, 북일간의 모든 외교는 우리 정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이뤄져야 한다. 또한, 일본과 미국의 대북 접근이 남북관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새롭게 전개되는 동북아 신국제정치 질서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신중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 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신희석, 北·日정상회담을 보고, 한국일보 9월 18일
참 고 문 헌
장성민, 동북아정세 '국익의 체스판', 주간동아 9월 12일
정근식, 북·일 수교와 과거청산, 경향신문 9월 15일
허문영·한전서·오코노기마사오, 북일정상회담 한중일 전문가 3인 분석, 동아일보, 9월 15일
한기홍·황유성·김기현, 북일정상회담 한국정부-3강의 입장, 동아일보 9월 17일
이종석·조명철, 북·일 정상회담 관련 전문가 견해, 연합뉴스 9월 17일
북일정상회담 3대쟁점, 동아일보 9월 17일
신희석, 北·日정상회담을 보고, 한국일보 9월 18일
한영구, 일·북한 수교가 남북관계 및 동북아 정세에 미칠 영향, 외교안보연구원 1995
배정호, 탈냉전기 일본의 국내정치변동과 대외정책, 통일연구원 1999
김영춘, 일본의 대외원조정책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9
진창수, "북한문제"의 국제적 쟁점, 세종연구소 1999
서동만, 북한외교의 변화와 일본의 관계, 외교 제54호 2000.7, 한국외교협회
배정호, 일본의 국가전략과 한반도, 통일연구원 2001
참 고 사 이 트
외교통상부 www.mofat.go.kr
주대한민국 일본국대사관 www.japanem.or.kr
통일연구원 kinu.or.kr.
추천자료
일본서적(일본관련서적) 감상문 3편
북한의 대외정책
재일교포의 형성 과정 및 현황과 향후 전망(별첨1 :북한의 재일동포정책, 별첨2 :조선족, 재...
일본의 국방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
임나일본부설의 연구, 임나일본부설의 형성, 다양한 임나일본부설, 광개토대왕릉비를 토대로...
일본의 100년 이상 장수기업 29사의 생존전략
북한의 대포동-2호 미사일 발사에 대한 우리의 대응 방안
미국과 일본의 한반도 정책
북한 핵 문제의 접근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한반도 안보정세
미일대한정책(미국과 일본의 대한국정책), 미일방위협력, 미일안전보장조약, 미일군사동맹(미...
한국과 일본의 관계(한일관계)와 북일관계, 동아시아국제관계, 한국과 일본의 관계(한일관계)...
일본의 납북자 문제 접근 그 쟁점 및 한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