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노년기 재혼과 특성
Ⅲ 연구방법
Ⅳ 해석 및 결과
1. 인구학적 특성
2 개별심층면접 사례
3. 노혼에 대한 자녀의 태도
4. 노혼의 장애요인
Ⅴ 결 론
Ⅱ 노년기 재혼과 특성
Ⅲ 연구방법
Ⅳ 해석 및 결과
1. 인구학적 특성
2 개별심층면접 사례
3. 노혼에 대한 자녀의 태도
4. 노혼의 장애요인
Ⅴ 결 론
본문내용
3% 순으로 나타났는데 성별로는 상호 재혼상대자의 선택 기준에 큰 차이를 보였다. 남자 노인은 재혼상대자의 조건을 '인격과 성품' 66.7%, '외모' 33.3%라 선호하였는데 이것은 이성교제시 여성의 외모를 중시하는 것과 상반이 되었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 재혼상대자의 조건으로는 '경제력' 50%, '인격과 성품' 33.3%, '건강' 16.7%로 순으로 이성교제시외 재혼 상대자의조건이 경제력을 중시하고 있음이 일치하였다. 결국 여자 노인은 노후에 안정감을 중시하는 조건을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노혼에 대한 자녀의 태도와 장애요인
최근에는 물질적, 정신적 보답을 선호하던 전통적인 효의식의 변화에서, 자녀들이 노부모를 재혼시켜 고독감과 외로움을 덜어주겠다는 새로운 부양 모델이 모색되고 있다.
사례연구에서도 자녀들이 생각하고 있는 노부모의 재혼에 대한 태도는 대부분 재혼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으나 노인 자신이 재혼에 대해 자녀와 깊은 대화를 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자녀들과의 대화 부족으로 재혼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사례노인들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재혼의 여부가 달려 있다고 생각하였다.
노혼에 있어 장애 요인은 사례노인들의 경우 '나이가 많아서' 33.3%, '자녀의 반대' 16.7%, '자식들 체면 때문에' 16.7%, '경제적 무능력' 8.3%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자녀들의 동의와 자신의 재혼을 한다는 사회적인 체면 등으로 볼 수 있었다.
재혼이 이루어지기 이한 필요 조건으로는 '자녀들의 이해' 58%, '경제적 능력' 17%, '사회적 인식변화' 12%, '노인 스스로의 인식변화' 8%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재혼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자식들과 관련된 것으로 볼 때, 재혼을 자식에 대한 배신행위로 인식하거나 자식의 체면유지를 위해 재혼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자녀에 대한 경제적 부담 가중, 유산배분의 문제 등의 복잡한 요인들 때문으로 해석된다. '자녀들의 이해', '경제적 능력'이라는 조건부적 동의태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70% 이상인데, 이는 노인들의 노혼에 있어 결국 두 요인이 큰 변수로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노인들이 이성교제나 노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인의 생각과는 달리 자녀 가족들의 몰이해, 경제적인 문제, 사회적인 체면 등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의 이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노령기간의 연장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홀로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둘째, 노인 스스로가 갖고 있는 전통적인 성도덕관과 자기억제 등을 극복해야 할 것이며, 셋째, 노후의 외로움과 고독을 달래기 위해 원하는 이성교제나 재혼에 대해서 노부모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손자녀들의 이해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며, 넷째, 노인의 이성교제나 재혼을 주선하는 전문상담기관의 설립과 이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하루 빨리 노인들의 이성교제에 대한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우리 나라도 노령화시대에 노부모의 노혼이 보편화되는 사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앞으로 노인의 이성문제는 노인복지 측면에서 이해하고, 노인들도 기본권리로서 행복을 추구하여 만족한 노후생활을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정부당국에서는 앞으로 예견되어지고 있는 노인들의 이성문제가 사회문제로 되기 이전에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노년기를 소외의 시기로 인식하지 말고 '즐기는 여생', '성숙된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는 예기적 사회화 교육이 차세대 노인을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참 고 문 헌
김경동·어온죽, 「통계조사방법론」, 서울 : 을유문화사, 1995
김태현·전길량, "한국의 노인가족부양의 현황과 과제." 「각국 노인의 가족부
양 현황과 과제」. 한국노인문제 연구소. 1997.
박경란·임춘희, "재혼노인의 재혼과정과 생활변화". 인제논총 12. 부산. 인제대 학교. 1996.
사단법인 대전노인의 전화, 「'94-'99 사업보고 및 '2000년 사업계획」. 1998.
서병숙·김은진, "홀로된 여성노인의 재혼태도 연구". 한국노년·노인병·노화 학연합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1996.
이근후, "가족해체와 부부간 성문제".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97.
이만갑, "현대사회와 성윤리".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이윤숙,「노인과 성」서울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현대사회와 노인복지. 1983.
이정덕·최영아, "사별 및 이혼한 노인의 재혼에 관한 연구Ⅰ". 대한가정회지 35(2). 1997.
임춘식,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서울 : 유풍출판사. 1991.
, "재가노인복지의 현황과 과제". 노인복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1998.
, "노인의 이성교제와 재혼태도에 관한 사례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 「사회과학」. 27. 1997.
정동철, "노년의 성과 성윤리".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 안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97.
조기동, "혼자사는 노인과 재혼". 한국노년학13-2. 1993.
조선일보, "정년이혼, 서서히 증가". 1997. 12. 11.
한겨레신문, "노인들 이성교제에 높은 관심". 1996. 1.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복지」. 1996.
한혜신, "사별 노인의 삶의 대처방안으로서의 재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Aiken, L. R. Ahing-An introduction to gerontology. Sage Publications. 1995.
Enright, R. B. Perspectives in Social gerontology. Allyn & Bacon. Inc. 1994
Knodel, "Focus group discussion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1990.
2) 노혼에 대한 자녀의 태도와 장애요인
최근에는 물질적, 정신적 보답을 선호하던 전통적인 효의식의 변화에서, 자녀들이 노부모를 재혼시켜 고독감과 외로움을 덜어주겠다는 새로운 부양 모델이 모색되고 있다.
사례연구에서도 자녀들이 생각하고 있는 노부모의 재혼에 대한 태도는 대부분 재혼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으나 노인 자신이 재혼에 대해 자녀와 깊은 대화를 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자녀들과의 대화 부족으로 재혼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사례노인들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재혼의 여부가 달려 있다고 생각하였다.
노혼에 있어 장애 요인은 사례노인들의 경우 '나이가 많아서' 33.3%, '자녀의 반대' 16.7%, '자식들 체면 때문에' 16.7%, '경제적 무능력' 8.3%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자녀들의 동의와 자신의 재혼을 한다는 사회적인 체면 등으로 볼 수 있었다.
재혼이 이루어지기 이한 필요 조건으로는 '자녀들의 이해' 58%, '경제적 능력' 17%, '사회적 인식변화' 12%, '노인 스스로의 인식변화' 8%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재혼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자식들과 관련된 것으로 볼 때, 재혼을 자식에 대한 배신행위로 인식하거나 자식의 체면유지를 위해 재혼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자녀에 대한 경제적 부담 가중, 유산배분의 문제 등의 복잡한 요인들 때문으로 해석된다. '자녀들의 이해', '경제적 능력'이라는 조건부적 동의태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70% 이상인데, 이는 노인들의 노혼에 있어 결국 두 요인이 큰 변수로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노인들이 이성교제나 노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인의 생각과는 달리 자녀 가족들의 몰이해, 경제적인 문제, 사회적인 체면 등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의 이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노령기간의 연장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홀로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둘째, 노인 스스로가 갖고 있는 전통적인 성도덕관과 자기억제 등을 극복해야 할 것이며, 셋째, 노후의 외로움과 고독을 달래기 위해 원하는 이성교제나 재혼에 대해서 노부모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손자녀들의 이해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며, 넷째, 노인의 이성교제나 재혼을 주선하는 전문상담기관의 설립과 이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하루 빨리 노인들의 이성교제에 대한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우리 나라도 노령화시대에 노부모의 노혼이 보편화되는 사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앞으로 노인의 이성문제는 노인복지 측면에서 이해하고, 노인들도 기본권리로서 행복을 추구하여 만족한 노후생활을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정부당국에서는 앞으로 예견되어지고 있는 노인들의 이성문제가 사회문제로 되기 이전에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노년기를 소외의 시기로 인식하지 말고 '즐기는 여생', '성숙된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는 예기적 사회화 교육이 차세대 노인을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참 고 문 헌
김경동·어온죽, 「통계조사방법론」, 서울 : 을유문화사, 1995
김태현·전길량, "한국의 노인가족부양의 현황과 과제." 「각국 노인의 가족부
양 현황과 과제」. 한국노인문제 연구소. 1997.
박경란·임춘희, "재혼노인의 재혼과정과 생활변화". 인제논총 12. 부산. 인제대 학교. 1996.
사단법인 대전노인의 전화, 「'94-'99 사업보고 및 '2000년 사업계획」. 1998.
서병숙·김은진, "홀로된 여성노인의 재혼태도 연구". 한국노년·노인병·노화 학연합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1996.
이근후, "가족해체와 부부간 성문제".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97.
이만갑, "현대사회와 성윤리".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이윤숙,「노인과 성」서울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현대사회와 노인복지. 1983.
이정덕·최영아, "사별 및 이혼한 노인의 재혼에 관한 연구Ⅰ". 대한가정회지 35(2). 1997.
임춘식,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서울 : 유풍출판사. 1991.
, "재가노인복지의 현황과 과제". 노인복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1998.
, "노인의 이성교제와 재혼태도에 관한 사례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 「사회과학」. 27. 1997.
정동철, "노년의 성과 성윤리". 「현대사회와 성윤리」.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서울 : 안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97.
조기동, "혼자사는 노인과 재혼". 한국노년학13-2. 1993.
조선일보, "정년이혼, 서서히 증가". 1997. 12. 11.
한겨레신문, "노인들 이성교제에 높은 관심". 1996. 1.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복지」. 1996.
한혜신, "사별 노인의 삶의 대처방안으로서의 재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Aiken, L. R. Ahing-An introduction to gerontology. Sage Publications. 1995.
Enright, R. B. Perspectives in Social gerontology. Allyn & Bacon. Inc. 1994
Knodel, "Focus group discussion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1990.
추천자료
[노년기 주거생활] 노년기 주거환경과 주거형태,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계획
[노년기 영양과 식생활] 노년기 영양의 특징과 종류, 건강식생활 및 식생활관리
[노년기 성] 노인과 성의 관계, 노년기의 성생활과 유지방법
노년기 고립과 소외감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 노년기 우울증 문제의 해결방안을 보고서로 작성.
생애주기 발달단계를 서술하고, 사회복지실천관심 대상문제 중 노년기의 노인복지 문제에 대...
노년기 정신건강 문제점과 노년기 정신건강을 위해 사회차원의 노력 방안에 대해 고민하여 서술.
노년기 경제적 악화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 [노년기 경제]
노년기 정신장애(정신적 질병) - 노년성 우울증(노년기 우울증, 노인성 우울증), 편집병 장애...
현 사회의 노년기에 대두되는 문제제기와 함께 노년기의 발달특징 및 사회복지실천방법에 대...
[장년기-노년기의 성격병리] 장년기, 노령기의 발달과제와 위기, 장년기와 노령기(노년기)의 ...
노년기 : 노년기를 준비 하면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서술하시오.
[노년기 영양관리] 노년기(노인)의 영양관리
[사회복지개론] 노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기록하고 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을 소개...
[노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노년기 정신건강 문제(불안장애, 우울증, 성격장애, 정신분열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