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DC Motor의 구동원리
2. DC Motor의 구조 (용어)
3. DC Motor의 제어방식
SERVO Motor
1. DC Motor의 구동원리
2. DC Motor의 구조 (용어)
3. DC Motor의 제어방식
SERVO Motor
본문내용
있다 첫째 sequence한 program의 수행을 통해 다수의 모터의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주기가 다른 여러 개의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에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program의 작성 시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많은 event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interrupt를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timer 등의 주기적인 interrupt를 발생시켜서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필요한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구현이 간단하고 대부분의 경우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진 알고리즘이 동시에 수행될 때에는 각 알고리즘의 주기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많은 event가 동시에 발생할 때에는 시스템이 폭주할 수도 있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시스템에 요구되는 여러기능을 태스크들로 나누고, 각 태스크들을 multi-tasking 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제어기법을 이용하여 이를 구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현이 어렵고 다른 두 가지 방법에 비해 CPU의 사용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실시간 기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각 태스크의 주기와 무관하게 어떠한 경우에도 실행이 가능하며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event라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C 서보 모터와 AC 서보 모터는 <그림 7>과 같이 고정자와 회전자의 구조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그림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DC 서보 모터는 계자 권선이 회전자에 있고 AC 서보 모터는 고정자에 있다. 이렇게 대조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의 특성이 DC 서보 모터의 제어특성과 같이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하여 브러시없는 DC 서보 모터라고도 부르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특장점이 구분되어지며 브러시가 있는 DC 서보 모터보다 AC 서보 모터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림 7>의 (b)의 AC 서보 모터의 구조에서 고정자의 전기적 권
선만을 표시하면 <그림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정자에 권선이 감겨져 있으며 권선의 모양만을 보면 3상 권선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림 8>은 영구 자석의 극수가 2개인 3상 2극 AC 서보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 내부의 영구 자석은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어 고정자 권선에 3상의 전류를 인가하면 영구 자석은 고정자의 회전자계와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 권선에는 3상 교류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림 8>에서는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3상 2극 서보 모터의 형태로 간략하게 표현하였으나 실제로는 2극의 서보 모터보다 4극, 6극 혹은 8극의 다극 서보 모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내부의 회전자구조도 회전시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원통형의 구조를 하고 있다.
DC 서보 모터와 AC 서보 모터는 <그림 7>과 같이 고정자와 회전자의 구조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그림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DC 서보 모터는 계자 권선이 회전자에 있고 AC 서보 모터는 고정자에 있다. 이렇게 대조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의 특성이 DC 서보 모터의 제어특성과 같이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하여 브러시없는 DC 서보 모터라고도 부르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특장점이 구분되어지며 브러시가 있는 DC 서보 모터보다 AC 서보 모터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림 7>의 (b)의 AC 서보 모터의 구조에서 고정자의 전기적 권
선만을 표시하면 <그림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정자에 권선이 감겨져 있으며 권선의 모양만을 보면 3상 권선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림 8>은 영구 자석의 극수가 2개인 3상 2극 AC 서보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 내부의 영구 자석은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어 고정자 권선에 3상의 전류를 인가하면 영구 자석은 고정자의 회전자계와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 권선에는 3상 교류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림 8>에서는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3상 2극 서보 모터의 형태로 간략하게 표현하였으나 실제로는 2극의 서보 모터보다 4극, 6극 혹은 8극의 다극 서보 모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내부의 회전자구조도 회전시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원통형의 구조를 하고 있다.
추천자료
모터의 원리
압전 모터와 리니어 모터
스탭모터
유압모터와 펌프의 차이
[기계공학실험]DC servo motor의 이해
모터의 토크 계산 및 모터의 선정 방법
모터제어 실험 예비보고서
BLDC모터 설계(matlab 시뮬링크)
예비 실험4 EXPERIMENT dc 4 Series Resistance
예비 실험6 EXPERIMENT dc 6 Parallel Resistance
예비 실험13 EXPERIMENT dc 13 Methods of Analysis
모터의 종류와 개념 및 원리
실험06 간단한 직류회로,저항의연결a,간단한 직류 회로(DC circuits)
서보모터servomotor-서보 모터 제어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