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이벤트의 활성화 방안 - 청도 소싸움대회를 중심으로 -도시마케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지역이벤트 사업의 이론적 개관
제1절 지역이벤트 사업
1. 정의
2. 특징
3. 종류와 형태
제2절 지역이벤트사업의 특성
제3절 지역이벤트 사업의 기대효과
1. 경제적 기대효과
2. 비경제적 기대효과

제3장 지역이벤트의 사례분석 -청도 소싸움 대회를 중심으로-
제1절 청도 소싸움 대회의 분석
제2절 청도 소싸움 대회에 대한 만족도 분석
제3절 종합평가

제4장 지역이벤트의 발전방안 -청도 소싸움 대회를 중심으로-
제1절 청도 소싸움 대회의 발전방안

제5장 결론

본문내용

다. 여섯째,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관광객의 청도지역내 소비의 대부분이 식비에 지출되고 있으며, 숙박비 및 청도지역 물품구입비는 아주 작게 나타나 지역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일곱째, 평가측면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평가가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이뤄지지 못하였으며, 대외홍보용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된 내용이 체계적으로 정리·DB화되지 못하고 잇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청도 소싸움축제를 청도지역 활성화를 이루기 위한 각 영역별 발전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측면을 보면 기존의 기획의도는 지역적 문화 축제의 하나로 기획되고 실행되었으나, 전체적인 호응이 좋고 정부에서 지정한 문화축제가 되었으므로 지역적인 축제에서 벗어나 국제적인 소(牛)와 관련된 종합적인 문화축제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 및 인력 측면에서는 기획의 변화를 적절히 추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아웃소싱을 통해 확보하여야 하며, 상징적인 조직체계에서 실무중심의 조직체로 전환을 이룩해야 한다. 일반운영 효율화추진을 위한 인원들의 확보를 자원봉사자의 확대와 체계적인 인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지속적인 관리·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홍보측면에서는 축제가 임박해서 홍보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중축제를 홍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한다. 또한 해외홍보 시스템의 설계 및 네트워크구축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측면에서는 상설 투우장의 건설과 함께 관광객의 동선에 관한 체계적인 설계와 편의시설의 확충 및 관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행사운영 측면에서는 국제적인 행사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제반 편의 제공을 위한 체계적이고 세련된 운영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경제적 측면에서는 청도 지역 내에서의 소비확대를 위한 쇼핑상품의 개발과 케릭터 상품의 철저한 품질관리와 디자인의 개발이 우선 과제이며, 소싸움 대회의 이미지를 살려 청도 한우의 브랜드화 추진함과 동시에 국제적인 감각의 식단에 대한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평가 및 환류 측면에서는 자체평가와 외부평가를 통한 객관성의 확보와 체계적인 성과 관리와 평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소싸움 대회의 성과와 관련 자료 및 평가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청도 지역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청도 소싸움 대회의 거시적인 발전방향은 전용 실내경기장 신설 및 소싸움 대회의 국제규모와 추진, 정기적인 대회개최와 운영을 전담하는 조직 신설 등으로 소싸움 대회의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다.
한편, 청도 소싸움 대회의 발전에 따라 청도군에 있을 파급효과는 크게 지역경제성장, 지역위상제고, 국제교류 및 지역홍보의 세 가지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자치단체의 이벤트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타 지방자치단체와는 차별성 있는 이벤트사업을 실행해야 한다. 둘째,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공간환경에 대한 정비를 통해 편리성과 지역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전구성원의 의식수준 향상을 통하여 선진적인 지역이미지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이벤트사업에 대한 홍보 및 안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지역 이벤트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행사가 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
김용웅, 지역개발론, 법문사, 1999.
김안제, 지역개발과 지방자치행정, 대명출판사, 1988.
박수영외, 지방의 도약, 홍문사, 1995.
황명찬, 지역개발론, 법문사, 1993.
서영진,김성, 지방경영시대의 선택, 서울:나남출판.1994
하성용, 한국 이벤트 산업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최정순, 관광 이벤트 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3
김창규, 지역개발을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민문식,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축제 진흥방안,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민동규, 강화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관광개발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시혁, 新 이벤트시대③, 광고정보, 1996.5
박상수, 지방축제와 이벤트, (사)지방행정연구소, 지방행정, 1996. 제98호
조달호, 지방자치단체의 이벤트 전략, (사)지방행정연구소, 지방행정, 1996. 제98호
남치호, 문화권 개발과 관광·문화산업 육성, 대구경북개발연구 1998.12. 제3호
송광섭, 마케팅 격전지, 98프랑스월드컵 이벤트와 문화마케팅, 광고정보, 1998. 9월호
신용호,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요인과 효과분석, 도시문제, 1999.2
장은수, 지방자치단체 이벤트사업의 활성화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9.3
이기우, 광주비엔날레 조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지방자치, 1999. 3월호
이원태, 지역축제를 활용한 문화산업의 육성전략, 지방자치, 1999. 3월호
황길식, 청도소싸움축제 평가보고서, 1999.4
일본호텔연구회, "이벤트전략", 일본호텔연구회,1988
Donald Getz, "Special event Defining the product".tourism Management, June 1989.
최정순, 관광이벤트에 개발에 관한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3.
通商産業省常務室, イベント日本を變える-21世紀の産業文化戰略, 1987.
'97 제2회 광주비엔날레결과보고서,1998.1.
이강욱, 문화광광축제의 영향 및 운영효율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1998.1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8 조사연구, 안동대학교 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 , 1998.11.
정강환, 이벤트관광전략: 축제와 지역활성화, 일신사, 1996.
한국관광공사, 이벤트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공사, 1994.
정강환, 한국 지역축제 사례 효과분석, 문화체육부, 한국의 지역축제, 1996.
한국관광공사, 국내문화행사 관광상품방안, 한국관광공사, 1995,
서영진, 일본의 지역이벤트운동, 자치행정(제98호), 1996.5.p.12.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1.0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