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이란 무엇이며, 지식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지식이란 무엇이며, 지식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1. 정보와 지식 그리고 앎

2. 참된 앎의 조건

3. 지식정보사회와 지적 경쟁력

본문내용

제한된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주어졌고, 학교가 유일한 지식 전달의 통로였으며 지식은 교육받은 사람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이른바 "가방 끈"의 길이가 힘이 되었던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새로운 지식의 전달과 유통 속도가 매우 느렸으므로 첨단의 지식을 먼저 배워 잘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21세기에는 모든 것이 빠른 속도로 달라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통신의 발달로 학교는 이미 지식을 전달하는 유일한 통로가 아니며, 오늘 발견한 새로운 지식이 내일이면 이미 낡은 지식이 됩니다. 따라서 지식의 양보다 질이 문제가 됩니다. 또한 과거에는 지식은 무형의 재산으로 그것이 유형의 상품으로 전환되어야 비로소 사고 파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21기에는 지식과 정보 자체가 재산으로 보호되며 상품으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모든 사람이 공유하고 있는 지식은 이미 재산가치를 잃어버리게됩니다. 경쟁력을 상실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21세기에는 첨단 분야에서 새롭고 다양한 지식을 얼마나 많이 만들어 내느냐에 의하여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이 좌우됩니다. 이미 공개되고 보편화된 지식은 머리에 저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제 백과사전이나 자료를 찾으러 도서관까지 간다는 것은 옛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지구촌에 있는 거의 모든 자료를 즉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개된 정보와 지식을 단순 암기하는 방식의 학습으로는 결코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공부는 끝없는 사색과 탐구의 과정을 통하여 첨단의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미래학자 피터 드러커는 지적 생산성을 높이는 길은 "연결"에 있다고 했습니다. '연결'이란 알고 있는 지식들을 서로 연관지어 생각하고, 이미 알고있는 지식을 토대로 깊이와 넓이를 더해 가는 그런 방법을 말합니다. 습득한 지식과 정보가 힘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결고리에 의하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마치 우리 몸의 모든 기관이 신경망과 핏줄과 근육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정상적인 인간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초기의 지식 습득 과정에서부터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온전한 앎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머리와 가슴과 몸으로 체득하는 학습이어야 합니다. 그것만이 확실한 '나의 앎'이며 나의 힘이 되어 새로운 창의력과 경쟁력의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키워드

지식,   공부,   정보,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1.0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