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패러다임의 해체, 주체 철학을 넘어서기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3_근대 패러다임의 해체, 주체 철학을 넘어서기

▣ 근대 형이상학의 다른 말→주체철학

▣ 지식과 근거 짓기

▣ 정초와 기반에 대한 해명

▣ 확실성의 획득과 동질성의 사유

▣ 교과 공부

본문내용

교과목에-관한-론
교과별로 교과만의 로지크가 있다. 이 로지크가 이미 정초로서 존재하는 존재자이며, 그 존재자가 동일성과 확실성을 이미 그 속에 가지고 있는 것이기에, 그것을 앞에 모아놓고 그 속에 녹아 있는 로지크 혹은 로고스를 라티오로 정돈해 들어간다.
→ 하이데거가 말하려는 존재-론(Onto-Losik)
최종적인 로고스로서 도달해야 하는 경지인 무엇(Was)이 신(God)과 같이 주어져 있기에 우리는 ‘신-론’이라 부른다.
교과는 ‘존재-신-론(Onto-Theo-Losik)’적인 측면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해 들어가는 길을 두고 우리는 여태껏 공부라고 칭해왔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 믿고 따르는 공부라고 율곡에게 말한다면 그가 뭐라고 응수할까.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7.01.01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