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_근대 패러다임의 해체, 주체 철학을 넘어서기
▣ 근대 형이상학의 다른 말→주체철학
▣ 지식과 근거 짓기
▣ 정초와 기반에 대한 해명
▣ 확실성의 획득과 동질성의 사유
▣ 교과 공부
▣ 근대 형이상학의 다른 말→주체철학
▣ 지식과 근거 짓기
▣ 정초와 기반에 대한 해명
▣ 확실성의 획득과 동질성의 사유
▣ 교과 공부
본문내용
교과목에-관한-론
교과별로 교과만의 로지크가 있다. 이 로지크가 이미 정초로서 존재하는 존재자이며, 그 존재자가 동일성과 확실성을 이미 그 속에 가지고 있는 것이기에, 그것을 앞에 모아놓고 그 속에 녹아 있는 로지크 혹은 로고스를 라티오로 정돈해 들어간다.
→ 하이데거가 말하려는 존재-론(Onto-Losik)
최종적인 로고스로서 도달해야 하는 경지인 무엇(Was)이 신(God)과 같이 주어져 있기에 우리는 ‘신-론’이라 부른다.
교과는 ‘존재-신-론(Onto-Theo-Losik)’적인 측면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해 들어가는 길을 두고 우리는 여태껏 공부라고 칭해왔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 믿고 따르는 공부라고 율곡에게 말한다면 그가 뭐라고 응수할까.
교과별로 교과만의 로지크가 있다. 이 로지크가 이미 정초로서 존재하는 존재자이며, 그 존재자가 동일성과 확실성을 이미 그 속에 가지고 있는 것이기에, 그것을 앞에 모아놓고 그 속에 녹아 있는 로지크 혹은 로고스를 라티오로 정돈해 들어간다.
→ 하이데거가 말하려는 존재-론(Onto-Losik)
최종적인 로고스로서 도달해야 하는 경지인 무엇(Was)이 신(God)과 같이 주어져 있기에 우리는 ‘신-론’이라 부른다.
교과는 ‘존재-신-론(Onto-Theo-Losik)’적인 측면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해 들어가는 길을 두고 우리는 여태껏 공부라고 칭해왔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 믿고 따르는 공부라고 율곡에게 말한다면 그가 뭐라고 응수할까.
키워드
추천자료
데리다의 해체주의 철학
[수학교육]수리철학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수학교육의 방향
현대의 서양문화4A)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
서양 근현대 철학
서양 현대 철학
인간과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 관점 인간관의 특징 / 과학적 인간관 비판 / 콜버그...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2017)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